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시공관련 질문

배관 매립 조건

1 regmbnick 3 609 2023.04.16 04:04

버림 콘크리트 100정도를 테두리보와 지중보에만 타설해야 하는데, 4.5m 옹벽 공사 후 일주일 뒤에 건축물을 올리는 현장이라 지반 침하가 우려되어 기초 면적 전체에 버림을 치게됐습니다. 다만, 현재 계획한 설계가 얕은 기초로 보아 잡석 다짐 단계에서 배관을 매립할 필요성이 있는지 재차 확인하고자 합니다.

 

두번째 사진은 비온 후 촬영해 버림 콘크리트에 물이 고인겁니다.

 

 

 

 

Comments

M 관리자 2023.04.16 11:52
질문을 하신 것은 아닙니다만...

지반 침하와 버림은 서로 상관관계가 없습니다. 버림 유무와 상관없이 침하될 땅은 침하가 될 뿐입니다.
그러므로 침하가 우려된다는 표현에 대해 좀 더 자세한 설명이 필요합니다. 걱정이 되어서 그렇습니다.

---------------
배관이 지나갈 자리의 버림콘크리트를 잘라내서, 그 하부로 배관이 매립이 되어야할 기초의 높이 입니다.
1 regmbnick 2023.04.16 16:18
옹벽 높이가 높은 것과 성토 작업을 한지 얼마 안된 상태에서 건축물을 올리려고 하니 생긴 우려입니다. 버림을 잘라내기에는 작업상 문제가 많은데, 배관을 최대한 내려 EPS사이에 배치하는 것과 같은 방법이 없을까요. 또는 그 외 방법이 있다면 말씀바랍니다
M 관리자 2023.04.18 13:45
이미 늦었지만, 지내력시험을 한번 하시는 것이 좋았을 것 같습니다.
말씀드린 바와 같이 무근콘크리트가 지내력을 올려 주지는 않기 때문입니다.
버림을 자르기가 마땅치 않으시겠지만, 지금 기초 높이에서 배관을 무근 위에 배치 하는 것은 또 다른 문제 (구배, 동결 등)의 문제가 생길 수 있기에, 잘라 내는 것이 최선입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위에 배치를 할 수 밖에 없다면, 건물을 빠져 나온 배관이 지면에 너무 가깝게 붙게 되므로, 배관의 동결을 막기 위한 단열 조치를 하시면 다른 문제는 크게 생길 것이 없습니다.
단열조치는 배관을 모두 감싸도 되고, 배관 상부에 폭 1미터 정도의 압출법단열재 50mm 를 덮어도 가능합니다. 이 것이 가능하다면 실행하셔도 괜찮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