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시공관련 질문
새글 철거를시작했습니다. 내단열 추가질문드려요
1 건축공부중 | 댓글 3
어제부터 철거를했습니다. 조적조건물은 뜯어봐야알수있다는말이 뭔지 이해했습니다. 다행인지 몰라도 1,2층 내부계단이 있는데 2층천장에 5센치인지 10센치의 스티로폼 단열재가 꼼꼼히 붙혀있었습니다 . 그리고 설계도면처럼 내부벽과 치장벽돌사이에 5센치 두께의 단열재가 나름? 타이트하게나마 들… 더보기
새글 전면 창호 부분에 상단부 수벽을 빠트리고 슬레브 시공이 완료되었습니다.
G 대청 심천재 | 댓글 3
협회 선생님. 더운 날씨에 고생 많으십니다. 2층 바닥 슬레브 공사가 마무리 되었는데 제가 확인 해보니 1층 상가 전면 유리창 부분에 상부 수벽이 빠져있습니다. 하단부 수벽은 있습니다. 시공사측에 문의했더니 케미캴 앙카를 심어 재시공하겠다고 하시는데 2층 바닥부분이 완료되었는데 그렇케 … 더보기
새글 단독주택 신축 건축규정문의(창호와 석고보드)
G 신축 | 댓글 1
안녕하세요 단독주택 건축규정 문의 좀 드리고자합니다 단독주택 건축 규정 중 창호는 이중창으로 할 경우 한창은 로이유리로 꼭 넣어야하는 규정 같은것이 없나요? 올해 신축한 부모님집을 가보니 이중창 모두 A종 U2 유리로되어있더라구요. 저는 신축은 기본 로이유리가 들어가야되는줄 알았는데 아… 더보기
새글 콘크리트 타설 이후 내외벽 상태입니다.
G 대청심천재입니다 | 댓글 4
협회 선생님들 수고 많으십니다...현재 저는 경남 김해에서 건축 시공중에 있는데 이런걸 여쭤봐도 될련지요... 1층 외벽과 내벽 계단 부분 시멘트 타설을 하였는데 사진과 같은 현상이 발생하였습니다. 내, 외벽면 모두가 이리 되었는데 어떻케 해야 할지 자문 구합니다...현장 소장은 미장으… 더보기
새글 외단열재 몰탈본드 두께 문의립니다.
G 덩이 | 댓글 3
안녕하세요. 수고가 많으십니다. 그림과 같이 외벽이 턱이 있어서 벽에 밀착하여 붙일수 없고 평활도를 맞추려면 20mm정도 본드두께가 나와야 될것 같습니다. 단열재에 메쉬미장 후 파벽돌을 붙일 예정인데요. 그럼 단열재에 본드량을 늘려서 단열재면적에 80프로까지 채워서 붙이고 뜨는 테두리 … 더보기
새글 커튼월 작업중에 지바?찌바? 작업이 뭔지 궁금합니다.
G 커튼월관련입문자 | 댓글 1
안녕하세요 커튼월 시공하시거나 설계작업하실때 보면 지바인지..찌바인지... ;; 지바(찌바)작업이다, 구조다 하시는데.. 그게 일반적인 커튼월 스틱이나 유닛만 알고있는 저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 잘 모르겠네요;; 구조적으로나 설계적으로든지 시공적으로든지 알고계신분이 있다면 도움 부탁드… 더보기
새글 RC조와 ALC 패널에서 고민중입니다.
G 개냥이조련사 | 댓글 1
안녕하세요. 1년반만에 글을 쓰는 것 같습니다. 패시브 협회를 통해 정말 많은 도움을 받아 제주도에서 단독주택을 잘 건축하여서 주거 및 농어촌민박을 성공적으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패시브협회라는 창구가 없었다면 정말 건축이라고는 1도 모르는 초짜가 직영으로 집을 짓고 디테일들을 풀어나가면… 더보기
욕실공사 중 부자재 문의(600각 쌍곰 드라이픽스1 사용)
G 말레이 | 댓글 4
쌍곰 압착 시멘트   2 에폭시   8 드라이 픽스   12 래미탈   20 현재 욕실공사 예정중입니다. 현재 욕실은 난방배관이 깔려 있습니다. 에폭시 - 쌍곰 세라에폭시 쌍곰 압착 시멘트 - 화이트멘트 1 드라이픽스 - 쌍곰 드라이픽스1 래미탈 - 한일시멘트(일반미장용)-초록색 현재 … 더보기
전열기 배관 재사용 문의
G 스크류바 | 댓글 5
얼마전 에어컨 문제로 전열기 배관이 철거 되었고 다시 복구하였습니다. 여기서 드는 의문점은 12년된 아파트 인데 전열기 배관을 그대로 사용해도 인체에 유해가 되지 않는건지 아님 천정 교체를 하면서 배관 전체를 교환해야하는건지 판단이 서지 않아 문의를 남깁니다.
대피공간 구성에 관한 요건 문의
G 정그린 | 댓글 1
안녕하세요, 발코니 확장을 계획하고 있는 시민입니다. 아래 도면의 ㄴ자 형태의 거실발코니를 확장하고자 하는데요. 이때 대피공간을 주방쪽 발코니에 만들고자 하는데 건축법 시행령 부칙 제2조에 따라서 갑종방화문을 설치하면 아래쪽 법령해석과 같이 대피공간이 구성된 것으로 볼 수 있는지, 아니… 더보기
벽하나 허물어도 될지 모르겠네요
2 원성대마왕 | 댓글 5
안녕하세요 조적조 평지붕 단층인 단독주택입니다. 저 벽 하나만 박살내면 더 바랄게 없을것같은데, 위쪽에 보면 뭔가 되게 허술해서 천장을 받치고 있나? 싶은데 허물어도 될지 모르겠습니다.
주방 화재 위험 질문
G 주방맨 | 댓글 2
안녕하세요^^ 매번 여러 질문에 답변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저는 주방 셀프 인테리어중입니다 저의 주방에는 첨부한 사진을 보시면 주방 타일을 마감하기 위하여 나무가 붙어있습니다 이것을 없애기가 어려워 나무에 퍼티작업 및 사포질 후 인테리어필름을 붙이려 합니다 조리를 위해서는 나무가 있는 타… 더보기
천정 고정 없는 15미터 목공 가벽의 안전 질문.
1 우화 | 댓글 2
천정에 고정하지않는 15미터짜리의 가벽 작업시 안전상의 문제가 없는지 궁금합니다. 가벽의 목적은 디자인이고 4500mm짜리 라운딩 문틀이 3개가 들어갑니다. 고정부위는 바닥과 양 끝 벽면만 작업하게 되는데 벽면은 2300mm정도. 바닥은 라운딩 문틀의 간격이 있으므로 450×4 정도의 … 더보기
아파트 에어컨 타공 문의
G aslena | 댓글 1
안녕하세요. 아파트 인테리어 중 사진과 같이 외부 벽면에 에어컨 배관 타공을 해도 되는지 문의 드립니다. 아파트 외벽 기둥은 내력벽에 해당할것 같은데, 구조에 영향을 줄 소지가 없을까요?
건축주가 도면 캐드파일을 받아보는게 안되는일인가요?
G 용봉 | 댓글 3
받아보기 힘들다는게 이해가 안됩니다..
제습기를 화장실에 두어도 될까요
G 제습 | 댓글 3
안녕하세요. 제습기를 설치하려고 합니다. 환기장치를 상시 가동하는 집이구요. 제습기를 사려고 하는데, 위치가 애매해서요. 개들 때문에 화장실 문은 항시 개방해두는데 화장실에 둬도 괜찮을까요? 거실에 두는 거에 비해 효율은 떨어질 것 같은데, 연속배수 잇점도 있어서요. 조언 부탁드립니다.… 더보기
아파트 난방배관(동배관) 시공 관련 문의의 건.
G 루시라 | 댓글 1
안녕하세요 :) 아파트 난방 배관에 관련하여 문의사항이 있어 질문드립니다. 27년된 (1997년식) 아파트를 매매하여, 인테리어 공사를 진행하려고 계획하고있습니다. 매매한 아파트는 인테리어가 한번도 되지않은 순정(?) 상태의 집이었습니다. 제가 생각하는 인테리어 공사에서 가장 중요한 우… 더보기
역전지 비드법 단열재 사용해도될까요?
G 정건우 | 댓글 4
안녕하세요. 더운데 고생하십니다. 역전지붕관련 2가지 문의 드려봅니다. 1. 아이소핑크 대신 저렴한 비드법 단열재 1종이나 2종을 사용해도 될지요? 2. 석쇄대신 인조 잔디를 깔아도 괜찮을지요? 모두 몸에 좋은거 드시면서 더운 날씨 건강하게 이겨내시길 바랍니다.^^
지붕재의 수명에 관한 고민
G 나그네 | 댓글 6
안녕하세요. 항상 협회 홈페이지와 유튜브를 통해서 많은 정보를 얻고 있는 예비건축주입니다. 감사합니다. 현재 건축사무소를 통해 도면 설계작업을 진행중인데 지붕재 선택을 하면서 목조주택에는 아스팔트 슁글이 가성비가 좋다고 해서 일단은 슁글로 정해놓은 상태입니다. 그런데 주변의 지은지 10… 더보기
리모델링 창호 교체 시공 관련 (방수 테잎 시공)
1 선소리꾼 | 댓글 5
리모델링 창호 교체 시공 관련 (방수 테잎 시공) 관련하여 벽돌마감 안쪽 흐르는 누수가 예상 됩니다. 설계에서는 방수테잎 시공 관련하여 도면이 없는 상태입니다. 창호 재시공 시 방수테잎을 어떻게 시공해야 질문드려도 될런지요? 하부쪽도 누수가 예상됩니다. 방수테잎을 감는 방법을 시공사에 … 더보기
외단열재 최대폭 600×1200을 지켜야하는 이유?
G 덩이7029 | 댓글 3
안녕하세요. 수고가 많으십니다. 다름이아니라 외단열재 900×1800을 붙여도 되는 환경이 있을까요? 저같은 경우는 2층 다락외벽이 바닥에서 높이가 1800정도라 900×1800을 붙이고 화스너도 박으려고 하는데요. 단열재 수수축팽창으로터질 위험이 있는건가요? 외단열재를 600×1200… 더보기
바탕면이 무엇인가요?
G 건린이 | 댓글 1
간단한 질문입니다. 건축물 보수를 하다 보면 '바탕면' 이라는 말이 많이 나오는데 대충 벽체 같은 면으로 된 부분 이라는 건 느낌적으로 알겠는데 굳이 '바탕'면 이라고 구분 짓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제가 놓치는 무언가 있는건지 그냥 표현이 굳어진건지 검색해도 뾰족한 대답이 나오지 않아 … 더보기
유리지붕(?)위에 가림막 작업 조언부탁드립니다.
G 유리지붕작업 | 댓글 9
계단 지붕이 사진과 같은 구조의 유리로 되어있어 보입니다. 이 지붕 위쪽으로 가림막 설치가 필요한듯 합니다. 지붕 아래쪽 계단이 덥고, 춥고, 결로(?)로 인해 물이 떨어지고, 비가 좀 샙니다. 저는 최대한 간단하게 빛과 비를 막아주는 가림막설치를 생각하고 있습니다만. 부모님은 이왕 하… 더보기
방통 크랙에 따른 바닥마감재 하자
G 00 | 댓글 1
방통 크랙 관련 글을 보다가 궁금증이 생겨서 문의드립니다. 방통에 크랙이 생겼을 때 장판, 마루, 타일별로 어떤 하자가 발생하는지 궁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