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시공관련 질문

단열재(EPS) 2겹 시공 시 접착 방법 문의 드립니다.

14 이성원 10 11,360 2011.06.15 20:18
단열재 2겹 시공 시 이음매가 서로 만나지 않게 엇갈리게 해야하는 것은 알겠는데요.
단열재끼리 만나는 부위 즉 이음매는 무엇으로 붙히는지요? 전에 보니까 청테이프 붙히는 분도 있고
폼을 쏘는 분도 있던데 말입니다. 생각엔 폼이 훨씬 좋지 싶은데 테이프 붙히는 분은 상관없다고 하네요...
그리고 1겹 다음에 2겹을 붙힐 때 못을 찔러 넣어 고정 시키기도 하던데 제가 보기엔 영 아니다 싶어서요.
제 개인적인 욕심으로는 드라이비트(마땅히 상품명 말고는 생각이 안나네요) 시공 할 때 쓰는 본드를 쓰면
좋을 것 같네요. 정석대로 시공 한다면 어떤 방법이 있을까요?

Comments

M 관리자 2011.06.15 20:25
최종마감이 외단열미장마감(드리이빗계열) 인가요?
14 이성원 2011.06.15 20:38
전면은 석재 시공 예정입니다.
측면과 후면이 드라이비트 마감입니다
M 관리자 2011.06.15 21:00
최종 마감이 석재라면 단열재본드(G2본드)를 이용하여 접착을 해도 되며, (여기서 해도 된다는 것은 화스너 시공을 하지 않다도 된다는 뜻입니다. 못이나, 청테이프는 말도 안되는 방법입니다. )

최종마감이 외단열미장마감 이시라면 반드시 화스너 시공을 해야 합니다.
화스너 시공 사진은 질문게시판 글중에 있습니다.
라고 했으나, 착각을 했네요.. 사진을 올립니다...
사진도 화스너를 사용하기는 했으나, 잘못된 시공의 예입니다. 간격이 너무 넓어 탈락의 우려가 있는사진입니다. 단열재는 600x1200을 넘기지 않고, 본드와 화스너를 병행하여 시공하는 것이 옳은 방법입니다. (건물 높이에 따라 다릅니다.)
14 이성원 2011.06.15 21:06
네. 잘 알겠습니다.
그런데 청테이프나 못으로 고정하는 것을 설계사 직원이 나와 보고도 아뭇소리 안 하길레.....
괜찮은 줄 알았습니다. 다만 좀 더 좋은 방법이 있지 않을까 했는데.
기본적인 개념들이 너무 없어서 사용자가 일일히 챙겨야 한다면.....참 답답하군요.
 
답변이 너무 빨라서 마치 실시간 챗팅을 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M 관리자 2011.06.15 21:41
ㅎ.. 그렇군요.
못이나 청테이프는 그냥 조금만 상상해도 탈락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게 석재에 가려져서 보이지 않을 뿐입니다.

말씀드린 바와 같이 외단열공법관련 책을 하나 번역하고 있습니다. 좋은 책이며, 나중에 보시면 많은도움이 되시리라 판단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14 이성원 2011.06.15 22:01
음 그리고 기초부분에 시공되는 단열재(EPS)는 압출방식의 단열재로 사용하되 기초시멘트에 방수액을 바르고 단열재 2겹 시공하고 그 위에 다시 시트방수를 하면 방수도 잘 되고 EPS가 가스방출로 기능이 저하되는 것도 좀 방지 될까요? 단열재에 대한 기능저하 글을 보고는 걱정이 되서요...
화스너 사용 시 점형열교 해결 방법도 좀 알려 주세요.
아, 석재 시공을 위한 앵커 작업도 단열 문제로 걱정이 되긴 하네요. 끝이 없네요.
냉난방 필요없는 항상 봄이나 가을 같은 곳을 찾는게 더 빠를지도 모르겠습니다.
외단열공법책 번역 되시면 선착순으로 손 듭니다.
1 김용철 2011.06.16 10:26
회장님께서 많이 바쁘세요~^^

1. 기초부분 단열재는 XPS를 사용합니다.
    EPS의 경우 작은 틈으로 물이 들어오면 물을 흡수하므로 단열성능은 떨어집니다.
    그리고 압축강도 또한 고려하셔야 하구요.
2. 화스너 사용 시 점열교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생각하세요.
3. 석재 시공을 위한 앵커 작업은
    금속재의 닿는 면적이 크고 열전도율 또한 크므로 사실 열적으로 취약해집니다.

P.S. 저도 외단열공법 번역본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14 이성원 2011.06.16 15:32
압출이라고 해 놓고도 EPS라고 했네요 정정합니다  XPS로..
배워도 ...
돌아서면 잊어버리는 얄미운 속삭임.
1 임종섭 2012.01.01 23:06
외단열 EPS 시공위에 석재시공은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있지 않은지요??? 화스너앙카 고정을 하려면
기존 시공된 EPS 단열재의 손상을 피할 수 없을듯한데... 저의 경우는 열반사외단열 시공후 건물내부에
EPS단열 시공한 후 12mm석고로 마감했습니다만 열반사외단열의 경우는 앙카에의한 점열교만 생기므로 문제가 덜할듯 해서요...
M 관리자 2012.01.02 11:11
맞는 말씀입니다만, 먼저 열반사단열재에 대해서는 기술자료실의 "단열재의 종류 및 특징 - 열반사단열재" 부분을 보시고 이야기를 이어 갔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