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시공관련 질문

경량철골 외부 및 내부 단면도 문의 및 기밀 시공

G 파란하늘 3 1,645 2021.10.20 15:42

안녕하세요. 

 

기존 목조주택에다가 증축건축물을 경량철골 및 판넬로 시공을 하려고 전에 문의 드렸던 건축주 입니다.

 

목구조로 증축을 하고 싶었으나 여러가지 이유로 못하는 실정으로

문의 드리기에 앞서서 시공법 추가에 따른 건축비 상승은 상관 없습니다.


보내주신 답변과 협회의 좋은 자료로 하여금 정리한 내용은 하단과 같습니다.

 

요약

 

*경량철골은 100*100 구조강 사용시 중단열 및 내단열은 의미 없다.

 *외단열 기밀시공이 최선이다.

 

1.상기와 같은 전제하에 단면도를 구성 하였는데, 올바른 구성인지가 궁금합니다.

 

2. 외단열 200t로 마감하였는데 100*100 구조강사이에 중단열 의미가 있을지? 있다면 어떤 단열재가 좋을지?

 

3.경량철골인데 방습층이 필요할지? (경량구조는 필요하다고 협회에서 보았습니다만 경량스틸과 목구조랑 헷갈리내요)

 

 

마무리.

협회를 보면 경량철골은 표준시공법이 없다고 많이 말씀 하셨습니다.

즉 기밀시공이 어렵다는건데요.

근데 저같은 경우는 비용보다는 건축 환경이 경량철골밖에 못하는 실정이라, 비용은 크게 상관은 없습니다.

 

만약 제대로된 시공을 하려고하면 외부 및 외부 그리고 지붕부의 단면 디테일을 볼수 있는 글이 있을까요?

 

늘 상세한 답변에 감사 드립니다. 운영자님


Comments

M 관리자 2021.10.21 00:11
안녕하세요.

사실 저희도 경량철골구조에 샌드위치판넬의 조합에 대해서는 아는 것이 거의 없습니다.
그러므로 아래에 적는 내용은 정량적 근거가 아닌 경험에 기댄 표현일 수 밖에 없음을 미리 양해 부탁드리겠습니다.

1. 샌드위치판넬에 외단열+마감재를 하는 것이 훨씬 좋은 환경을 만들어 줄 수 있는 방법이긴 하나.. 100mm 단열재를 사이에 두고 마감재를 고정하는 것은 어려워 보입니다.

물론 시중에는 말도 안되는 철판두께인 0.3mm 가 많이 사용되기에 더더욱 안되지만, 0.5mm 두께의 철판이라 할지라도 100mm 단열재와 마감재를 장기간 버티기는 어려울 것 같습니다.
그러므로 단열재 두께를 50mm 정도로 하고 마감을 하시는 것이 나아 보입니다.

혹은 협회 자재협력사인 동건패널을 사용할 경우 고정 방식이 안쪽에서 체결되기에.. (공사비가 빠듯하지 않는다면) 시도해 볼 수 있는 방법인 것 같습니다.

2. 중단열은 전혀 의미없습니다.

3. 중단열을 하지 않는다면 방습층은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 그저 판넬과 판넬사이의 접합부에 틈새가 발생하지 않도록 유의하시는 것이 최선의 방법입니다.
G 파란하늘 2021.10.21 17:43
1. 0.6T를 쓰는 판넬을 주문 하도록 하겠습니다.
2.만약 동건패널 이용시 상기처럼 레인스크린처럼 해놓은 하지 작업은 빼도 될거 같은데, 우레탄패널이 습기에 안전할까요?
M 관리자 2021.10.21 19:08
0.6T를 구하기 어려우실 수도 있습니다. 그럴 땐 0.5T라도 선택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그리고 외벽의 우레탄보드는 습기와는 무관하다고 보시면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