하자관련 질문/사례

주택에서 피해야 할 외장재

M 관리자 17 34,448 2013.03.28 12:42
건축물에는 수많은 소재가 사용된다. 하지만, 단독주택에서는 여러가지 이유로 피해야 할 외장재가 존재하는데, 재료 자체의 문제가 아닌, 재료의 특징으로 인한 이차적 하자를 피하기 어려운 소재가 있다. 아래 사례는 그 중의 하나를 잘 보여주고 있다.

하자가 발생한 후의 사진이다.
이 외장재는 폴리카보네이트라는 투명에 가까운 소재인데, 보통 아주 저렴하게 발코니 등을 덮는 용도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재료이다.
사진에서 보다시피 주택의 상부에 하얀색 얼룩이 심하게 보이고 있다.
이 하자의 원인은 외부에서 육안으로 관찰하는 것으로는 불분명하지만, 크게 두가지로 나눌 수 있을 것같다.
첫번째는 내부에 방습층이 시공되지 않아, 실내 습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2층에서 습기가 외벽쪽으로 다량으로 몰린 경우.
두번째는 상부 지붕과 외벽의 만나는 곳에서 물끊기와 방수처리가 제대로 되지 않아, 누수가 외장재 내부로 들어갈 경우.
로 나눌 수 있겠다. 

개인적으로는 첫번째 원인으로 인한 하자에 더 무게를 두는데, 이유는 단독주택에서 실내의 방습층을 제대로 반영하는 설계자가 거의 없는게 현실이고, 설령 반영했다 하더라도 이를 제대로 시공하는 곳도 거의 보기 힘들기 때문이다. 또한 신축된지 얼마지나지 않은 주택이기 때문에 벌써 지붕과 외벽사이의 방수를 지탱하고 있는 실란트가 망가지진 않았으리라는 판단이다.
물론 가장 우선시 되는 것은 이러한 우리나라의 현실이 뻔함에도 불구하고 속이 들어나 보이는 외장재를 단독주택에 사용한 것이 가장 뼈아픈 실수로 보여진다.

몇 해후에 다시 방문을 하여 사진을 올리겠지만, 흔히 일부 시공자가 주장하는 "들어간 습기의 실내로의 재방출"은 결코 기대하기 어렵다는 것이 증명될 것이다. 실내 방습층이 없는 경우 이처럼 외장재 쪽으로 들어간 습기는 결코 쉽게 다시 나오지 못한다. 이 때문에 건식구조의 외벽은 반드시 투습이 되는 소재여야 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 폴리카보네이트는 소재는 PVC 성질에 가까워 완전 불투습층을 외부에 형성하고 있으니, 어찌보면 예견된 하자일 것이다.

DSC03738_s.jpg


아래 사진은 폴리카보네이트 판넬의 접합부위 사진이다.
DSC03749_s.jpg



아래 사진은 더 크게 확대를 한 모습인데, 하지에다 피스로 고정되어져 있고, 부틸 또는 EPDM계열의 고무로 조인트가 방수처리되어져 있다. 물론 장기적 누수도 예상될 수 있는데, 이는 피스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평범한 제품(EPDM 소재의 작은 패드가 머리 안쪽에 붙어 있는 피스를 사용해야함)일 뿐더러, 나사마다 그 시공품질이 너무나 제각각이기 때문이다.
DSC03752_s.jpg


아래 사진은 외벽의 마무리와 판넬이 만나는 부위를 확대한 모습이다.
머리가 너무 깊이 박힌 피스가 보인다. 또한 측면 마감재 역시 제대로된 이음을 보여주지 못하고, 실란트로 메꾸어 놓은 모습니다. 이런 부분이 장기적으로 누수의 원인이 될 것이다.
DSC03755_s.jpg

이 문제를 해결하려면 원인부터 찾아야 겠지만, 만약 습기로 인한 피해라면, 외벽에 통기층을 추가하는 것이 최선인데, 이를 디자인과 연계해서 해결하는 것은 만만치 않아 보인다.

DSC03737_ss.jpg

거기에 더불어 외벽의 열팽창으로 이미 휘어진 모습이다. 이 현상이 매년 반복되면 외피를 붙들고 있는 피스에서 탈락할 확율이 높다.

건축물의 모든 소재는 그 주장하는 바와 사용 방법이 있으며, 처음부터 사용해서는 안될 재료는 거의 찾아 보기 힘들다. 각 회사에서 많은 정성을 들여 개발한 제품들이며, 그렇기 때문에 모든 재료는 그 나름의 가치가 있는 것이다.  그러나, 우리나라 단독주택시장의 수준을 고려한다면, 많은 재료가 걸러져서 사용되어야 한다. 

시공사의 수준을 탓하기 전에 시공할 수 있는 수준의 재료를 선정하는 것도 건축가의 몫이다.

Comments

14 이성원 2013.03.28 13:43
가끔 석재 마감의 건축물 중에는 겨울에 밤새 추웠다가 낮에 따듯해지면 물얼룩이 생기는 건축물이 보입니다. 석재와 구조체 사이에서 밤새 발생된 결로가 외부로 나오는 현상 같은데 이는 구조 본체와 석재간의 단열이 이뤄지지 않은 현상으로 이해해야 하는지요?
M 관리자 2013.03.28 14:01
네.. 구조체 사이는 아니구요.
천공복사로 인해 표면온도가 떨어지면, 새벽의 서리가 얼어 붙습니다. 이 것이 녹으면서 생기는 현상입니다.  통상적인 경우 건물의 고층부에서만 생기며, 저층부는 생기지 않습니다. 저층부는 상대쪽의 건물과 마주보는 면이 많아 천공복사로 인해 온도가 아주 낮게 하락될 염려가 없기 때문입니다.
감사합니다.
14 이성원 2013.03.28 23:07
네 그런 현상도 있군요.
제가 자주 보고 있는 건물은 4층 건물인데 건물 전체가 겨울만 되면 얼룩이 지곤 하더군요.
발수제를 발랐다면서 자랑하던 건물이었죠. 비오는 날 혼자 멀쩡하면서 겨울만 되면
혼자 젖어 있네요.
M 관리자 2013.03.28 23:27
발수제위에서의 서리가 얼었다 녹을 경우의 얼룩에 대해서는 아직 문헌을 본적이 없습니다.
발수제 성분마다 특성이 달라서 무어라 말씀드릴 수 없습니다만, 실리콘계열이면 천공복사에 의한 영향이 맞을 것같고, 아크릴계열이면 천공복사에 의한 영향이 아닐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어서.. 공부해 보도록 보겠습니다.
좋은 정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거리가 가까우면 표면을 육안으로 한번 보고 싶네요..
14 이성원 2013.03.30 00:16
물어보니 용제가 필요한 발수제라고 합니다 
석재 전용 침투형 발수제라고 하는군요.
국립미술관에도 사용된 인증된 제품이라고 하네요.
그 곳에 사용되었다고 다 좋은 건 아니겠지만 굳이 제가 따져볼 입장은 못 되니 하하.
그리고 그 얼룩은 북향의 석재 마감재에서 확연합니다.
그리고 하단 부위에 내부에서 고인 것으로 추정되는 물이 새어 나오는 곳이 있더군요.
건물주에게 물어보고 허락되면 사진 찍어 첨부해 보겠습니다.
G 이윤근 2013.04.03 05:56
발수제?? 글쎄요 저의 경험으로는 신뢰하지 못합니다. 발수제의 종류와 특성을 잘 고려하여
사용하여야 하며 발수제를 잘못적용하면 더욱 문제점을 야기합니다.
발수제의 코팅 방법에 있어서도 대부분 외부면 1면 코팅을 하면 통기차단으로 인한 내부 결로
현상 발생, 얼룩현상 등의 문제점이 발생합니다. 코팅을 하여야 할 경우 석재 전체를 발수제에
담는 함침방법을 하여야 하나 장기적으로 발수효과가 떨어집니다.
근본적인 해결방법은 현재 국내의 사용되는 석재는 대부분 중국석재 입니다. 사용되는 석재의 흡수율 등을 고려하여 석종 선택을 하여야 할 것 입니다.
G 홍도영 2013.04.08 03:52
하자가 생긴 부위의 근접사진을 볼수가 있을까요?
물론 나사고정이나 "실란트" 같은 것으로 고정을 한 것이 당연한 실수로 보여집니다. 물이 타고 들어간 것인지 아니면 물이 들어가고 자외선 반응처리를 하지 않은 제품인지? 그래서 경화되고 색이 변한것인지? 위의 사진으로는 분간이 어렵습니다.
M 관리자 2013.04.08 10:33
네.. 일단 최대 근접사진입니다.
아마도 준공된지 얼마 지나지 않은 것으로 보아서 경화로 보여지기는 이른 감이 있긴 합니다.
G 김병수 2014.02.26 20:17
폴리카보네이트 판넬이라고 하셔서 뭔가 했더니 넥산 복층판 이내요 하하
말씀대로 당연한 하자내요 단열을 기대했던거 같은데.... 실패하신듯 싶습니다.
한강 간이 화장실 벽을 채광을 위해 유리대신 사용한 곳을 봤는데 잘했다 싶은것이 저렇게 조각조각 나누지 않고 길게 이음없이 시공한결과 내부 습기가 끼지 않아 깨끗하고 실내 단열 성능도 보고 있는것을 봤습니다 화장실이 확실히 따뜻하더라구요 하하
한강 산책을 해본 분이라면 누구나 한번쯤 보셨을 듯 싶습니다. 정말 좋은 자재라고 생각했는데.. 음..
그리고 요즘 작은 비닐 하우스대신 넥산 복층판을 쓰더라구요.. 비닐은 햇빛에 삵지만 넥산은 오래간다는 장점때문이라고 하던데 구경해보니 좋더라구요 한번쯤 생각해 봐도 좋을듯 싶습니다.
1 박상현 2014.03.14 00:22
네.. 집안에 습기가 빠져나가야 하는군요.  경량목구조에서 외단열 스타코할때 방습지에 바로 붙여서 시공하면 문제가 발생하나요??  그럼 간극을 만들어 놓고 외단열을 해야하는지 궁금합니다.
M 관리자 2014.03.14 10:22
안녕하세요..
우선...목구조 외벽에 시공하는 것은 "방습지"아 아니라 "투습지"입니다.
경량 목구조 외벽에 스타코를 하기 위한 단열재는 투습되기 쉽지 않은 EPS 이므로, 최악의 상황을 막기 위해 간극을 두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 역시 최선이라기 보다 차선책입니다만, 그래도 현재 시장에서는 보편적으로 시공되는 방법이긴 합니다.
G 박영희 2014.10.04 17:11
실례합니다 약20년전에 H빔으로 지은 3층 상가건물에 판넬로 마감하고 드라이비트를 했더라구요 그걸사서 벽을 다 헐어내고 다른 것으로 마감을 하고 싶어요(전체적으로 하는 유리창은 빼구요)안에다 세멘벽돌1겹을 한다면 외장은 무엇으로 하는게 가장 하자가 적을까요? 부탁드립니다
M 관리자 2014.10.04 23:00
안녕하세요..
건물 전체 연면적과 예산을 이야기하시면 조언을 드리는데 도움이 될 듯 합니다.
G 박영희 2014.10.07 16:43
건물전체 연면적은210평이구요 예산은 글쎄요 적게 들면서 가벼운것이 뭐가 없는지요? 제가 아는것은 붉은벽돌(이것은상가건물에는 안어울릴것 같애요), 알미늄강판,아니면 돌, 이정도에요 전체적인 모습도 자연스럽고 잘 어울릴만한 것이 뭔지 모르겟네요
M 관리자 2014.10.07 22:00
흠.. 사실은 지금 뜯으시려 하시는 외단열미장마감(드라이비트)를 제대로 하는 것이 가장 경제적이며, 가장 가볍습니다.
그러나, 이미 마음이 떠나셨으리라 보고...
알루미늄은 아마 가격이 맞지 않으실 터이고, 돌은 무겁습니다. 그러나, 저렴합니다. 물론 제대로 하면 저렴하지 않습니다만.....

저희가 도면을 알고 있지 못하고, 주변 건물도 알지 못하므로 전체적인 모습과 잘 어울릴만한 소재를 골라드리기는 무리이고.. 또한 건축사의 권한이기도 합니다.

다만, 지금 시점에서 좋은 조합을 권해드리면...

석재 든, 아연도강판이든, 진짜 징크이든... 외단열로 하시고 위 메뉴의 자재소개란에 있는 "패시브턴캡"이라는 제품을 같이 사용하시면 동일한 금액으로 최선을 결과를 얻을 수 있지 않을까 합니다.

원하시는 뾰족한 답을 드리지 못해 죄송합니다.
감사합니다.
G 자유경제 2017.10.12 07:27
자재란에 패스브턴캡이 어디있는지요?
죄송합니다 못찾겠습니다
M 관리자 2017.10.12 09:41
자재정보 - 열교관련 - 이비엠리더.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