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시공관련 질문
창호 부분교체와 방하나 전창을 단창 확장시
G 영호 | 댓글 2
안녕하세요현재 창호를 외창과 내창 중 하나만 교체할 생각입니다평수도 크고 무슨 아파트를 이리 전창만 다 가져다 시공해놨는지 비용이 세서요탑층이라 난방이 걱정됩니다현재는 외창 단창 / 내창 단창 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유리는 복층인지 단층인지 불확실한데 단층이지 않을까 싶습니다외창과 내창 … 더보기
기초 단열에 관해
1 매치니코프 | 댓글 2
ALCi로 주택 지어려 합니다.외장은 알시톱이소 내장은 벽지입니다.기초에 단열 EPS 100이상을 하려고 합니다. 깊이는 400정도 생각하고요.하지만 위에서 받아줄 치장벽돌이나 단열이 없어 어떻게 마감해야 할지 모르겠네요.ALCi에 미장으로 마감 시 기초 단열은 포기해야 할까요?
지하 공간 결로 관련 질문있습니다.
G 염민열 | 댓글 10
안녕하세요. 구글링 하다가 이 사이트를 알게 되었습니다.이런 질문 올려도 되는지 모르겠네요 ^^;이번에 지상1층, 지하1층 으로 이루어진 상가주택에 입주하게 되었습니다.지어진지는 21~2년 정도 되었고요. 가운데 복도를 기준으로 좌,우 대칭으로 이루어진 공간이 있고 그중 오른쪽 공간(거… 더보기
ALIi 내외장 마감
1 매치니코프 | 댓글 5
쌍용 ALIi 350로 골조를 올리려고 합니다.외장 마감에 흰색 파벽돌을 붙이려고 하는데요. 어떤가요?그리고 ALI에 파벽돌을 붙이기 위해 별도 본드가 있나요? 어떤 제품을 사용해야할까요?내장 마감은 ALIi에 바로 벽지 시공 해도 될까요? 아님 석고 치고 해야할까요?
여름철 공사 거푸집 존치기간이 어떻게 되나요?
G diacastle | 댓글 1
여름철 공사 거푸집 존치기간은 부재별로 어떻게 되나요? 그리고 며칠 후에 상부층 작업이 가능한가요?
창문 개구부 여유폭
G diacastle | 댓글 1
현재 골조 공사중입니다. 창문사이즈보다 가로세로 각각 10cm 통상적으로 여유를 준다하여 그렇게 공사중입니다. 나중에 그 틈을 우레탄 폼으로 메꿔야하는 상황이 발생되는 것 같은데 10cm 여유가 올바른 선택인가요? 그렇지 않다면 어느정도 여유폭이 좋을까요?
보일러 선택
1 매치니코프 | 댓글 3
기름, 가스, 전기 중 어느 것이 좋을까요?효율로 보자면 전기는 탈락이고 기름과 가스인 것 같은데요.하지만 최근 가스 배관 잘려서 불이 나서 터진 사건을 보고는 조금 꺼려집니다.
복층 이중창일경우 로이유리 위치는 어떻게 되나요?
G 정수영 | 댓글 1
다름이아니라 복층이중창일경우 로이유리 위치는 어떻게 되나요??저 나름대로 인터넷등을 찾아 보았으나 g값이.....너무 힘듬니다ㅜㅜ로이유리를 쓰면 좋다고는 하는데...유리업자한테 물어보니 이래도되고 저래도된다고 하니믿음이 안가서 이렇게 문의를 드립니다.외부 1 2 3 4 5 6 7 8내부… 더보기
스치로폼재단 문의드려요
G 이대환 | 댓글 1
가등급 비드법2종 300T 재단 하는 기계및 노하우을 배우고싶습니다 150T정도는 프리컷터로해보았는데요 그것도 약간 가끔 열선이 끊어져서요 300T는 더 힘들것 같아서 문의 남깁니다 감사합니다 폭염에 건강잃지 마시고 힘내세요
바닥 마감재(장판, 마루) 시공 후 며칠 지나야 보일러 난방이 가능한가요?
G 최현재 | 댓글 1
보일러 난방을 하는 바닥에 장판, 마루 등의 마감재를 시공할 때, 본드(접착제)를 사용합니다.본드(접착제)가 완전히 충분히 굳은 후 난방을 해야 하자가 생기지 않는 걸로 알고 있는데요..장판, 마루 등 마감재 시공 후, 며칠이 지나야 바닥 난방을 해도 될까요?
이런 집도 패시브하우스로 지을 수 있나요?
1 김승년 | 댓글 9
,,태국의 집인데 너무 마음에 들어서, 이렇게 지어서 살고 싶습니다.(수영장 부분은 제외)그런데 창호 부분이 너무 많아서 문제일 수도 있을 것 같아 질문 드립니다.땅은 남향입니다.남향 창은 클수록 좋다는 글을 이 홈페이지 어디선가 읽은 것 같아서요.이런 모양의 집을 패시브 하우스로지을 … 더보기
2x8 목조주택 단열재 두께
G 박찬욱 | 댓글 3
안녕하세요.목재 사이즈 2x8로 외벽공사 예정이고, 단열재는 R-24로 계획하고 있는데, 2X8이면 두께가 184mm이고, R-24두께는 가장 두꺼운 제품도 160mm로 나오는데, 그리 되면 단열재를 꽉 채울 수 없게되어 단열효과가 걱정됩니다. 어떻게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까요?
철근배근 단부 U바 역할?
G diacastle | 댓글 1
철근공이 벽체 단부와 이음부에 U바를 설치를 하지 않았네요 꼭 설치해야하지 않나요? 그리고 U바의 역할이 무엇인가요?
옥상 외단열 마감관련 질문드립니다.
G 최성민 | 댓글 4
안녕하세요, 지난 번 평지붕 외단열 질문드렸었는데요,이곳에서 배운대로 적용하고, 마감만 아래와 같이 밀보드데크로 하려고 합니다.그런데 금일 시공자와 위의 외단열 시공을 논의하니, 시공자는 역시 단열성능에 피부로 느낄 정도의차이는 없을 것이라면서 지붕부분은 내단열을 강력추천했습니다...1… 더보기
안방 화장실 누수 및 안방 단열
1 처일 | 댓글 5
안녕하세요.거주 중인 집 인테리어를 계획하며 정보를 수집하다가 이곳을 알게되었는데제가 원한 부분이 인테리어 보다는 보수쪽인 것을 인지하게 되었습니다.주방, 공용/안방 화장실, 안방을 공사계획하고 있는데1) 안방 화장실 물이 안방으로 누수가 되는 것 같음2) 겨울철 안방(측벽위치) 온도가… 더보기
징크 용마루 밴트시공 문의 입니다.
1 도로시오빠 | 댓글 6
내부부터 석고2p 인텔로 서까레(인슐레이션) 지붕용 투습방수지 2x4각상 osb합판 방수시트 구성 입니다. 문제는 알루징크시공 예정 입니다만. 업체의 의견으로는 방수시트를 터서 용마루 벤트 시공이 된다면 as 불가라는 내용을 받았습니다. 반대로 당연히 용마루를 방수시트를 보존하여 밴트시… 더보기
RC 구조 다가구 주택 베란다 단열
1 별내동 | 댓글 2
안녕하세요, 저는 건축주도 아니고...부모님께서 남양주에 RC구조 5층짜리 다가구 주택(1층 주차장, 2~4층 주거, 5층 다락)을 건설하고 계십니다.이제 2층까지는 콘크리트 타설을 한 상황입니다.일전에 RC구조의 외단열 XPS 일체타설 관련하여 한번 질문 글을 올렸고,제가 건축주도 아… 더보기
기초의 단열재 설치 순서.
1 아기고양이 | 댓글 5
안녕하세요 기초 단열재에 대해 궁금항 사항이 있어서 질문드려요.지금 시공중인 건축물이 파일 / 매트기초입니다.(철근콘크리트조)도면상 기초 단열재의 위치는 잡석 / 필름 / 버림 / 단열재 - 구조체(기초) 의 순서로 진행되어 있습니다.이 순서를 시공시 잡석 / 필름 / 단열재 / 버림 … 더보기
기시공된 욕실 타일 위 방수공법 선정 문의
2 아도라 | 댓글 15
안녕하세요~^^너무 덥죠? 미처버리도록 더운거 같습니다.나홀로 집짓기 시작한지도 어느덧 두달째 접어들고 있네요~ㅋㅋㅋㅋㅋㅋ서두가 길었습니다.....저희 마을에 목조된 시공된 그리고 시공 되고 있는 주택 들이 있습니다.물론 불량시공의 온상이죠~ 이걸 모아 이렇게 집지으면 안된다를 써도 될… 더보기
공기청정기를 이용한 강제환기
1 김승년 | 댓글 8
미세먼지 스트레스 때문에 감당을 할 수가 없어서,3월달부터 아파트에서 공기청정기를 통해서 24시간 강제환기를 하고 있는데요.이것이 패시브하우스와 여러 면에서 비슷한 면이 있는 것 같습니다.그리고 전문가 분들께 새로운 형태의 환기 주택에 대한 어떤 영감이 생겼으면 하고 올려 봅니다.1. … 더보기
웜루프 시공시 천장 단열
G 전용진 | 댓글 6
http://naver.me/58ktkd64 위에 링크 말고도 이곳 질문게시판에도 내용이 있었던것 같은데 확실히 이해가 안되는 부분이 웜루프 시공시 천정단열을 하면 왜 서까래 끝부분에 결로가 생기나요?
기초(기단부)하부 습기에 대한 궁금증..
1 무지개토끼 | 댓글 1
안녕하세요~땅만 사놓고.. 평면 레이아웃만 겨우 스케치해놓고 1년째 방치되고 있는 상태인데,이런저런 잡 생각만 드네요~지금 제가 살고 있는 집은 크롤기초거든요.. 환기구도 되어 있고.. 그래서 가끔씩 환기구 안에머리 들이밀어서 살펴보기도 합니다. 혹시나 젖어있는곳은 없는지~ 바닥 골조가… 더보기
완공된 주택에 창호 추가 설치.
G 연서네 | 댓글 2
안녕하세요. 저희는 경량목구조로 올해 집을 완공했습니다. 우선 지붕은 2중지붕 구조로 서까래-스카이텍- 각재 -osb - 방수시트 -슁글마감이구요. 외벽은 석고보드 2장- 샛기둥 - osb -스카이텍 - 쫄대 - 시멘트보드 - 벽돌타일부착 순서입니다. 최근 날씨가 더워서.. 2층은 후끈… 더보기
정화조 통기관 설치
1 샘케이 | 댓글 1
오수배관과 연결된 통기관을 설치할 경우 추가적인 통기관 (그림의 빨간색 통기관)설치가 필요한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