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시공관련 질문

주택 시공 관련 자문을 구하며, 제품 추천 부탁드립니다.

G 공동주택 3 400 2023.01.17 23:39

유튜브 통해서 알게되어 이렇게 몇가지 여쭙고자 질문 드립니다.

 

1. 지하 1층 지상 3층, 다락층의 타운하우스 진행중이며, 도면상 옥상에 다락층과 평지붕으로 되었는데요.

   평지붕 부분에 우레탄 노출방수로 명시가 되어있습니다.

   우레탄 노출방수를 하지않고 습식공법을 사용하지 않는 방법으로 시공하고자 합니다.

   옥상에 단열재는 내부에 타설부착으로 골조 시공이 완료된 상황이며 이럴 경우에 단열재시공은 빼고

   투습지필름→방근시트부착→쇄석→방부목 또는 타일 이렇게 시공 진행하면 방수문제가 해결될까요?

   아니면 다른 시공법이 있으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2. 현장은 제주도 서귀포시의 습한 곳인데요. 습기때문에 질문드립니다.

   열환기장치는 거실에 천장형 한대씩 설치가 들어가고, 방마다 냉,온풍기가 설치 예정입니다.

   2층에 방마다 층고가 일정치 않고 달라서 열환기장치를 전체적으로 설치가 불가한 상황입니다.

   그래서 거실에 X펠 제품을 한대 설치 예정인데요.. 다른 설치 가능한 제품이 있다면 추천 받고 상담

   및 견적 진행받고자 합니다.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Comments

M 관리자 2023.01.17 23:45
안녕하세요.
비밀글은 답변이 불가능하기에 도면을 삭제하고 공개글로 전환을 하였습니다.

-----------
1. 이 경우 투습방수지는 필요로 하지 않으며,
300g 토목용부직포 - 쇄석 - 마감의 순서로 하시면 되세요. 아마도 아래 글의 댓글을 읽어 보시면 도움이 되실 것 같습니다.
https://www.phiko.kr/bbs/board.php?bo_table=z4_01&wr_id=54395

2. 거실에 힘펠제품은 소음이 거슬릴 수 있습니다. 천장형을 설치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라면 경동제품이 조금 더 낫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품이 조금 낫다는 것이지 거실 천장에 설치할 경우 전반적인 것을 모두 안심할 수 있지는 않습니다.  국내 제품의 고질적인 문제는 외기와 연결된 배관에 대해 건전한 단열조치가 된 배관을 사용하지 않고, 얇은 단열재가 들어간 배관만으로 끝내기 때문에 배관에 결로가 생길 수 있는데.. 거실 천장일 경우 결로수가 하자로 이어질 수 있기에 설치가 어렵습니다.
또한 환기장치 설치 후 급/배기 풍량시험을 필수로 하지 않기에, 옵션 추가를 해서라도 이 작업이 함께 이루어져야 적절한 환기가 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비록 제주도라서 결로의 가능성이 육지보다는 낮을 수 있지만, 그래도 안전하다고 볼 수는 없습니다.
G 공동주택 2023.01.18 14:00
위 답변 감사합니다. 몇가지만 좀 여쭤보겠습니다..

1. 답변에서 저희는 내단열로 시공이 완료 된 부분인데 그럼 방수시트→토목용부직포→쇄석→마감 이 순서라는 말씀이시죠..? 우려되는 부분이 부직포 위에 쇄석을 깔게되면 혹시 부직포가 파손되면서 방수시트가 파손되는건 아닌지 걱정이되서요..단열재(20~30)를 방수시트 위에 깔아주는게 좋을까요..?

2. 천장형의 설치를 안하게 되면 설치를 어떻게 해야 좋을지요..
M 관리자 2023.01.18 22:32
1. 300g 부직포가 쇄석으로 부터 방수층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이며, 나중에 식물이 뿌리를 내리지 못하게 하는 부가적 목적도 같이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단열재를 깔지 않아도 되지만, 깐다고 해서 더 나빠지는 것은 아니므로 실행 가능한 방법입니다.

2. 위에 언급된 벽부형 환기장치 외에는 방법이 없습니다. 다만 말씀드린 바와 같이 벽부형 보다는 거실만이라도 환기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더 나은 방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