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시공관련 질문

내부 공사 관련 문의드립니다.

G 나무항아 3 327 2023.12.04 10:33

안녕하세요.

내부공사를 시작하려는데, 몇 가지 궁금한 게 있어 여쭤봅니다.

 

1. 콘센트 마감

 

외기와 닿는 부분의 콘센트를 전기공사하는 분이 사진의 위 부분처럼 시공했습니다. 이 경우 결로 위험이 있다고 해서 단열공사할 때 바꾸려고 합니다. 단열재 50t + 30t + 2P 석고 마감입니다. 콘센트의 높이가 50mm여서 그림처럼 단열재 사이에 넣으려는데, 이 방법이 맞는지요?

 

2. 목재 상을 걸 때 타카의 사용

 

외기와 닿는 벽체를 세울 때 50t 아이소핑크 이후에 30mm 다루끼로 상을 걸고 사이에 30t 아이소핑크를 넣을 계획이었는데요,  이 방식이 최선인지 의문이 듭니다. 목재(상) 부분이 단열에 취약해질 듯 싶어서요. 상을 아예 없앨까, 생각 중입니다.

그럴 경우 50t와 30t 단열재를 우레탄폼으로 붙인 후 석고2P를 어떻게 붙여야할까요? 마지막 1P는 타카를 사용해도 된다고 읽은 거 같은데, 첫1P는.... 본드로 붙여야 하는지요?

폼과 본드를 바르고 작업할 때, 벽체의 평활도를 어떻게 잡는지도 고민이고요....

 

3. 천정 상을 걸 때 타카의 사용

 

2번과 비슷한 고민인데, 천정은 상을 안 칠 수 없기에.......

결국 콘크리트면에 목재 상을 타카못으로 고정시켜야 하는데 이  방법이 맞는지요?


Comments

9 잡자재 2023.12.04 17:38
1. 사람마다 다를 수 있겠습니다만 제 경우에는 복스없이 각상으로 위치를 잡아서 기구만 설치하는게 더 수월했습니다. CD관에 기밀처리+CD관 관통부위 기밀처리+각상+2PLY+기구설치 순입니다.
 
2. 50T의 조인트 부위만 기밀테이프로 붙이고 각상 사이에는 20T를 넣어야 편하실 것으로 보입니다. 우레탄폼으로 부착시 30T를 적용하면 각상보다 돌출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50T를 적용하고 조인트에 기밀테이프를 붙임으로 방습층을 형성시킨 후 각상과 중간에 20T를 껴 넣는 방식입니다. 벽의 평활도와 창호하부의 지지대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각상이 가장 현실적인 방법인 것 같습니다. 단열재의 두께를 늘리고 석고보드를 본드로 붙일 수도 있습니다만 아시다시피 평활도가 잘 나오지 않습니다.

3. 결로방지 단열재인 45cm 안쪽으로 달대를 고정하고 벽면 단열재 시공 후 벽면 상부에 석고보드를 30cm 너비로 쪼개서 접착용 우레탄 폼으로 붙여줍니다. 테두리목을 돌리기 위한 임시 하지작업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테두리목에 맞춰 천장 각상을 마무리하고 천장 각상에서 다시 바닥까지 벽면 목재를 시공하면 벽과 천장의 단열재를 훼손하지 않고 시공 가능합니다.
M 관리자 2023.12.05 13:39
덧붙혀서 ... 목재틀로 위치를 잡는 것이 편한 것이.. 콘센트 박스의 고정이 어렵기 때문입니다.
G 나무항아 2023.12.06 23:32
답변 감사합니다.

1, 2번 : 말씀처럼 각상을 잡는 게 좋을 듯 하네요. 50t 단열재에 각상을 무엇으로 고정하는지요? 본드로만 붙여야 하는 건지요…. 아니면 본드+타카핀으로 벽 평활도를 맞추며 고정하는 건지요.

3번은 여러 번 읽었는데… 이해가 쉽지 않네요. 혹시 참고할만한 도면이나 정보가 더 있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