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시공관련 질문

GL 기준 기초 높이

1 매치니코프 11 3,315 2020.06.06 22:45

통상 기초의 윗면을 GL에서 300mm로 잡는 것으로 압니다.

 

그러면 GL 기준 기초(300mm) + 방통 단열(200mm) + 방통(50mm)

 

이렇게 하면 550mm 인데 개인적으로 너무 높게 느껴집니다.

 

기초를 200으로 해도 무방할까요? 더 생각해야 할 사항이 있는지요?

 

더불어

 

아래와 같은 집처럼 GL과 집이 거의 수평으로 잡을 수 있는 방법이 있는지요?

 

(이미지 출처 : https://www.youtube.com/watch?v=hdtDWFR1av8&t=259s)

Comments

M 관리자 2020.06.06 23:15
기초 슬라브는 GL 높이와 맞출 수도 있습니다.
그 경우 기초 주변으로 우수의 침투를 막기 위한 조치를 하게 됩니다.

그럴 조치가 안될 경우 GL+100 이 한계입니다.
사진의 주택이 대충 그 정도 높이로 보입니다.
1 느린생각 2020.07.19 11:11
우수의 침투를 막기 위한 조치에는 어떤 방법이 있나요?
유공관, PE배수로+트렌치 중 하나로 하면 되나요?
M 관리자 2020.07.19 13:39
아래 내용을 보시면 도움이 되실 것 같습니다.
http://www.phiko.kr/bbs/board.php?bo_table=z3_01&wr_id=334
1 느린생각 2020.07.19 18:48
감사합니다. 많은 도움 되었습니다.
쇄석 등으로 기초 테두리의 물빠짐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을 이해했습니다.
이렇게 향상된 기초 테두리에 모아진 물은 결국 어디서 빠지게 하는 것이 가장 좋은 것인가요?

1. 그대로 토지 지하로 흡수
2. 구배를 주어 한 곳 우수관으로 모아 배수
M 관리자 2020.07.19 18:56
토질의 상태에 따라 다릅니다.
우리나라 통상의 표토인 이른바 "마사토"라면, 그냥 지반으로 내려 보내도 괜찮습니다.
1 느린생각 2020.07.19 19:56
지반으로 흡수된다 하더라도 기본적으로 쇄석 상단부가 우수관으로 구베되게 해야하지요?
M 관리자 2020.07.19 20:11
"우수관으로 구베되게"의 의미를 이해하지 못했습니다.
1 느린생각 2020.07.19 20:47
우수맨홀입니다. 이 맨홀로 모아져 공동 우수관으로 연결됩니다.
M 관리자 2020.07.19 21:19
네 그러시면 되십니다.
1 느린생각 2020.07.19 21:40
우수맨홀로 모아지는 물의 양과 지반으로 흡수되는 물의 양의 비율이 데이터로 나온 게 있나요? 무엇을 더 중요하게 생각해야 하나요?

그리고 유공관으로 모아진 물은 어떻게 처리 되는 건가요? 유공관이 우수관과 연결되어야 하나요? 아니면 지반으로 흡수되게 도와주는 장치일 뿐인가요?

매번 친절한 답변에 감사드립니다.
M 관리자 2020.07.19 21:48
유공관을 사용하신 다면, 유관관이 우수관과 연결이 되어야 합니다.
하지만 물은 시간이 지나면 자연스럽게 빠지며, 지붕의 면적을 고려할 때, 단독주택 수준에서는 (기초주변의 설계와 시공이 건전하다면), 유공관은 의미가 없으며, 쇄석층에 모여서 서서히 스며들게 하시면 됩니다. 오버플로어가 될 정도의 빗물이라면, 어차피 유공관도 수용을 하지 못하는 것은 마찬가지이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