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시공관련 질문

노후아파트1층 리모델링하는데 난방 방수 단열 관련질문드립니다.

G 순아름 2 716 2022.12.23 14:02

저는 40년된 아파트 리모델링을 의뢰한 집주인입니다.

층고가 낮은 아파트인데 낡고 냄새나고 춥고 해서 리모델링을 결정했습니다. 

한샘 리하우스에서 견적받고 진행하려는데 선생님 유튜브보고 나니 이거 괜히 맞기고 체크 안하면 낭패볼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어서 열심히 공부하려는데 한계가 있네요. ㅜ.ㅜ

 

질문 1  거실 방 등 난방 단열 질문

        한샘에서는 바닥을 다 뜯고 기포콘크리트후 흙깔고 와이어매쉬?에 엑셀관 묶고 방통마무리

이렇게 진행하려고 하던데 단열및 난방에 전혀 문제 없다고 합니다. 

그런데 이곳 아파트는 1층은 춥기로 유명해서 단열에 더 신경쓰고 싶다고 얘기 했으나 잘 들어 주질 않아서 도움을 청하려 합니다. 

 유튜브랑 이곳 글을 읽어보고 나름 정리하면 

 바닥 슬라브 -> 기포콘크리트 평활도잡음(4cm정도 : 층고가 낮은아파트라서 얇게하려는데 괜찮은지요)

 -> 아이소핑크 바닦및 벽면5cm정도까지 올려서 마감-> PE필름 -> 엑셀 와이어 매쉬 고정 -> 엑셀u바 고정 -> 몰탈 

 

 이렇게 해도 괜찮을까욧?

 

 

질문 2  화장실도 추워서 난방 배관 깔고 냄새없고 곰팡이 없는 화장실로 쓰고 싶어요~

 

 업체측에서는  액체방수=> 고뫄스 => 엑셀 => 흙> 타일마감  이렇게 생각하고 있네요.

 

저는 액체방수-> 고뫄스->흙뿌리기 -> 아이소핑크 ->pe필름 ->엑셀->사모래 -> 타일마감

 

이렇게 괜찮을까요? 무기계탄성고막방수로 하고 싶지만 금액이 비싸면 저렇게 타협하려고하거든요.

이중배수는 무슨 뜻인지 이해를 못하더라구요.ㅜ.ㅜ  사모래층 물을 배수하려면 구배도 중요한데 그걸 하기가 까다롭고 바닦도 두꺼워져서 결국 화장실 층고가 낮아져서 어렵다는거에요.

사모래층에 배수를 안하고 난방관만 깔면 냄새에서 자유롭지 못하겠죠? ㅜ.ㅜ

 

질문 3 화장실 난방때문에 타일 깨짐이나 매지등이 신경쓰여서요

        타일은 600*1200으로 결정했습니다. 

        타일접착은 어떤걸로 해야 합리적이고 하자없을지 궁금해요. 

         드라이픽스 난방용 이나 아덱스18X프리미엄  이정도 밖에 모르겠는데 괜찮을지요. 

         타일매지는 마페이케라폭시가 접착이나 곰팡이에 좋다고 해서 생각하고 있습니다. 

         타일에 피는 곰팡이가 너무싫어서요.

 

전문지식이 없다보니 질문도 유치하고 이상하지만 꼭 답변 부탁드릴께요~

 

 

 

Comments

M 관리자 2022.12.23 18:40
안녕하세요..
죄송합니다만, 글이 조금 길어질 수 있는데, 제가 외근 중이라서 내일 오전까지 답변 드리겠습니다.
M 관리자 2022.12.24 11:46
한샘리하우스면 그래도 그 쪽 업계에서는 대기업인데, 대리점 교육은 전혀 하지 않고 있는 것 같습니다.  지금 시대에 흙이 등장을 하다니....

1. 기포콘크리트 40mm 만 하셔도 무방합니다. 순서는 적어 주신 대로 하시되, 단열재는 압출법단열재보다 비드법단열재(스치로폼)이 더 나은 선택입니다.

2. 그래도 난방관이 들어가면 어느 정도 증발이 가능하기에 없는 것 보다는 낫습니다. 이중배수가 최선이긴 합니다만...
바닥의 구성은 적어 주신 대로는 안되고요.
흙을 사용하는 것은 단열재를 깔기 위한 평활도를 위한 것인데, 그 곳에 물이 고여있게 되므로 제외하셔야 합니다. 그 보다는 단열재를 최대한 잘게 잘라서 작은 크기로 깔아 주시는 것이 더 나은 방법입니다. 그러면 바닥면이 좋지 않더라도 단열재 하부가 크게 뜨는 곳이 없어 질 수 있습니다.
그리고 화장실은 물이 개입되는 곳이므로 이 곳만은 압출법단열재가 맞으며, PE필름은 생략되어야 합니다. 또한 사모래에 엑셀관이 들어가므로 엑셀유핀도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구성은...
액체방수-> 고뫄스-> 잘게 자른 아이소핑크 ->엑셀->사모래 -> 타일마감의 순서입니다.

3. 타일이 너무 큰데요.. 가급적 600x600 은 넘지 않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타일본드가 무엇이냐 보다는 떠발이 시공이냐, 전면접착이 가능한 상태냐에 따라 다릅니다. 떠발이 시공이라면 에폭시 계열 외에는 방법이 없습니다.
https://ssangkom.co.kr/description/chart.ph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