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시공관련 질문

내단열 열반사단열재 위 벽지시공사례

1 사막마귀 2 10,175 2013.10.25 14:13
인테리어 공사를 진행하고 있는데요

집은 외단열이 설치가 되어있지만.. 집이 좀 추워서 보조적인 내단열이 필요할 것 같아서..

벽지를 떼어내고, 4mm 열반사단열재를 본드로 붙이고, 바로 그 위에 도배를 해볼까 합니다
 
이 경우..

1. 단열 효과를 기대할 만 할까요?

2. 벽지나 단열재가 본드의 힘만으로 중력이나, 부압, 서로다른 열팽창으로 인한 탈락을 견디면서.. 
   하자없이 오래 잘 붙어있을지 의문입니다

3. 또한.. 벽지 시공 후 손가락으로 누르거나.. 뭔가 충격이 있으면.. 
    도배지와 단열재사이의 접착제가 탈락해서.. 접착력이 없어지지않을까 합니다..


시중의 단열재 판매하는 사람들은 뭐.. 문제없다.. 좋다 하는데요...

혹시 이런 단열 해보신분 있으시면 경험담좀 듣고싶습니다

고견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Comments

M 관리자 2013.10.26 09:04
1. 단열 효과를 기대할 만 할까요?
-> 전혀 없습니다. 이유는 아래 글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www.phiko.kr/bbs/board.php?bo_table=z3_01&wr_id=148
http://www.phiko.kr/bbs/board.php?bo_table=z3_01&wr_id=549

단열은 두께로 승부하시기 바랍니다.
그렇하고 하더라도 어쩔 수 없이 열반사단열재를 사용해야 한다면 표면에 공기층을 두셔야 합니다.
즉, 열반사단열재 접착 - 목재 각상 - 석고보드 - 벽지 순으로 시공하시면 됩니다. 그러나 단열 성능은 장담드리지 못합니다.

2. 벽지나 단열재가 본드의 힘만으로 중력이나, 부압, 서로다른 열팽창으로 인한 탈락을 견디면서..    하자없이 오래 잘 붙어있을지 의문입니다
-> 수치적으로는 0.08 N/㎟ 이상의 접착력이면 충분히 가능하겠습니다만, 우리나라에서 이를 알 수 있는 본드제품은 없을 것입니다. 그러므로 저희도 확실한 답을 드릴 수는 없습니다.
다만, 앞서 이야기드린 바와 같이 단열성능이 나오지 않기 때문에 이 답변은 아무 의미없을 것 같습니다.

3. 또한.. 벽지 시공 후 손가락으로 누르거나.. 뭔가 충격이 있으면..    도배지와 단열재사이의 접착제가 탈락해서.. 접착력이 없어지지않을까 합니다..
-> 이 역시 의미없는 답변이 될 듯 해서 생략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1 사막마귀 2013.10.28 22:31
답변 매우 잘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외단열이 설치되어있고
내단열을 추가하는 경우

차라리 일반 단열재만을 설치하고 (물론 각재 및 석고보드 시공)
열반사단열재를 아예 설치하지 않는 것이 맞겠네요

하절기 시 내부온도를 더욱 상승시키는 요인이 될 것 같습니다

고견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