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시공관련 질문

옥상 우레탄 방수 질의

G 설계 4 573 2023.05.13 21:58

안녕하세요.

역전지붕 등등 몇몇 게시글을 보고 고민을 하다가 재정상의 이유로 안타깝지만.. 현재 도면의 상태에서 (내단열+골조+무근100+노출우레탄방수) 진행을 하려고 합니다..ㅠ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상황에서 리스크를 최소화 하기 위해 초보가 몇가지 질문 드립니다.(도면이 많이 빈약합니다)

 

1. 우레탄방수 설치시에도 직각부를 없애는 면귀작업이 필수인지요 ?

2. 노출우레탄방수가 자외선에 취약하다는 얘기가 많은것 같습니다. 영구적인 방법이 아니더라도, 현재 상황(재정적 요인..)에서 뭔가를 덧대거나 해서 노출을 어느정도 최소화 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

3. 노출우레탄방수는 면처리만 잘 하고 방수처리하면 되는 분위기인데.. 하부에 무근100은 구배용으로 해석 하면 될까요?

4. 옥상 무근 측면완충제는 보통 어떤 재료를 말하나요?

 

이상입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Comments

9 잡자재 2023.05.13 23:10
1. 넵 필수입니다.

2. 우레탄 방수 후에 직사광선을 막기위해 배수판+부직포+쇄석을 올려 통기층 확보와 직사광선 차단을 하면 방수층이 경화되는 것을 지연지킬 수 있습니다.

3. 무근은 방수층을 보호하기위한 목적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열이 직접 전달되고 추후 방수층 손상시 철거가 매우 어려워집니다.  무근 없이 우레탄방수 위에 배수판+부직포+쇄석 시공을 권장드립니다. 현재 바닥 면 상태가 구배가 필요하다면 구배를 잡고 우레탄방수를 하시면 됩니다.

4. 방통 칠 때 사용하는 PE완충제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G 설계 2023.05.14 07:54
답변 감사드립니다.
현재 평지붕 골조가 완료된상태라면,
현재상태에서 골조면으로 구배를 잡기는 어려운것으로 판단되어지는데, 그럴경우 도면대로 무근으로 구배잡고 방수층을 시공해도 괜찮을까요?
M 관리자 2023.05.14 11:26
3. 무근을 치고 방수를 하는 것이므로 보호층의 개념보다는 물매를 잡기 위한 무근으로 보입니다.
물매를 잡기에 어느 정도로 어려운지 감은 없으나...역구배라면 무근으로 물매를 잡아야 합니다.
다만 그 경우도 무근콘크리트층의 함수율이 9% 미만이어야 도막방수가 가능하며, 자외선에 노출되면 결국 1년 짜리 방수인 것은 같습니다.
G 설계 2023.05.14 17:50
알겠습니다. 도움이 되었습니다. 답변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