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시공관련 질문

상가 내단열

1 나판 6 649 2022.12.24 08:12

안녕하세요. 상가 인테리어시공에 앞서 단열재를 부착하려고 합니다. 협회 글을 통해 내부에서 외기 면하는 벽에는 압출법 50t에 테이핑, 석고2p시공을 하려는데 천정도 같은 방법으로 하면 좋을지 (현재 스티로폼이 붙어있으나 20년 이상 되어 제기능은 하지 못할것 같습니다) 단열재에 석고부착은 본드만으로 괜찮은지,

아니면 옥상바닥으로 외단열을 하는게 좋을지 (현재 우레탄방수 마감되어있습니다) 궁금합니다

핸드폰으로 하려니 사진이 첨부파일로만 가능하네요 ㅠ

Comments

M 관리자 2022.12.24 11:28
비주거시설은 실내 습도가 주거시설만큼 높지 않아서, 내단열에 의한 하자의 확률이 상대적으로 낮습니다. 그러므로 내단열을 꼼꼼히 하시는 방법도 괜찮은데요.
다만 지붕의 경우 이게 단열 만의 문제가 아니라 방수의 수명과도 관련이 있기에, 외단열 역전지붕을 하는 것이 나은 선택입니다.
다만 문의 턱이 낮아서, 지붕의 외단열을 한다면 문 하부 턱을 높이는 것까지 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그게 영 어렵다면, 내단열을 보완하시고 지붕에는 300g 짜리 토목용부직포 위에 지름 40mm 의 파쇄석을 깔아 주는 것이 차선입니다.
1 나판 2022.12.24 12:02
감사합니다!! 오늘 단열재 시공업체를 만났는데.. 단열재 사이 테이핑 말씀드렸더니.. 기밀을 위해 일부러 1센티정도 간격을 띄우고 붙인 뒤 폼을 채우신다네여… 계속 제 생각을 말씀드렸지만 돌아오는건 ‘잘못알고있는거다.’였습니다 ㅠㅠ
M 관리자 2022.12.24 12:21
1cm 정도 간격을 띄우고 폼을 채우는 것도 방법입니다.
다만 그럼에도 테잎은 붙여 주셔야 해요. 폼의 투습저항계수를 알려 달라고 하시면 되세요. 그러면 그 두께의 폼으로는 습기가 투과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게 되니까요.

다만 위에 말씀드린 바와 같이 비주거시설은 습기로 인한 하자의 확률이 낮은 편이니... 그 부분은 하고 싶은 방법대로 하도록 두셔도 괜찮습니다.
다만 단열재 사이의 틈새도 중요하지만 더 많은 틈새가 생기는 부분이, 단열재와 벽이 만나는 부분입니다. 그 부분에도 품이 밀실하게 채워질 수 있도록 이야기를 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1 나판 2022.12.24 12:25
크리스마스 이브인데…… 답변해주셔서 정말 메리메리 감사합니다!! 벽과 접착부분은 아까도 말씀드렸어요!!
1 나판 2022.12.24 12:29
지붕에는 부직포 깔고 자갈 깔아야겠네요! 자갈 대신 건식 데크도 괜찮을까요?
M 관리자 2022.12.24 12:35
그렇지 않습니다. 파쇄석이 최선입니다. 만약 데크를 하고 싶다면 파쇄석 위 하는 것이 더 나은 방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