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시공관련 질문

ALC + 외단열 미장 마감공법 관련 질문

1 깊은바다 6 12,927 2013.06.27 17:27
 
항상 많은 정보를 얻고 있어 즐겨 찿고 있습니다.
경기 일원에 조그마한 패시브 건축[저에너지]을 계획 하고 있습니다.
질문 드릴내용은 ALC 와 외단열 미장공법[스타코 플렉스] 관련 질문 입니다.
 
관련해서 건축자재로 ALC 와 외단열 미장공법을  검토하고 있는데 불 분명한 내용들이
많아 나름 조사를 하고 있습니다. 이에 몇 가지 질문 드립니다.
 
1. ALC 300 mm + 외단열 미장 공법 [EPS 50 mm] 패시브 건축의 열관류율을 충족 시키는지
2. 기초 하부 요철 25mm * 2 아이소 핑크[?]를 취부하고 외단열 미장을 연장 해도 되는지
3. 기초, 프라이머, 발수 ALC 조적, 일반 ALC 조적후 전체 메지[?]하고 내/외부 수지미장 
   그리고 아래 그림 순서로 외단열 미장 하면 될련지.
 
Stuc.jpg
Stuc1.jpg
4 ALC 외측  위 그림의 "Tyvek" 은 필요 없는지 그리고 드레인 메트로 수증기 배수[?]에 문제가
  없는지 궁금합니다.
 
이것 저것 질문만 드립니다.
 
인터넷 이나 공사하시는 분들의 말들이 다 재각각 정답이 없는 듯 합니다 현장에서 각기 비용에
맞게[?] 시공된다는 느낌입니다....
 
감사합니다.

Comments

M 관리자 2013.06.27 23:55
안녕하세요.

1. ALC 300 mm + 외단열 미장 공법 [EPS 50 mm] 패시브 건축의 열관류율을 충족 시키는지

-> 충족되지 않습니다. 비드법2종3호 (K=0.034W/㎡K) 기준으로 130mm 이상 필요합니다.


2. 기초 하부 요철 25mm * 2 아이소 핑크[?]를 취부하고 외단열 미장을 연장 해도 되는지

-> 죄송합니다만, 어떤 뜻인지 모르겠습니다. 다만, 외벽의 외단열미장을 기초하부까지 연속되게 내릴 수 없냐는 질문이시면... 불가능합니다. 중간에 방수팽창테잎으로 줄눈을 넣어 주셔야 합니다. 안그러면, 몇 년안에 마감에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피하실 수 없습니다.

3. 기초, 프라이머, 발수 ALC 조적, 일반 ALC 조적후 전체 메지[?]하고 내/외부 수지미장
  그리고 아래 그림 순서로 외단열 미장 하면 될련지.

-> 수지미장 위에 바로 외단열미장마감공법을 시공하시면 됩니다. 중간 투습방수층, 배수층 등은 필요없습니다. 단, 창호외부쪽 하부의 빗물받이 후레싱이 반드시 설치되어야 합니다.

4 ALC 외측  위 그림의 "Tyvek" 은 필요 없는지 그리고 드레인 메트로 수증기 배수[?]에 문제가
  없는지 궁금합니다.

-> 투습방수지는 불필요합니다. 드레인메트로의 증발도 문제는 없습니다만, 근본적으로 설치가 필요없습니다. 일반 콘크리트에 외단열미장마감하시듯이 하시면 됩니다. 단, 역시 창호 외부쪽 하부 빗물받이 후레싱 시공이 반드시 전제되어야 합니다.

감사합니다.
1 깊은바다 2013.06.28 09:07
답변 감사 합니다.
14 이성원 2013.06.29 01:23
일반적 ALC 시공회사들이 ALC벽 외단열로 EPS를 사용하고 있는데 정작 생산공장 측 관계자들은 이러한 시공을 만류하고 있습니다.
ALC자체내의 습기 방출에 저해된다는 이유라고 합니다.
물론 기건 상태라면 괜찮은 방법일수도 있겠지만 ALC블럭이 생산 공장에서 출하될 때 워낙 많은 수분을 함유하고 있는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일반적인 시공사들이 이를 기건상태까지 기달려 주질 않는 이유도 있다합니다.
즉 건조 기간이 꽤 길게 소요되는 자재인데 기다리지 않고 외단열을 함으로써 하자 발생의 원인이 된다고 합니다. 
여기서의 하자라함은 실내로 수분이 방출되면서 발생하는 것이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특히나 내부에 벽지 등 다른 마감재를 시공한 경우엔 더더욱 많은 주의가 필요하다고 합니다.
1 깊은바다 2013.07.01 12:58
답변 감사 드립니다.
M 관리자 2013.06.29 10:09
네.. 제가 요즘 이 게시판의 효용성에 자주 의문을 갖는데요..
전체를 알려드려야 하는데, 그 내용이 너무 방대하여 결국 부분 부분으로만 글들이 오고갈 수밖에 없는 것에 조금의 회의를 느끼고 있습니다.

이성원선생님이 말씀하신 것 처럼 직접 외단열미장마감을 했을 경우 내부 마감재에 대한 설명도 같이 드렸어야 하는데, 제가 놓쳤습니다. 죄송합니다.

습기는 실내로 배출되므로, 내부마감은 ALC전용 수지미장만 가능합니다. PVC벽지(실크벽지)는 당연히 불가하고, 합지벽지는 울게 됩니다. 그리고 붙박이 장도 불가합니다. 가장 권장되는 것은 마감전 내부에 난로 혹은 난방을 돌려서 일주일 정도 건조를 시키는 것을 권장합니다.

외단열을 직접 권해드린 이유는 외부에 Drainage 를 설치한다고 하더라도 그게 상상만큼 단기간의 습기 배출에 도움을 주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물론 도움이 되겠습니다만, 습기는 결국 내부로의 배출량이 훨씬 더 많습니다. (내부마감이  투습이 된다는 전제하에)
내부에 PVC벽지를 주로 하는 우리나라에서는 습기가 내부로 나올 수 없는 구조라 외부 배출을 염두에 두어야 했습니다만, ALC의 구축방법으로 옳은 방향은 아니었습니다.

이성원선생님의 때맞춘 정확한 지적 감사드립니다.
좀 더 노력해서 이런 부분적 응답보다는 전체의 내용을 정리하여 기술자료실의 내용을 하루라도 빨리 채울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1 깊은바다 2013.07.01 13:01
저는 본 게시판이 도움이 많이 됩니다만...

게시판은 말 그대로 기초가 되는 참고 자료인 것 같고요.
나머지 구체적인 사항은 질문 하시는 분들이 체워야 할 사항 같습니다.
개개인의 상황에 따라 이해도는 다르겠지만 본 게시판 같이 성실히
답변을 달아 주는 곳은 아직 보지 못했습니다.

더운데 수고 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