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시공관련 질문

바닥기초 위에 석분

G 박지원 96 845 2023.11.10 08:18

바닥 버림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석분을채우고 단열재를올리는경우가있는데 석분을 채우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그리고 하수배관과 오수배관을 버림콘크리트 타설후 그위에시공해야하는건지요? 

Comments

M 관리자 2023.11.10 09:56
바닥의 평활도 때문입니다.
상태가 좋지 않을 경우, 단열재가 너무 꿀렁거리기 때문인데요.
석분보다는 최대한 평활도를 잡는 것이 올바른 방법입니다.
G 박지원 2023.11.10 10:09
답변 감사드립니다~  하수배관과 오수배관은 정화조에서 집내부로 들어와있는 상태인데요 그이후 배관은 버림콘크리트 타설하고 그위에 해도 되는건지 버림타설전에 배관을 다 끝내고 타설을해야 되는건지 모르겠습니다
M 관리자 2023.11.10 10:47
그건 현장 책임자가 결정을 하시면 되세요.
다만 이미 집 내부로 들어와 있는 상태에서, 그 이후의 배관이라는 것이 어떤 것인지를 잘 모르겠습니다.
G 박지원 2023.11.10 11:58
이런상태로 배관이 되어있습니다 그냥 버림타설전에 나머지배관을 다끝내고 타설해야되는지 타설하고 배관을해야되는지 몰라서요
G 박지원 2023.11.10 12:20
배관을 버림타설높이로 일단올려놓고 나머지배관을 콘크리트위에서 해야되는건지요 너무 건축기초가 너무없는 질문이라서 죄송합니다ㅠ
M 관리자 2023.11.10 12:28
나머지 배관이라는 것이.. 각 필요한 곳(화장실,주방 등)으로 연결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라면..
1. 기초의 두께가 400mm 를 넘는다면, 버림을 먼저 치고.. 각 배관은 기초 속에 매립을 하게 됩니다.
2. 기초의 두께가 400mm 보다 작다면, 기초 두께 안에서 필요한 기울기를 만들어 내기가 어렵습니다.
그러므로 그럴 때는.. 지금 처럼 하면 안되고.. 각 필요한 곳까지 직접 배관을 보내서 올려야 합니다. 그러므로 이 경우에 해당될 때는 지금의 배관 작업을 다시 하셔야 합니다.
G 박지원 2023.11.10 12:57
현재 버림치고 400 미리가 안나올것같습니다 그럼 저는 지금 각 필요한곳으로 배관을 연결해놓고 다짐+Pe비닐0.1+콘크리트타설+비드법2종1호100미리+PE비닐+엑셀배관유핀고정+방통타설 이렇게 진행하면 될까요?
M 관리자 2023.11.10 13:06
가장 먼 곳까지의 예상되는 배관의 길이가 얼마인가요?
그리고 기초 두께도 알려 주세요.
G 박지원 2023.11.10 13:48
제일먼곳까지 3미터 기초 150으로 생각하고있습니다
G 박지원 2023.11.10 13:58
현장사진입니다~~
G 박지원 2023.11.10 14:01
한장 더 올립니다
M 관리자 2023.11.10 15:40
그럼 안됩니다.
무조건 기초 하부에서 모든 배관 작업이 되어야 합니다.
G 박지원 2023.11.10 15:45
콘크리트타설전에 모든배관 끝내놓고 타설하겠습니다 많은질문에 명쾌하게 답변주셔서 너무감사드려요~
M 관리자 2023.11.10 15:55
이미 공사해 놓은 것을 뒤집는 답변을 드려서 죄송할 뿐입니다.
감사합니다.
G 박지원 2023.11.10 17:13
별말씀을요 제가너무감사드리고  사진에 배관 올라온건 흙 들어가지말라고 그냥 끼워놓은것입니다 저거빼고 배관 다해놓고 기초 타설하면 되니까요~
M 관리자 2023.11.10 18:44
감사합니다.^^
G 박지원 2023.11.13 11:01
기초콘그리트 타설을위해 사진에 보이는것처럼 바닥흙을 들어내고 있는중입니다 최대한 흙을들어내도 주춧돌이 돌출된 부분도 있고 땅속에 묻힌부분도 있습니다 1.아연각관으로 기둥을 보강한곳은 콘크리트타설후 대부분 기초콘그리트 밑에 주춧돌이 묻힐것같은데 문제가 될런지요?
2.잡석을 최소 100 미리정도 깔아야된다고 몇달전 질문드렸을때 답변을 해주셨었는데 좀 줄여서 50미리 정도만 깔아도 괜찮을까요? 깊이가 도저히 안나올꺼 같아서요
G 박지원 2023.11.14 11:35
한가지더 의문점이 생겨 질문드립니다 아래사진에 검은색선 안쪽을 방으로 바깥은 뜨럭으로 만들계획인데요 기둥과 기둥사이 벽돌을 무릎높이 정도로 먼저 쌓고 방쪽을 조금높게 기초콘크리트를 쳐야되는지 아님 전체를 수평 으로 다치고 벽돌을 쌓아야되는지 어떤순서로 해야되나요?
G 박지원 2023.11.14 12:25
질문이 너무 어수선한것 같습니다 ㅠ 글로쓰기가 쉽지가 않네요. 질문의요지는 뜨럭부분까지  전체를 수평으로 기초콘크리트를 치고 벽돌을 쌓으려고 계획중인데 이렇게하면 바닥콘크리트와 벽돌이 만나는 곳에서 빗물등이 안쪽으로 들어오는 구조가 되는건가요 ?
M 관리자 2023.11.15 01:04
답변이 늦어서 죄송합니다.
주춧돌이 콘크리트에 묻히는 것은 괜찮습니다.

방의 높이는.. 벽돌을 쌓는 것으로 콘크리트의 압력을 버티지 못하고 터질 수도 있습니다. 저는 경험이 없다면.. 대략 높은 곳과 낮은 곳의 높이 차이가 약 30cm 정도이상이면 벽돌로 콘크리트를 막지 못할 수 있습니다.
만약 작업이 괜찮으시다면.. 일단 수평을 만들어 놓고, 벽돌을 쌓고 단을 올리는 것이 낫겠습니다. 그게 침하에 저항하는 면적도 커질 수 있고요.

그러면 당연히 빗물인 안쪽으로 흘러 들어 올 수 있는 구조가 될 수 있는데..
아래와 같은 수팽창 제품을 구입하셔서.. 벽돌 안쪽으로 네모나케 돌려서 콘크리트 못으로 박아 고정을 해주시면, 물을 막는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https://koskomro.com/shop/view.php?index_no=128420

시공을 이렇게 합니다.
https://m.blog.naver.com/klara98/120012742341
G 박지원 2023.11.15 09:18
늦은시간에 잊지않으시고 답변을 해주셔서 제가 너무감사드립니다 꾸벅^^ 지금까지 답변주신내용을 종합해보면 아래사진과 같은 구성이 되는데 기둥을 접하고 단열재ㆍ엑셀배관 ㆍ방통이 이루어지는데 진행해도 괜찮을까요? 아님 단열재두께나 잡석두께ㆍ기초콘크리트 두께를 줄여서 주춧돌상단 높이로 맞춰야될까요?
M 관리자 2023.11.16 02:32
높이는 괜찮습니다.
그림에는 표현이 없지만 이를 시공하기 위해서, 기둥과 기둥 사이로 무언가 방통 등을 지지하는 조치는 있으실테니까요.
G 박지원 2023.11.16 09:32
네 감사합니다~그런데 잠은 언제주무시나요?^^ 셀프시공 과정에서 이렇게 도움을 받을수 있는곳이 있다는게 너무감드리고 바닥공사가 마무리되고 벽체 공사할때 다시한번 막히는부분을 여쭤 보겠습니다~ 위사진에 수도배관을 빼먹었는데 어느부분에서 시공을 해야되는지요?
M 관리자 2023.11.16 14:19
혼자가 아니라서요..^^

수도배관은 동파의 우려가 있기에 외벽과 가깝지 않은 곳에서, 무근콘크리트에 배립을 하는 방식이 적당합니다.
G 박지원 2023.11.16 15:40
무근콘크리트라면 방통 칠때를 말씀하시는건지요?
M 관리자 2023.11.16 20:58
맨 아래 기초콘크리트라고 적어 주신 부분입니다.  그 것도 무근콘크리트거든요.
G 박지원 2023.11.16 21:49
바닥공사는 알려주신대로 잘 시공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G 박지원 2023.12.14 12:51
저번에 말씀해주신대로 바닥 잡석100미리 깔고 다짐작업중입니다 바닥은 해결이 됐는데 이제 벽체구성을 생각하다보니 어찌해야될지 막막해서 문의드립니다 일단 사진한장 올려보겠습니다~
G 박지원 2023.12.14 12:54
한장더올림니다
G 박지원 2023.12.14 13:15
보이시는대로 일부는 아연각관기둥이고 일부는 나무기둥인데 저의생각은 현재는 인방이 없지만 한옥의 분위기를 내기위해 목재로. 상ㆍ중ㆍ하 인방을 설치하여 아래사진과같이 조적을 생각하고 있습니다 조적 후 외부는 하얀색석회미장으로 마감을하고 내부에서 연질폼100미리 단열 후(천장까지)방습지시공후 석고2장 으로 마무리하려고 생각중인데 이게 맞는건지 조언부탁드립니다. 이럴때는 벽구성을 어떻게해야 습기와결로로부터 안전한지 고견 부탁드립니다 항상 감사드립니다~
G 박지원 2023.12.14 13:35
외부에서 보이는모습을 아래사진과 같이 생각하며 셀프리모델링 중입니다~
G 박지원 2023.12.14 13:35
M 관리자 2023.12.14 16:11
그리 권장되는 방법은 아니긴 합니다. 장기적으로 목재와 회벽(벽돌)이 만나는 부위의 틈새로 빗물이 들어갈 수 있는 구조거든요.
그나마 처마가 길어서 버티는 형식이라고 할까요?

그럼에도 실행을 하신다면.. 적어 주신 방법대로 하시면 되세요. 그저 방습층이 서로 떨어진 부분이 있거나, 틈새가 없도록 테잎 등으로 잘 조치를 하는 것이 최선입니다.
G 박지원 2023.12.15 08:19
빗물이 들어갈수있는구조라고 하셔서 고민이 많이 됩니다ㅠ. 제가 한옥풍의 집을 포기하고 추천해 주실만한 벽구성이 있을까요? 습기와 결로로부터 안전한 벽을 만들고싶습니다~ 나무기둥은 괜찮을것같은데 아연각관 기둥 부분 단열처리도 좀 걱정이되구요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M 관리자 2023.12.15 14:51
효용은 결국 비용의 한계를 고려 해야 합니다.
기둥과 벽이 서로 외부에서 만나는 선이 보이는 구조는 피할 수 없는 문제이므로, 외벽을 (기둥이 보이지 않도록 덮을 수 있는) 별도의 소재로 덮어야 하는데.. 그 방법은 수없이 많지만, 지금 보다 그 비용이 더 커실 수 밖에 없습니다.

다행히 처마의 길이가 있으므로, 비용의 한계가 명확하다면 진행을 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비용이 되신다면, 지금 외벽에서 벽돌로 채우는 것 보다는 목재로 가로세로 바탕틀을 짜고, 그 속에 단열재를 채우거나 (실내 연질폼이 있으므로 비워도 되고) 한 다음... 외벽에 세로로 목재 바탕틀을 붙히고, 그 위에 9mm CRC 보드를 대고, 페인트 등으로 마감을 하는 것이 가장 저렴하긴 합니다.
빗물의 유입도 거의 없고요.
G 박지원 2023.12.15 15:51
네~ 구체적인답변 항상 감사드립니다~  고민을 해보고 결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새로운 방법을 알려주셔서  고맙습니다~
M 관리자 2023.12.15 21:03
고민 과정에 궁금한 점은 언제든 다시 질문 주셔요.
G 박지원 2023.12.19 13:39
감사드립니다~ ^^ 많은고민거리를 해결해 주셔서요~
M 관리자 2023.12.19 18:51
감사합니다.
G 박지원 02.05 13:42
잘 지내셨는지요? 또 질문을드리게 되었네요~ 여러가지 사정상 조적벽체로 마음을굳히게 되었습니다 1.조적시 기둥바깥쪽으로 쌓을지 기둥과기둥사이에 보를 받히는 형식으로 쌓을지 고민입니다 어떤조적 방법이 외단열시 기밀하게 할수있을까요? 2.외단열은 비드법2종3호+치장벽돌마감 생각중인데 내단열은 별도로 안 해도되는지요? 3.내부에는 어떤식으로 마감을 해야되는지요? 4.지붕은 칼라강판으로 함석지붕위에 각상을걸어 씌운상태로 외부단열을 안했습니다 내부에서 연질우레탄폼 단열 하려고합니다 괜찮을까요? 다른일도 많으실텐데 항상 질문이 많아서 죄송합니다
M 관리자 02.07 19:02
안녕하세요.
1. 장단이 있는데요. 기둥 사이에 쌓는 것이 구조적으로는 유리합니다. 아무래도 기둥 간격으로 벽이 나뉘게 되고, 기둥에 철물로 조적을 고정하기도 용이해서, 장기적으로 조적벽이 넘어가려는 힘으로 부터 자유로울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다만 이럴 경우 기둥과 조적 사이의 기밀층을 형성하기가 만만치 않습니다.
조적을 실내에서 미장을 하고, 그 미장면과 기둥 사이에 기밀테잎을 붙이는 방법이 있을 수 있고, 실내에 PE비닐로 방습층을 만드는 방법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 둘 중에 한 방법이 가능하다면 기둥 사이에 처리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2. 네 내단열은 별도로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조적의 실내측에 기밀층/방습층을 건전하게 하시는 것이 더 나은 결과를 보장할 수 있습니다.

3. 대개의 경우 바탕목을 대고 석고보드로 마감을 하는 식입니다.
4. 협회가 권장하고 있지는 않습니다만, 이 경우는 불가피하게 연질폼이 개입되어야 할 것 같습니다.
하실 때 전기 공배관이 단열재의 외부측으로 나가지 않도록 유의하세요. 안그러면 배관 내에 결로가 생기기 쉽상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연질폼을 하기 전에 지붕과 외벽이 만나는 지점 (한옥에서 당골막이 부분)의 기밀이 깨지지 않도록 조치가 필요합니다.

질문은 언제든 환영입니다. 답변이 조금 늦어져서 죄송할 뿐입니다.
G 박지원 05.14 10:17
잘 지내셨는지요? 셀프로 공사를하다보니 참 더디게 가고있습니다 이제 바닥 기초타설을 마치고 외벽을 생각하고있습니다~ 한옥분위기를 포기못해서 상ㆍ중ㆍ하인방 설치 후 기둥과기둥사이에 벽돌조적+연질폼단열 +가변형투습방습지+석고2장 이렇게계획중입니다 우려가되는 부분이있는데 보시다시피 아연각관기둥이 많이 있습니다 보통 아연각관은 벽돌이나 판넬로 감싸는식으로 시공을 많이 하는데 저는 벽돌을 기둥과기둥사이로 쌓기 때문에 노출이 될수밖에 없는상황이고 나중에 노출부분을 외부에서 나무처럼보이게 붙일생각입니다 이럴경우  아연각관에서 결로가생기는게 아닐까 걱정입니다 해결책이 있을까요?
G 박지원 05.14 10:18
사진입니다~
G 박지원 05.14 10:21
하나더 올립니다
G 박지원 05.14 22:47
한장만 더 올리겠습니다~
G 박지원 05.14 22:52
내부에서 인방과 벽돌 만나는 부분과 기둥과벽돌 만나는부분을 기밀테이프 부착예정입니다~ 2번을 잘 못 적었습니다~~
M 관리자 05.15 11:21
사진과 설명 감사합니다.

다만 우려하신 바와 같이 각관에 대한 단열조치없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은 위험합니다.
이는 결로도 문제지만 각관이 장기적으로 부식 위험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특히 하단부)
그러므로 나무처럼 보이게 하기 전에 최소한의 단열조치 (약 30mm) 라도 하고 그 위에 합판 또는 목재판재를 덧대는 형식이면 좋겠습니다.
G 박지원 05.15 18:32
그렇군요~  두서없는 설명이었는데 답변 감사드립니다 최소단열 조치를하고 한번 해보겠습니다^^
G 박지원 05.15 18:43
그런데 각관전체를 감싸는식으로 해야되는지? 노출 되는 면만 해야되는지? 모르겠습니다~ 옆쪽은 상ㆍ중ㆍ하인방이 설치되어 벽돌로가려 질 것이고 내부는 폼으로 덮이는 식으로 될것 같은데요 코너 부분은 두면이 노출될것이구요
M 관리자 05.15 21:37
어떻게 하는 것이 더 나은가를 떠나서... 현실적으로는 외부로 노출된 곳만 할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러므로 벽면은 한 면, 모서리는 두 면에 대해 작업을 하시면 되실 것 같습니다.
G 박지원 05.16 07:50
네 답변감사드립니다~그렇게 하고 판재를 붙이도록 해보겠습니다~^^
M 관리자 05.16 09:37
감사합니다.
G 박지원 05.17 11:02
질문 하는거마다 시원하게 답변 주셔서 항상감사드립니다~ FF판넬이라는 자재에대해서 또 궁금증이 생겨올립니다 사용하는곳이 많지않은것 같은데 검증이된 자재인지 궁금합니다 벽돌대신해서 이걸로 벽구성을 해도 될런지요? 우연히 찾게된 자재입니다~
G 박지원 05.17 11:03
실물사진입니다
G 박지원 05.17 11:03
M 관리자 05.18 15:41
저도 사용해본 경험은 없습니다.
일종의 샌드위치 판넬이라서, 자재 접합부의 틈새 처리만 잘 되면 무리는 없어 보입니다.
G 박지원 05.18 22:39
네~ 알겠습니다~^^ 항상 선택에 순간에 조언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M 관리자 05.20 11:07
감사합니다.
G 박지원 05.31 00:01
집을 지을때 이렇게 생각이 왔다 갔다 할줄은 정말 몰랐습니다~ 늦은시간에 일단 죄송하고 염치없지만 마지막질문을 좀드리겠습니다 외벽구성을 좀 많이 수정을 했습니다 이게과연 괜찮은구성인지 조언부탁드립니다  상ㆍ중ㆍ하인방 설치후. 전에 위에서 말씀드렸던 FF판넬100T를 기둥을 감싸는 식으로 상부서까래 부분부터 바닥까지 사면을 두르고 서까래틈은 폼 으로 밀실하게 메꾼다음 내부에는 30T 아이소핑크를 붙이고 공기층10미리를 띄워서 황토벽돌 두께 80짜리로 쌓고 끝낼생각입니다 이게 괜찮은건지요? 요약하자면 FF판넬100T + 아이소핑크 30미리+공기층10미리띄우고 + 황토벽돌 두께80미리 노출마감 입니다
M 관리자 05.31 07:17
황토를 노출하시고자 하려는 이유가 있으실까요?
G 박지원 05.31 07:55
노출해야 황토의 효과를 좀 볼수있다는얘기를 들었습니다 이게맞는얘기인지 모르겠지만요ㅠ 같이 집을. 리모델링을 하고있는 장인어른께서 황토얘기를 하셔서 생각해본 벽구성입니다~~
M 관리자 05.31 08:11
그럼 만약 황토를 사용하지 않는다면 다른 생각하신 것이 있으실까요?
G 박지원 05.31 09:04
그동안 계속 질문드렸었던 내용으로 추진하려고생각하고있었습니다 밖에세 한옥식으로상.중.하인방 을 외부에서 보이게 조적으로막음+수성연질폼100+가변형방습지+석고2장 마감. 조적시아연각관 보이는면은 판재마감  이번에 다시 단열이나 결로 나중에 하자없이 하는게 중요하게생각돼서 밖으로판넬을 돌리는걸로 생각했고 황토 추가했습니다
G 박지원 05.31 09:10
아연각관을 판재로 붙인다는것이 너무찝해서 차리리 밖으로 판넬을 돌려서 감싸는게 낫다고생각했구요~
M 관리자 05.31 09:16
그럼 황토만 빼시면 될 것 같습니다.
황토는 표면 경도가 낮아 실내공기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서 그렇습니다.
G 박지원 05.31 09:40
그럼 FF판넬100+수성연질폼100+가변형방습지+석고2장이 훨 낫다는 말씀인지요? 외부 판넬과 서까래가만나서 생기는기는공간은 폼으로 꽉채우구요?
M 관리자 05.31 09:59
네 그렇습니다.
다만 외부 판넬과 서까래가 만나서 생기는 공간이 너무 넓으면 단열재를 끼운후 나머지를 폼으로 채우셔야 합니다.
G 박지원 05.31 10:21
판넬 하부 기초바닥과 만나는부분은 벽돌을 2~3단 정도쌓고 그위에 판넬을 올려서 설치하는게나은건가요? 아니면 그냥 판넬을 바닥까지내려서 실리콘처리 정도 하는게 나은건가요? 궁금증이 또 계속발동되서 질문을 계속하게되네요~~ㅠ 바쁘신데 죄송합니다~
M 관리자 05.31 10:39
혹시 그 부분의 사진이 있을까요?
G 박지원 05.31 10:45
이상태입니다
G 박지원 05.31 10:46
..
M 관리자 05.31 10:47
이 부분은 그림을 그려드려야 해서 저녁에 답변 드리겠습니다.
G 박지원 05.31 10:53
네 알겠습니다~ 고맙습니다~
M 관리자 06.01 13:56
답변이 늦어서 죄송합니다.

현재 바닥 콘크리트에 방수턱이 없기에.. 크게 두가지 방법이 있을 수 있습니다.
가장 최선은 내수합판을 대고 방수층을 형성한 다음, 그 위에 판넬을 대는 방법
두번재는 시멘트 벽돌로 방수턱을 만드는 방법입니다.
둘 중에 하나는 선택을 하셔야 합니다.

방수층이 직각으로 꺽이는 모든 모서리는 부직포 보강을 하셔야 하고요.
G 박지원 06.02 07:28
그림설명으로 이해가 빨랐습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내수합판바닥부터 무릎높이까지시공 +방수부직포붙임 + 폴리머몰탈로벽돌2~3단시공후 그위에 판넬얻어서시공 + 판넬과 벽돌이만나는부분은 폼본드로 시공 +최종마감  이렇게하면 될까요?  잘못된부분만 짚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M 관리자 06.04 13:48
네 정확히 이해를 하셨습니다.
적어 주신 대로 합판 위에 방수층을 형성한다면, 벽돌은 그저 방수층의 보호역할 이므로.. 2~3까지 까지 올리지 않으셔도 괜찮습니다. 그저 외부에서의 모양을 보셔서 1단으로 할지 등을 정하시면 무리가 없습니다.
G 박지원 06.04 15:53
판넬120T를 기둥외부로 감싸서 시공하고 기둥 사이즈가 100 이기때문에 연질폼100 채우려고하는데 이렇게되면 판넬은 받치는힘은거의없다고 보고 기둥만으로 버티고있는 집이되는데 구조적으로는 괜찮은지요?  내부에서 가로상은 설치를할건데  세로상을 목재나 각관으로 또 세워줘야 튼튼한 집이되는건지요? 항상 답변 정말감사드립니다~
M 관리자 06.05 12:44
판넬이 그 하부의 폴리머몰탈로 덮어진 시멘트 벽돌 위에 올려 놓는 개념으로 작업을 하셔야 합니다.
G 박지원 06.05 14:06
판넬설치개념은 이해했습니다~그런데 기둥과 기둥사이에 벽돌로시공을 했을때는 벽돌이 어느정도 지붕무게를 받히고있는 형식이되는데 판넬은 외부로 돌리기 때문에 기둥과 보가 온전히 지붕무게를견디는거라서 좀 걱정이되서요 너무 과도한 걱정인가요?
M 관리자 06.05 18:03
이런 방식의 구조는 판넬이 지붕의 구조를 받는 형식은 아닙니다.
받는 것이 더 이상하고요. 판넬은 판넬 자체의 안전성만 보시면 되고, 지붕의 무게를 부담하기 위한 조치를 따로 해야 하는데요.
지붕의 무게는 기둥으로 괜찮으며, 풍압에 의한 횡력만 제대로 보강을 하시는 것이 좋은데...
맨 위의 사진이 구조의 전부 다이고...
1. 마감이 되기 전이라면.. 사선으로 각 기둥 간에 보강을 해주시고
2. 마감이 되었다면.. 각 기둥간에 판넬이 장피스로 강하게 결합이 되어야 합니다.
G 박지원 06.06 07:47
원래 계획은 밖에서 상ㆍ중ㆍ하인방이 보이도록 벽돌조적을 할 생각으로 목재(건조목)를 주문하여 받아놓은 상태입니다 그런데 판넬로 계획이 변경되어 목재로 사진처럼 이렇게 설치할계획이었습니다
사선보강은 사진처럼 이렇게 하면 되는지요?
G 박지원 06.06 07:48
사진입니다
G 박지원 06.06 07:49
M 관리자 06.07 12:56
아연각관과 목재를 H자로 만드는 것은 구조적으로 전혀 도움이 되지 않고, 두번째 그려주신 것 처럼 사선 방향의 보강이 될 수 있어야 합니다.
G 박지원 06.07 17:52
답변 감사드립니다~ 창호 들어갈 자리는 빼고 사선으로 보강하도록 하겠습니다~ 이제 상당부분 생각을 정리 되게해주셔서 실행을해야 할것 같습니다  도저히 애매한부분은 다시질문드리겠습니다  정말감사드립니다~~
M 관리자 06.07 19:40
감사합니다.
언제든지 댓글 주세요.
G 박지원 06.11 09:26
판넬 설치시 방수턱을 벽돌로 만든 후 판넬을올릴때 위에 그림그려서 보내주신걸 봐서는 벽돌이 안쪽으로 조금들어가있는데 그림과같이 설치하면되는건지요? 판넬시공된 사진을  찾아봤는데 대부분 벽돌이 판넬보다 조금 나와있어서요~~
M 관리자 06.11 13:57
네 조금 들어가는 것이 올바른 방법입니다.
최소 30mm 이상을 지키면 무리가 없습니다.
G 박지원 06.12 08:55
네 알겠습니다~ 감사합니다^^
M 관리자 06.12 12:30
감사합니다.
G 박지원 06.14 13:46
사진
G 박지원 06.14 13:51
안녕하세요~~ 위 사진과 같이 앞으로 바닥 방통하고나면 2290 정도 나올꺼 같은데요 창문틀 높이는 바닥에서 몇센티쯤에 설치를 해야될지 모르겠습니다 조언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2 psj1 06.15 09:34
https://www.youtube.com/live/CYJgNfZhtIM?si=jxNSQd3PTcM4YpbJ
관리자님이 답변 주시겠지만 영상보고 고민해보세요.
M 관리자 06.17 10:43
psj1 님 감사합니다.

창문 하단 위치는 방통높이를 고려하여, 편하신데로 잡으시면 되세요.
G 박지원 06.17 14:24
네 알겠습니다~감사합니다^^
M 관리자 06.17 21:16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