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시공관련 질문

폼 단열재

G 김 설계 5 6,143 2012.10.25 07:04
좋은 자료에 항상감사드립니다. 외국에서 설계일하고있읍니다. 한국에 200여평돼는 다가구 주택을 설계중인데 일부벽체는 EIFS방식으로 일부벽은 closed cell foam insulation으로 단열을했으면 좋겠읍니다. 국내에 CLOSED CELL FOAM INSULATION이 상용하고 있읍니까? 있다면 연락처를 제공해주시면 많은 도움이 될것 같읍니다. 또 이런 경우 열교의 처리를 어떻게 하는것이 최선의 방법일까요.
미리 감사드리면서...

Comments

M 관리자 2012.10.25 09:22
안녕하세요..

CLOSED CELL FOAM INSULATION 중에서 보드 형식이 있고, 스프레이 형식이 있는데, 어떤 것이 필요하시지 모르겠으나, 만약 보드 형식이라면 국내에서 압출법단열재가 모두 CLOSED CELL FOAM INSULATION입니다. 그리고, 스프레이식이라면 폴리우레탄폼이 CLOSED CELL FOAM INSULATION입니다. 두 개 다 어떤 현장에서든 쉽게 구매가 가능하므로, 연락처는 따로 드릴 필요가 없을 듯 해서 생략하겠습니다.

결국 EIFS와 CLOSED CELL FOAM INSULATION(내단열일 경우)이 만나는 곳의 열교가 문제일 것인데요.
열교는 특별한 방법이 없습니다. 그저 단열재가 1미터 정도 겹치게끔 시공하는 것이 최선일 것으로 보입니다.

감사합니다.
G 김설계 2012.10.26 02:37
빠른 답변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가능하다면 모든 부분을 외단열로 하고싶지만...그렇다면 열교현상을 줄이고자  EIFS 부분외에 단열을 즉, 폴리우레탄폼 스프레이 방식을 외부측에 설치해도 (외벽과 베이스판넬 마감재사이 100mm공간) 무방합니까? XPS 단열재과 수분과 습기의 저항력이 우수하다 들었는데... 다시한번 미리감사 드리며..
M 관리자 2012.10.26 11:36
상관없습니다만, 그 부분은 시공의 품질에 크게 좌우됩니다. 아무래도 이질 단열재끼리 만나는 부위에서 크랙등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100mm 공간에 실질적으로 얼마의 두께를 충진할 수 있는지도,, 선충진인지 후충진인지에 따라 다릅니다. 검토해 보셔야 할 듯 합니다.
감사합니다.
G 김 설계 2012.10.26 13:05
답변에 정말감사드립니다. 단열재시공은 공사의 난이도가 따르겠지만 층별로 후충진을 고려해서 단열재의 단가가 문제가 아니라면 하지철물부분은 60mm정도 그외부분은 100mm를 고려하고있읍니다. EIFS와 판넬이 접하는 마구리 부분은 열교가 불가피함으로 상기 언급하신대로 내단열을 할까합니다. 폴리우레탄폼 스프레이 방식의 이음부분이 개인적으로 걱정입니다. 다시한번 견해부탁드리고, closed cell foam insul에서는vapor retarder는 없어도 된다고 알고있는데 이경우 필요없나요?(벽체는 180mm 콘크리트입니다.)단열재의 두께당 단가도 차이가 있겠지만 자료있으면 부탁드립니다.다시금 감사드리며...
M 관리자 2012.10.27 14:25
네.. 필요없습니다..
도면이 없어 상상하기는 어렵지만, 단열이라는 것이 상식수준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내단열을 적절히 활용하면 잘 될 것이라 판단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