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시공관련 질문

열반사단열재 및 영롱쌓기관련 질문입니다.

1 스와브 2 1,243 2022.10.12 19:54

안녕하세요^^

열반사단열재 및 영롱쌓기 관련 질문드립니다.

현재 창호주면으로 영롱쌓기 포인트 부분이 들어가면서

도면과 같이 열반사단열재와 영롱쌓기 부분이 생기는데요.

 

1. 해당부분으로 인해 단열, 결로, 누수 위험 부분이 높아질 수 있는 상황일까요!?

2. 위 상황을 개선방법이나 시공방법은 어떤 것이 있을까요!?

 

개선방법이나 시공방법이 까다롭다면 포인트부분을 빼고

다른 벽체와 마찬가지로 벽돌타일마감으로 변경해야하는지 고민 중에 있습니다.

 

2,3층

2층.PNG

 

4층

4층.PNG

 

입면

입면.PNG

Comments

M 관리자 2022.10.12 20:53
안녕하세요..

저희가 부탁드릴 것이 있는데요.. 단열재 위에 타일을 직접 접착하는 방식을 적용하셨는데요.
신축 후, 이 건물을 언제까지 소유하실지는 모르겠으나, 10년 정도 후까지 보유를 하신다면, 10년이 지난 시점에서 외벽면의 상태를 저희에게 알려 주실 수 있으실까요..
그 때까지 협회 홈페이지가 있으리라는 보장도 없지만, 만약 있다면... 부탁드려 봅니다.

--------------------
창호 주변에 영롱쌓기를 할 경우, 대량의 빗물이 마감재 뒤로 넘어간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럴 경우 창호 주변의 방수테잎 시공이 무엇보다 건전성이 확보되어야 합니다. 그리고 콘크리트 외벽의 균열 방지를 위해서 밀실시공이 되고, 양생과정에서의 온도관리도 신경쓰셔야 합니다. 모든 이어치기한 부위에도 수팽창지수재를 적용하셔야 하고요.
거기에 더해서 비구조요소의 내진설계 규정에 의해서 600x600 간격으로 긴결철물 박아야 하고, 영롱쌓기를 위한 수직 철근이 개입되어야 합니다.

이 것만 유의하시면 무리는 없습니다.
다만 열반사단열재가 사용되는 것이 마음에 걸릴 뿐입니다.
1 스와브 2022.10.12 23:25
건물에 대한 소유상황은 어떻게 될지는 모르겠지만, 확인가능하다면 잊지않고 꼭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말씀주신 것처럼 여러모로 신경써야할 부분이나 비용적으로 불리한 점이 많네요.
고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늦은 시간까지 답변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