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자관련 질문/사례

너무 급합니다~ 제발 좀 도와주세요

G 박명이 28 786 2022.09.13 22:18

저는

16년 된 아파트에 살고 있습니다

2년반쯤 아파트를 매매하여 이사를 왔는데

그해 작은방 현광등쪽으로 누수가 있었었고

아파트 관리소장님께서 오셔서

2년전쯤 같은곳에 누수가 있어서 윗층과 저희집 문제의 방이 있는곳 라인을 실리콘 작업을 했다고 했는데 2년이 지난(지난주 태풍때문에)같은 곳에서 누수가 생겨서 이번엔 누전까지 되었습니다~

윗집과 관리소 그리고 저와 의논후

윗집에 문제가 있다는 판단하에

전문업체를 불러서 수도계량기와 또 압력으로 체크하는것, 보일러를 살펴보았지만

문제를 찾지 못했습니다(이과정에서 윗집과 물리적 충돌은 없었지만 본인집은 코킹 했다! 비올때 생기는것이니 본인집은 아니라고 강력하게 말씀하시네요..)

또 중요한것은

장마라는든지 큰비가 내리고 나면 물이 새는데

그 외에는 천장속이라 체크가 안되어서인지 

작년도 그렇고  올7~8월엔 누수가 없었어요

이사온 첫째해와 한해 건너 올해

두번 누수가 있었습니다

누수가 되다가 5~6일 지나면 또 젖은곳이 마릅니다..

그러니 윗집이라 생각해볼수도 없는 상황이긴 합니다

 

오늘

다시 외벽을 보시는 분을 또 불렀습니다(답답한 마음에 비용을 제가 지불했습니다)

천장 석고도 조금 뜯고 외벽도 이리저리 살펴보았지만

오늘 오신 기사님께서는 코킹이나 클렉일 확률이 적다는거예요~

누수지점이 외벽샤시와 거리가 있고(2.5미터 )

아파트가 확장형이라(확장형으로 지었음) 기둥같은곳도 있고 무엇보다 천장안을 보니 샤시쪽은 누수의 흔적이 없다는 것입니다 (이 이야기는 관리소장님께서 모셔온분도 같은 대답을 하시더군요)

 

배관을 보시는분은 외벽일것 같다

외벽 누수를 보시는분은

윗집일 가능성이 있다고 하는데

정말 정말 정말 머리가 깨질것 같아요


저희집같은

경우는 어떻게 누수가 생긴곳을 찾을수 있을까요

누수가 생긴방이

고3 수험생의 방이라

부모로써는 애가 쓰이네요~

수능준비에 바쁜데..ㅜ

방을 사용하지도 못하고

오늘은 정말 너무 지쳐서 많이 울적하고 괴롭네요

 

다양한  현장을 경험하신

전문가분께 문의드립니다

누수의 원인을 어떻게 찾을수 있을까요

 

Comments

G 박명이 2022.09.13 22:33
추가합니다
17층 건물에 14층에 거주중입니다
M 관리자 2022.09.14 12:45
"누수가 되다가 5~6일 지나면 또 젖은곳이 마릅니다.."라고 하셨는데요..
누수를 인지한 시점이 몇 월 경이세요?
G 박명이 2022.09.14 12:56
이번의 경우는 지난주 수요일 아침입니다 .콘크리트 부분 사진은 어제 찍었구요
어제 석고보드를 도려낸 부분에
벽지를 덧발라 놓았는데
오전 동전크기보다 조금 큰 물방울 자국이 있었는데  몇시간 지난후 말랐네요

2년전 같은 상황에서는
누전이 되진 않았고
코킹 부분이라고 해서
코킹 부분 보강했었습니다
천장을 안을 살펴보진 않았지만
제가 봤을때는
그냥 자연스럽게 말랐었어요
G 박명이 2022.09.14 13:11
정정합니다
첨부한 2.3번째 사진은 지난주 수요일 관리실에서 찍은겁니다
M 관리자 2022.09.14 13:44
비밀글은 답변이 불가능합니다. 공개범위를 스스로 결정하셔서 수정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G 박명이 2022.09.14 13:50
2년전 큰 폭우로 각 세대별 누수가 많아서 피해 세대를 접수 받아서
코킹 작업을 했었습니다
저희집은 그때는 하지 않았구요
혹시
14층인 저희집 말고
17 16 15층 외부 크랙에 의해서
저희집에 누수가 생길수도 있을까요
M 관리자 2022.09.14 13:53
그럼 관건은... 그 보수 후에 다른 세대는 추가적 누수가 없었는지가 중요해 보입니다.
저 역시 올려 주신 정도만으로 판단을 할 때, 이 것이 외벽으로 부터 비롯된 누수인지 확신을 하기 어려웠기 때문입니다.
다만 17,16층의 외벽균열로 14층까지 내려올 확률은 낮습니다. (외벽면이 원인이라면) 15층 외벽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만약 16층 외벽에 문제가 있다면 15층 천장에서 문제가 생겼을 것 입니다.
M 관리자 2022.09.14 13:54
밖응로 나가셔서 해당 방이 붙어 있는 외벽면을 최대한 확대해서 찍으신 것을 비밀글로 올려 주실 수 있으실까요?
G 박명이 2022.09.14 14:03
비밀글입니다.
M 관리자 2022.09.14 14:08
"저희 엽집과 누수가 있는 방과 약간 사선 부분"은 이해하지 못했습니다.
보이는 창문이 있는 방 천장인가요?
G 빅명이 2022.09.14 14:10
14층과 15층 사이에는 문제시 될만한 크렉은 없는것 같다고 기사님들께서 말씀하셨습니다
그래서 로프를 타서 위에서부터 저희집까지
확인을 해보자는 의견도 있었어요
G 박명이 2022.09.14 14:13
비밀글입니다.
M 관리자 2022.09.14 14:19
그럼 이 사진은 누수가 있는 방의 창문을 열고 찍은 사진이라는 의미신가요? 만약 그렇다면 이 사진은 의미가 없고, 아예 외부로 나가셔서 밖에서 그 누수가 있는 방을 바라본 확대 사진이 필요합니다.
혹은 누수가 있는 방의 창문을 열고 카메라를 내밀어서 위쪽을 찍은 사진이 필요합니다.
몸을 내밀어 찍는 행위는 위험하오니 카메라만 내밀고 찍으세요.
G 박명이 2022.09.14 14:38
사진
G 박명이 2022.09.14 14:40
사진
G 박명이 2022.09.14 14:41
사진
G 박명이 2022.09.14 14:41
사진
M 관리자 2022.09.14 14:59
보호받을 개인정보를 담고 있지 않은 사진들이기에 임의로 비밀글을 해제하였습니다.
앞으로 이런 원칙으로 올려 주시면 되세요. 아파트 마크 등이 들어간 사진은 비밀글이 가능합니다.

아래 표시된 돌출물이 무엇인가요?
G 박명이 2022.09.14 15:15
저희집은 1407호입니다
M 관리자 2022.09.14 15:21
성함이 표시된 부분과 주변이 보시는 부분은 제가 임의로 정리를 하였습니다.

1. 돌출물은 콘크리트 덩어리일까요?
2. 1407 이라고 글씨가 쓰인 창문이 있는 방 천장에서의 누수 맞을까요?
3. 혹시 1507 같은 방의 걸레받이에 곰팡이가 핀 것을 본 적이 있으실까요?
G 박명이 2022.09.14 15:44
1. 콘크리트 맞습니다
2. 누수방 맞습니다
3. 윗층 걸레받이 깨끗합니(직접 확인했습니다)

바깥에서 본 기둥 사진 첨부합니다
G 박명이 2022.09.14 15:45
비밀글입니다.
M 관리자 2022.09.14 17:37
위에 비밀글로 올리셨다가 제가 풀어 놓은 사진 세 장이 혹시 좌우가 바뀐 사진일까요?
G 박명이 2022.09.14 17:45
돌출물이 무엇일까요 라고 질문하신 사진 좌우가 바뀌었네요

2시 38분부터 올린 사진
좌우가 바뀌었네요
돌출물은 누수방과 옆집 경계선 위에 있습니다
M 관리자 2022.09.14 17:55
비와의 연관성이 증명된다면.. 외벽에 균열은 두군데가 있는데요.
그 중에 아래 것은 유의미해 보이지는 않습니다. 아파트 구조상 이 부분에서 누수가 일어나기는 매우 어렵기 때문입니다.
아래 사진 중에서 위에 체크된 부위가 유일하게 의심스러운데요. 장식물 때문에 그 하부 콘크리트의 마감이 다른 층과는 양상이 달라 보이기 때문입니다.

윗층의 창문 하부도 확률은 낮은 것이.. 창문 하부에서의 누수라면 윗집에서 인지를 할 정도로 창문 주변이 먼저 젖고 나서 아래집으로 나오게 되거든요. 그래서 가능성을 배제하였습니다.
G 박명이 2022.09.14 18:04
답답한 마음에
올렸던 정리되지 않은글들에 답해 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누수문제가 해결 된다면
꼭  결과에 대해서 글 남기겠습니다.
G 친절한성희씨 2022.09.22 16:38
협회 홈페이지에서 간간히 들러 자료나 사례를 보고 지식만 배워가는 죄송함에 공동주택 하자보수 담당자였던 경험으로 몇 가지 사항이 추정되어 글을 올립니다.

상기 내용과 사진을 토대로 검토하였을 때 개인적인 의견으로는 3가지 정도 원인이 추정됩니다.

1. 창틀 고정 칼블럭에 의한 우수유입
    > 준공 후 16년 경과 단지 / 창틀 고정을 칼블럭 및 몰탈 사춤으로 추정됨
        -> 창틀 하부 칼블럭 시공 시 내부창틀 부위에 고정을 하여도 외부 풍압에 의해 배수구가 없는 내부창틀에 우수의 유입이 가능함
        -> 발코니가 없는 확장형으로 창틀 주변 단열이 시공되어 우수 유입 시 단열재 배면이나, 내장 마감 뒷쪽으로 우수가 흘러 바닥 미장, 기포 등으로 유입됨
        -> 보완 방안 : 칼블럭 시공부위 실리콘 도포(아쉽지만 이 방법 밖에는 없을것 같습니다.)

2. 상부 세대 창틀 코킹 불량에 의한 우수유입
    > 사진으로는 확인이 되지 않지만, 실리콘 찢어짐이 생기면 일반적인 우천에는 누수가 발생하지 않으나, 1항과 동일하게 강풍을 동반한 우천 시 누수가 발생 함
    > 상부 세대 난간대가 창틀과 이격이 거의 없는 것으로 봐서 난간대 브라켓 상부로 창틀 실리콘이 시공되었을 것으로 사료됨. 난간대 브라켓 하부는 코킹이 없어 강풍을 동반한 우천 시 우수 유입이 가능함
      -> 위의 2가지 내용을 확인 하려면 상부세대 외부 실리콘을 직접 눌러가며 벌어지는 부위가 있는지 점검하여야함. 난간대 브라켓 하부쪽은 창밖으로 사진을 찍어 확인 하여야함
      -> 보수 방안 : 창틀 외부 코킹 제거 및 재시공 / 난간대 브라켓 하부 코킹 시공

3. 외벽 균열에 의한 우수 유입
    > 사진 상 층간 균열이 심하지 않아 가능성이 떨어지지만 없지는 않음
    > 1, 2항과 동일하게 강풍을 동반한 우천이 장시간 이루어 지면 층간 균열로 우수가 유입되어 콘크리트 균열 부위로 누수가 발생함
      -> 보수 방안 : 외벽 균열 보수

글 솜씨가 없어 두서없이 써내려가서 보기에 어지럽네요.
보수에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수고하세요.
M 관리자 2022.09.22 21:37
친절한성희씨님.. 너무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