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시공관련 질문

토목용 eps 구입은 어디에서 해야하나요?

G 직접집짓기 10 603 2023.12.06 10:35

안녕하세요. 

이번에 직영공사를 준비중인데 궁금증이 있어서 글 올려봅니다.

 

패시브협회의 얕은기초 방법으로 매트기초를 치려고 하는데 300t토목용 eps는 어디에서 구입을 해야하나요?

 

그리고 설계도면상에는 thk125 단열재를 버림위에 설치하라고 되어있는데 thk125대신 토목용eps만 설치를 해도 괜찮은지 궁금하고 안 된다면 토목용 eps를 파는 업체에 thk125를 납품받았다고 거짓으로? 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많은 조언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2040161391__9fa037ccdcc231204f9ae9bb9b91c44888b3c4d3.jpg

 

2040161391__9d039ba83b5a90819baf0a297a340736a900e5a8.jpg

Comments

M 관리자 2023.12.06 10:36
안녕하세요.

올려 주신 도면을 보면.. 300mm 두께의 단열재가 개입할 부분이 보이지 않는데요.
어느 부위에 넣으실 계획이신가요?

토목용 EPS 블럭은 모든 EPS단열재 회사에서 다 주문은 가능합니다.
G 셀프집짓기 2023.12.06 12:20
도면상으로는 저런데 감리가 없는 신고건이기도 하고해서 패시브협회에서 하는 방식으로 하려고 하는중입니다.
현재 전체적으로 평평하게 터파기는 하였고 그 위로
쇄석 200미리 깔고 하우스비닐 깔고 버림 100미리 치고 600정도 매트기초를 칠 계획인데 그 중 300미리정도를 토목용eps를 사용하고자 합니다. 토목용 eps는 단열재로 인정이 안 되나요?

안 된다면 도면상 단열재를사용하면서 어떤 방법으로 해야 좋을까요?
G 셀프집짓기 2023.12.07 08:37
추가로 토목용 eps는 몇호를 사용해야 하나요?
M 관리자 2023.12.07 14:51
그렇다면 그리 권장되지 못합니다.
협회에서 말씀드린 기초 방식은 허가의 유형과는 무관하게 구조기술사의 검토를 전제로 하고 있습니다. 이 것은 저희의 기초 형식을 반영하냐 안하냐와는 상관없이 그러해야 하고요.
감리가 없는 신고건이라고 할지라도 구조는 전문가에 의한 확인이 되어야 합니다. 그러므로 이런 검토없이 임의 적용은 하지 않으셨으면 좋겠습니다.
비록 우리나라 소규모건축물 시장이.. 아무도 책임지지 않는 슬픔이 있긴 하지만, 그래도 그 모든 책임을 일부러 지실 필요는 없을 것 같습니다.

그럼에도 답변을 드리면...
300mm 기초에서는 전면 EPS 시공이 어렵고, 벽체가 내려오는 구간에는 지중보 형식이어야 합니다.
즉 올려 주신 그림을 수정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여기와 관련된 글은 아래 글의 아래쪽에 있습니다. 보시면 도움이 되실 것 같습니다.
https://www.phiko.kr/bbs/board.php?bo_table=z3_01&wr_id=74

또한 토목용 EPS는 별도로 호수 구분이 없습니다. 모든 제품이 대략 3호밀도입니다.
이 역시 단열재 이므로, 단열재로 인정을 받을 수 있긴 합니다.

그리고 그림에서 붉은 색 원형으로 표시된 부분은 누수의 위험이 큰 부분입니다.
이 부분의 평면도를 잘라서 올려 주시면 좀 더 구체적인 조언을 드리겠습니다.
물론 이 모든 것은 담당 건축사의 몫이긴 합니다만... 도면의 수준으로 볼 때, 품질은 물건너간 도면이므로... 꼭 올려 주시어요.
또한 지붕 쪽도 도움이 필요하시면 언제든 도면과 함께 이 글의 댓글로 부탁드리겠습니다.
G 셀프집짓기 2023.12.07 19:34
답변 감사합니다.

제가 수박 겉핥기식으로 제대로 공부도 하지 않고 큰 사고를 친 거 같습니다...

현재 gl에서 300정도 전체적으로 터파기를 한 상태에서  쇄석 25미리를 200미리 채우고 다짐까지 한 상태인데 어떤 식으로 수습을 해야할지 막막합니다.
버림을 치고 다시 흙을 채워서 다짐을 해야 할지 아니면 토목용 eps를 알려주신 방법대로 벽체 부분은 지중보를 설치를 하고 토목용 eps를 깔아야 할지.. 아니면 그냥 125t가등급 단열재를 바닥 전체에 깔고 통으로 콘크리트를 채워야 할지... 좋은 방법이 있다면 추천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그리고 제가 토목용 eps를 구매하고자 찾다보니 밀도에 따라서 호수가 적혀있더라고요.
https://bsmart.kr/shop.php?goPage=GoodDetail&g_code=20220629111316223&cat_no=44&offset=816&scale=
위에 사이트에서 밀도에 따라서 1호에서 4호까지 나오던데 밀도가 1호=30 2호= 25 3호= 20 4호=15라고 적혀 있더라고요.  어느정도의 밀도가 주택에 사용하기에 적합한지도 궁금합니다.

원 부분은 거실 앞에 포치가 있는데 거실 뒤쪽으로 주방이 있어서 저렇게 기초가 표현된 것 같습니다. 거실 앞 포치부분은 100미리 정도 기초를 다운시킬 예정입니다.
M 관리자 2023.12.07 21:58
지금 상태에서 PE비닐을 치고, 그 위에 버림콘크리트를 치면 되는데요.

전체 높이를 600 으로 보고, GL 에서 -300, 그 위에 200 쇄석, 그리고 버림 100 이므로, 300은 해결되었으므로, 토목용 EPS를 사용하지 마시고, 압출법단열재 1호를 전체적으로 까시는 것이 더 좋겠습니다.  그러면 지중보도 필요로 하지 않으니까요.

즉, 아래 그림과 같습니다.
그림에서 현관 앞의 콘크리트는 기초와 같이 콘크리트를 치지 마시고, 나중에 따로 (그게 블럭을 쌓아서 만들든..) 만들어야 합니다. 그래야 기초 측면의 단열재가 건물을 끊김없이 한바뀌를 다 돌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그래야 구조적으로도 더 좋습니다.

ps. 비밀글은 답변을 드리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공개 가능한 범위 내에서 도면을 올려 주시면 좋겠습니다.
G 셀프집짓기 2023.12.08 00:28
죄송합니다.
처음부터 제가 설명을 제대로 하지 못한 것 같습니다.

콘크리트기초 600mm
버림 100mm
비닐 0.1mm
쇄석 200mm
전체 900mm를 계획 중입니다.
(나중에 300mm 성토를 해서 최종적으로는 기초 콘크리트가 300mm만 노출되도록 하려고 합니다.)
M 관리자 2023.12.09 11:53
그럼 다시 윗글의 내용으로 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즉, 쇄석 - PE비닐 - 버림콘크리트 - 토목용EPS 3호 - 내력벽 구간에 지중보
형식입니다.

위에 링크해 드린 글의 맨 아래에 지중보의 간격을 정하는 규칙이 설명되어 있습니다. 보시면 도움이 되실 것 같습니다.

그리고 기초측면에 압출법단열재 50mm 로 둘러 주시면 되고, 현관은 말씀드린 바와 같이 기초와 한꺼번에 타설을 하지 마시고 분리해서 시공을 해주시면 되세요.
G 셀프집짓기 2023.12.11 08:49
감사합니다.
M 관리자 2023.12.12 13:16
진행하시다가 궁금한 점은 언제든 다시 이 글의 댓글로 질문을 주시어요.
여러가지로 맘이 가는 도면이라 ... 성심껏 답변을 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