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시공관련 질문

시공중인 주택의 열교부위단열,방습층설치에 대한 고견을 부탁드립니다.

1 박문규 4 15,996 2013.11.29 06:44
전북 전주의 en건축 박문규 소장입니다.
시공중인 주택(전북 전주)의 주단면상세도를 첨부합니다
올려진 많은 자료를 보았지만 확실한 결론을 내릴수없어 부득이 질문을 드리게되었습니다.
바쁘실텐데 죄송합니다.
 
문의드릴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첨부한 도면에도 표현하였습니다)
1. 열교예상부위의 단열방법
2. 1층바닥, 내부천장, 내부벽 모두 방습층형성 필요여부와 방습층필요시 방습층 시공위치와 재질
  (PE필름도 가능한지?와 투습방수지를 적용한다면 프로클리마 인텔로외에 추천해주실 제품이 있는지?
   - 너무 고가이어서요.....)
3. 1층 창호하부의 온돌시공시 내측단열 필요여부와 필요시 단열방법
 

Comments

M 관리자 2013.11.29 12:29
시간이 좀 걸려서.. 금일 저녁 늦게까지 답을 드리겠습니다.
M 관리자 2013.11.30 21:39
늦었습니다.. 죄송합니다.

바닥의 경우 현재 외부에서의 열교가 너무 많아 일부 내단열 보강으로 해결되어야 할 것 같습니다.
바닥의 기포콘크리트를 삭제하거나, 그 위에 비드법 1종2호를 넣어 바닥 단열을 보강하는 것으로 보았습니다. 아마도 전체 층고 등이 수정되어야 할 것 같습니다.
지붕에서 넘어와, 외벽으로 이어지는 부분의 열교는 지붕의 단열재를 다른 것으로 변경하시던가, 다층형열반사단열재로 바꾸시던가 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방습층 형성은 권장사항이나, 제대로 하지 않으면 하지 않은 것보다 못합니다.
특히 지붕의 경우 외부로 투습이 불가능한 상황에서 내부 방습층을 설치할 경우, 골조 습기를 충분히 말린 후 해야 하는데, 일반적으로 불가능할 듯 합니다.

그림을 보시고, 궁금하신 사항은 추가 질문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1 박문규 2013.12.02 14:21
주말이라서 이제서야 확인했습니다.
정말 감사드립니다.
몇가지 궁금한 내용이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1. 적어주신 폴리우레탄 뿜칠은 일반적인 우레탄뿜칠과는 다른지요?
    수성연질폼으로 대체는 불가능 한가요?
2. 바닥단열시 비드법1종 1호 120mm를 사용할경우 책꽂이나 가구놓이는 자리등이 추후
    침하되지는 않은런지요?
3. 기초하부에 압출법을 쓰는 이유는 건물하중 때문인가요?
4. 지붕은 내단열로 30mm 정도 수성연질폼을 추가해도 가능할까요?
M 관리자 2013.12.02 16:31
안녕하세요.

1. 적어주신 폴리우레탄 뿜칠은 일반적인 우레탄뿜칠과는 다른지요?
    수성연질폼으로 대체는 불가능 한가요?
-> 수성연질폼도 폴리우레탄의 일종입니다. 정확한 명칭은 "수발포폴리우레탄연질폼"입니다.
    사용하셔도 무방합니다.

2. 바닥단열시 비드법1종 1호 120mm를 사용할경우 책꽂이나 가구놓이는 자리등이 추후
    침하되지는 않은런지요?
-> 네. 무방합니다. 단, 습식난방을 위한 몰탈의 두께는 표준대로 50mm로 시공되어야 합니다.
    표준을 지키시면 전혀 문제되지 않습니다.

3. 기초하부에 압출법을 쓰는 이유는 건물하중 때문인가요?
->아닙니다. 흡수율 때문에 그렇습니다.
  http://www.phiko.kr/bbs/board.php?bo_table=z3_01&wr_id=7

4. 지붕은 내단열로 30mm 정도 수성연질폼을 추가해도 가능할까요?
-> 네.. 기존 비드법단열재 위에 추가하는 것은 가능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