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자관련 질문/사례

아파트

안녕하세요

 7층 아파트인데 저의 집은 6층입니다. 확장형 베란다쪽 천장에서 물이 새고 있습니다. 외부벽과 이어진 부분(커텐달은쪽)은 물이 전혀 새지 않고 커텐 몰딩한 거실쪽 베란다쪽 천자에서만 전체저그로 물이 새고 있습니니다.

천장에 작년부터 물이 스며들면서 벽지가 쭈글해진정도라 별 관심없이 넘겼는데 올해 비가 많이 오면서 한군데에서 물이 뚝뚝 떨어지더니  현재는 비가 오고나면 2-3일 뒤에 뚝뚝 많이 떨어지거나 조금씩 떨어지고 있습니다.


Comments

M 관리자 2022.08.25 14:01
안녕하세요.
사진이 누락된 것 같습니다.
G 이채연 2022.08.25 14:09
네 지금 올리고 있습니다. 저희 아파트는 참고로 12년 되었고 한번도 외벽 보수 한적이 없고 올해 지금 처음 하는것입니다.
G 이채연 2022.08.25 14:11
저의집
천장 벽지를 다 걷어낸 상태입니다
G 이채연 2022.08.25 14:15
천장 물 떨어지는 장면
G 이채연 2022.08.25 14:17
많이 세서 콘크리트가 주저 앉은 상태에서 누수
G 이채연 2022.08.25 14:19
커텐쪽 공간(외벽과 맞닿은쪽)은 물이 전혀 안세고 있습니다
G 이채연 2022.08.25 14:22
7층 천장쪽 실리콘인데  옥상과 맞닿은쪽 입니다 약간 부식된것 같습니다 7층 천장은 안세고 있습니다
인방부는 내일 로프타고 찍어주신다고 했습니다
G 누수를 찾아서 2022.08.25 15:28
1. 상부층의 구조가 궁금합니다.  누수 상태부위의 상부층은 어떤 구조인가요?

2. 천장슬래브에서  물이 떨어졌다는건 상부층 내부로 들어왔다는  증거입니다.
외부로인해 7층 세대내로 들어갔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3. 경로
 1) 창틀을 통해 7층 세대내로 침투하여 방통을 적셔 들어오는경우
 2) 상부층 테라스가 범람하여 테라스 창문(큰창문일경우) 하부의 사춤(창문의기밀시공여부)를 통해 방통을적셔 누수를 발생시키는 경우.

팩트

해당층 창문으로 물이들어오는경우 벽면을 적시며 하부걸레받이를 적셔 걸레받이가 불어나는경우가있으며, 최초 물이떨어지는 구역을 살펴봐야합니다.
하지만 구조특성상 천장구조가 젖어서 들어왔다는것은 7층의 상부에 물이 들어와 진입하였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따라서 상부층을 먼저 조사하시고 내부 창문누수도 점검이 필요 할 것으로 보입니다.

저는 설계를 전공으로 건축을 시작하였고 건설사에서 하자보수 기술담당, 품질담당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