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시공관련 질문

네일핀 없는 창호 시공만 제대로 하면 괜찮을까요?

1 크나큰손 7 5,151 2013.11.25 10:31
창호 업체 시공법을 링크로 올려봅니다.(부적절하다 싶으시면 읽어보신 후에 삭제 부탁드립니다.)
 
네일핀이 없고, 창틀에서 튼튼한 피스를 벽체에 박아서 고정하는 방식인데요.
네일핀이 없기 때문에, 방수기능을 프로클리마 테잎으로 보완을 하고 있습니다.
 
네일핀이 없기 때문에, 창틀에서 돌출되지 않게..
즉, 창호 테두리가 외기에 노출이 되지 않게 시공할 시 단열상의 장점이 있는 것 같습니다.
프레임이 70mm, 85mm로 두꺼워져봐야, 외기에 노출되면 도루묵이라는 생각을 갖고 있습니다.
 
반면, 시공이  어렵고 피스로 고정 시 3중유리 등 무거운 하중을 다 버텨줄 수 있겠는가?
그리고 프로클리마 테잎이 오랜 시간 붙어있으면서 방수 성능을 보여줄 수 있는가? 가 의문입니다.
 
어떻게 보시는지요?
 

Comments

M 관리자 2013.11.25 15:29
안녕하세요..

링크해 주신 자료 잘 보았습니다. 좋은 도움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일단 네일핀없이 피스 등을 이용해서 내부로 들어가게 시공하는 것이 옳습니다. 말씀하신데로 단열측면에서 장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지켜야 할 사항이 있습니다. 바로 피스를 사용할 수 있는 프레임이 따로 있으며, 사용가능한 프레임이라 할지라도 하중에 따른 피스의 간격입니다.
링크해 주신 사이트에서는 불행하게도 이를 확인할 방법이 없었는데요.. (프레임의 적합성 여부도 확인할 수 없었습니다.)
또한 적합하더라도 피스의 간격이 독일을 그대로 따라가면 안되는 것이..
독일은 기본적으로 주택의 유리는 3mm 를 사용합니다.

링크해 주신 사이트에 나온 사진을 보니, 5PLA + 12 + 5CL + 14 + 5PLA 의 구성으로써 독일창호보다 30% 이상 무겁다는 결론을 낼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피스도 역시 최소 30% 더 많이 사용되어야 합니다.

프로클리마의 테잎은 15년을 보증하고 있기 때문에 실제 수명은 더 길게 될 것이므로, 사용에 문제는 없을 것입니다.

* 질문하신 것은 아닙니다만, 링크해 주신 사이트에 사용된 유리는 주거용도로는 조금 부적합한 유리입니다. 일사에너지투과율이 너무 낮습니다. 같은 삼중유리더라도 일사에너지투과율이 좀 더 높은 유리를 사용하셔야 합니다.
두번째는 비록 네일핀 사용보다 단열면에서는 유리하지만, 이 효과를 제대로 보기위해서는 링크 사이트보다 좀 더 내부로 들어가야 합니다.

감사합니다.
1 크나큰손 2013.11.25 16:00
답변 감사합니다.
항상 많은 도움 받고 있으며, 링크의 자료가 도움이 되셨다니 기분이 좋습니다. ^^

답변 덕분에 위 시공법으로 시공하고, 창호 주변에 방부목과 강판으로 후레싱을 만들어 사이딩 접합부를 마감할 계획을 갖게 되었습니다. 실리콘 노화 시 창호와 후레싱 사이로 누수가 염려되지만, 어차피 레인스크린이 있으니 큰 걱정은 안해도 될 것 같습니다.

그리고..
일사에너지투과율 관련하여 추천할만한 삼중유리가 있으면 조언을 부탁드립니다.
M 관리자 2013.11.25 16:07
같은 한글라스 제품 중에 열관류율은 비슷하면서 일사에너지투과율이 더 높은 제품 구성이 있습니다.
유리 회사에 요청하시면, 잘 챙겨주리라 생각됩니다.
감사합니다.
1 크나큰손 2013.11.25 16:10
감사합니다.
현재 유리회사 시험성적서를 보고 있는데요..
가시광선 투과 : 54%
열선 투과 : 30%
라고 되어있습니다.

어느 부분을 일사에너지투과율로 보아야 하고, 어떤 값이 높고 낮아야 하는지.. 어느정도가 적정 수준인지 설명을 부탁드립니다..
M 관리자 2013.11.25 16:12
아.. 네.. 그 옆에 차폐계수라고 있을 것입니다.
그 숫자를 보시면 됩니다.
M 관리자 2013.11.25 16:13
아마도 그 숫자가 0.44 라고 되어 있을터인데요..
이 것이 최소 0.47 이상인 제품을 사용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1 크나큰손 2013.11.25 16:20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