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시공관련 질문

경량목구조 단열 시방에 대한 문의.

G 제멋대로곱슬머리 21 442 2023.12.24 20:23

안녕하세요, 

 

현재 경량목구조 신축 중입니다. 

 

단열에 대한 고민이 있어서 질문을 드립니다. 

 

벽체 내부 글라스울 - 가변형 투습방습지(인텔로) - 각상 순으로 작업을 구상중 입니다. 

 

이 각상 단계에서 단열을 보강하고 싶은데 혹시 우레탄 단열스프레이폼을 가변형 방습지 위로 시공해도 

무방할런지요, 가변형방습지의 기능저하가 우려되어 고민입니다. 

혹시 문제가 된다면 어떤 방법이 단열 보강으로 좋을련지요. 

 

조언을 주시면 참 고마울 것 같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Comments

8 디엔에이ㅣ신범석 2023.12.26 10:27
가변형투습방습지 안쪽자재는 원활한 투습이 되어야 하는데, 우레탄 단열스프레이폼은 거기에 적합하지 않아 보입니다.
또한, 단열스프레이폼을 각상(38mm)두께로 정확하게 시공하기가 어려울 것으로 보이네요. 만약, 하신다고 하셔도, 두께 이상으로 올라와있는 부분도 갈아내셔야 하구요.
제가 보기에는 글라스울이나, 암면으로 보강하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G 제멋대로곱슬머리 2023.12.26 18:37
신범석님 답변 고맙습니다. 저 또한 가변형 방습지의 투습 기능이 제한을 받을까 하는 것이 최대 우려포인트였습니다.
8 디엔에이ㅣ신범석 2023.12.27 07:24
감사합니다.
M 관리자 2023.12.27 11:48
저도 더 추가할 것은 없는데요.
단열이 무언가 부족해 보여서 추가를 하려는 것인가요? 즉 외부쪽은 OSB 외측으로 바로 마감을 하는 방식인건가요?
G 제멋대로곱슬머리 2023.12.27 22:36
안녕하세요 관리자님,
외부측은 OSB-투습방수지-레인스크린-삼목 마감순입니다.
말씀하신대로 내부 단열 보강을 위한 방법을 고민중에 있습니다.
그 와중에 중단열-방습지-각상, 이 각상 단계에서 어떤 종류의 단열재를 사용하는 것이 좀 더 나을까 고민에 들던 차에 조언을 구하게 되었습니다.
M 관리자 2023.12.28 01:09
알겠습니다.
만약 그 곳에 단열을 추가한다면 글라스울 단열재가 가장 적당합니다.
G 박찬욱 2023.12.29 13:38
네 관리자님 답변 고맙습니다. 참고 하겠습니다.
G 박찬욱 2023.12.29 13:48
아, 혹시 그럼 시중에 2*2 각재 규격에 맞는 그라스울도 있을까요? 제가 아는 건 r11규격이 최소 단위여서요.
8 디엔에이ㅣ신범석 2023.12.29 14:52
https://www.isover.co.kr/products/eneoji-seibeo-energy-saver

에너지 세이버제품중 두께 40mm 제품이 있습니다. 참조하시어요.
2 권희범 2023.12.29 16:38
설비층 각상 사이에 단열재를 넣으면 실내의 온기가 스터드에 닿지 못해 겨울철 스터드 실내측 표면의 결로 위험성이 높아집니다.
외단열이 건전하다면 괜찮겠지만 외단열이 있다면 설비층에 단열을 할 필요가 없어지죠.
비용을 조금 더 들여서라도 외단열을 하시는 걸 권합니다.
그리고 각종 배관이 지나가는 설비층에 단열재를 밀실하게 넣기는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8 디엔에이ㅣ신범석 2023.12.29 16:51
전체적인 벽체의 레이어를 봐야 하지 않을까요?
외부단열재가 있는 상태라고 한다면, 다른 양상이지 않을까요?
2 권희범 2023.12.30 13:43
네 그죠.
댓글 보고 외단열 없는 일반적인 목구조라 생각했습니다.
M 관리자 2023.12.30 19:13
같은 고민을 하긴 했으나, 가변형방습지가 있어서 설치층에 단열재를 채우는 것을 전제로 말씀을 드렸었습니다.
G 제멋대로곱슬머리 2023.12.30 21:43
권희범님 안녕하세요.
외단열이 없는 목구조가 맞습니다. 그리고 외벽 마감을 해 놓은 상태라 추가 외단열을 생각하고 있진 않습니다.
말씀해 주신 부분 중에 설비층 각상 사이 단열재를 넣으면 실내의 온기가 스터드에 닿지 못할 때 겨울철 스터드 내부 표면의 결로가 생긴다고 하셨는데 쉽게 이해가 되지 않네요.
어떤 경우에 스터드의 실내측 표면에서 찬공기와 더운공기가 만나게 되는 것인지요??

답변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G 제멋대로곱슬머리 2023.12.30 21:44
신범석님,

유용한 정보 고맙습니다.
M 관리자 2023.12.30 21:55
내단열이 없을 때 보다, 있을 때 실내의 열이 외측으로 가기 어려워 지므로, 구조체 내부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낮아지게 됩니다.
온도가 낮다는 것은 결로의 위험이 높아지는 것을 의미하므로, 이를 피하는 것이 좋다는 의미였습니다. 저 역시 같은 의견이긴 하나, 실내에 방습층이 건전하다면 괜찮다고 본 것이었습니다.
2 권희범 2023.12.30 22:49
관리자님 말씀대로 방습층이 건전하면 구조체의 손상을 일을킬만한 문제를 일으키지는 않을 수 있겠지만,
내단열 주택처럼, 눈에 보이지 않는 석고보드 안쪽에 곰팡이가 필 수 있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춥지 않은 지역이고 실내 온습도 관리를 적절히 하신다면 가능성이 적을 수도 있구요.

140mm 중단열 주택에 40mm의 내단열 추가는 피부로 느낄만한 차이이고 제가 말씀드린 건 장기적 하자 가능성이니 둘 중 하나를 택한다면 단열 추가가 맞을지도 모르겠습니다.
다만, 고민이 필요한 방법이고, 위에 말씀드린대로 제대로 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제가 십년도 더 전에 한번 해봤거든요.
외단열이 있는 집이었지만 설비층의 대류를 막아보려고 했던 건데 그 뒤에 하지 않는 게 맞다는 걸 배웠습니다.
G 제멋대로곱슬머리 2023.12.31 20:16
관리자님, 권희범님 설명 고맙습니다.
결로를 단순히 찬공기와 따뜻한 공기가 만날 때 생기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던 것 같습니다. 방습층이 건전하다면 괜찮을 수 있다는 관리자님의 설명도 이해가 되었습니다.
현장은 제주도 입니다. 그렇다면 방습층 후 설비층 단열을 할 지 안할 지에 대한 고민은 결국 선택의 문제로 남는 게 아닌 가 싶습니다...단열 보강이 쉽지가 않네요...^^
M 관리자 01.01 11:36
제주라면, 단열추가보다는 기밀에 더 투자를 하시는 것이 맞습니다.
즉 중간기밀시험을 하셔서, 누기부위를 찾고 보완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더 나은 결과를 보장 받을 수 있으실거여요.
G 제멋대로곱슬머리 01.01 19:35
관리자님, 와닿는 조언해주셨네요.
그 방향으로 가보아야겠네요. 고맙습니다. 새해 건강하세요.
M 관리자 01.02 16:24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