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자관련 질문/사례

반지하 바닥공사 방법을 두고 고민에 빠져있습니다.

G 김지석 6 1,201 2022.03.19 13:24

안녕하세요


현재 반지하 빌라가 하나 있는데 이곳에 윗집 누수가 발생되어 최근 윗집 누수를 잡고

벽지와 장판만 교체 진행하려했으나 부동산에서 새로 전세를 놓으려면 이참에 바닥공사를 하라는 권유를 받고 고민에 빠졌습니다

 

현재 증상: 방바닥 모서리 부분을 기초공사까지 파서 보니 기초공사 위에 2cm 정도 물이 차있습니다(원인은 그동안 윗집 수도배관 누수가 6개월 이상 지속되었고 그 누수정도가 상당하여 반지하 바닥에 많이 고였을 거라 예상,물론 외부 유입도 없지 않아 있을거라 생각합니다)

 

공사 방법:

 

1. 누수탐지 업체에서는 기초공사 위 2cm정도 물 차는 것은 반지하 특성상 그럴 수 있으니 시간이 지나면 빠져나갈 수도 있다.그러니 세입자 내보내고 3일 이상 보일러 최대로 틀어 바닥을 말린 후 도배, 장판 깔면 끝!!

-->보통 보일러 최고온도로 설정 후 며칠을 말려야 할까요?

 

2. A업체가 하는 시공방법으로 바닥 까내고 액체방수도포-시트지 밀봉-배수판-스트로폼-온수관-미장 , 즉 4겹정도로 바닥 밀폐시켜서 혹시 모를 바닥내 물기나 습도를 차단

 

3. B업체가 하는 시공으로 반지하 전체 면적 테두리(150mm x 150mm)를 까내고 외부,내부로 부터 생길 수 있는 물 유입구를 찾아 방수처리 및 원천봉쇄 그리고 전체면적 파놓은 테두리에 파이프 삽입 후 환풍시스템(내기 외기 순환) 설치

(단 사장님 말씀으로 면적 테두리외 부분은 방수작업 하지 않는다고 하심, 이미 외부로부터 물 유입되는 부분을 방수처리 했기 때문에 물 유입이 없다고 함)

 

위 세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여기서 2번을 선택하면 ..

방바닥 아래 물이 차더라도 바닥이 완전 밀폐가 되어 있기 때문에 물이 올라오지는 않습니다. 다만 물길을 만들어줘서 집수정으로 빠져나가게끔 해야하는데 물이 콸콸 쏟아지지 않는 이상 물길을 만들어도 그게 과연 잘 빠져나갈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배수판 아래 바닥에 물길은 어떤 형식으로 만들어 줘야 하나요?(모든 면적 태두리를 파내고 방바닥 가운데쪽도 십자가 모양으로 파내야 하나요? 마치 지하주차장처럼요)

 

3번!!!

 

반지하 면적 테두리외 방바닥 중앙쪽은 금액적 이유로 다른 방수처리(액체방수나 시트 또는 배수판)는 안하신다고 합니다. 즉 테두리쪽에서 외부로부터 물 유입 원인을 차단!! 

그리고 파이프 테두리 면에 둘러 삽입, 반지하 바닥 습도 조절하는 환기시스템으로 시공!!

 

다만 걱정이 되는 부분은 테두리외 방바닥은 따로 방수처리 안하고 기존 상태 그대로 놔두신다는데 정말 방바닥 가운데쪽 방수처리는 안해도 되는건지요? 또 시간이 흘러 방바닥 가운데쪽에서 물이 올라와 테두리쪽으로 물이 고이게 되면 삽입된 파이프 속 곰팡이나 균 발생으로 집안에 악취가 나지 않을지 걱정됩니다.

 


번외로 반지하이기 때문에 석고보드가 벽체에 설치되어 있는데 반지하 환경에서 석고보드는 사용을 안하는 자재인가요? 반지하에 맞는 보드 좀 추천 해주세요!!

간혹 이보드 사용을 권하는 곳도 있습니다. 

아니면 외벽과 공유하는 내벽쪽에 배수판을 붙이고 그위 석고보드나 이보드를 그리고 도배를 하는 것이 좀 더 낫지 않나 하는 생각도 해봅니다.(반지하 특성상 벽지 아랫부분이 젖거나 군데군데 곰팡이 슬어서요)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조금만 참고할 수 있는 조언을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Comments

M 관리자 2022.03.20 10:40
안녕하세요..
말씀하신 테두리에 고인 물이 빠져 나갈 집수정은 설치되어 있는 상태인가요?
G 김지석 2022.03.20 20:33
집밖에 즉 현관문 앞쪽에 집수정 하나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양쪽 세대가 이뤄진 반지하 빌라이다 보니 양쪽세대가 같이 사용하는 집수정인거 같습니다. 집수정은 집 내부에도 설치되어야하나요?
M 관리자 2022.03.21 19:06
그렇지는 않습니다. 집 내부의 물이 집수정으로 나갈 수 있기만 하면 됩니다.

-------------------
1번의 방법은 무모합니다. 5년 정도 말려야 하기 때문입니다.

한다면 2번이 유효합니다. 그리고 금액도 제일 많이 드는데요..
따로 물길을 만들 필요는 없습니다. 그저 완전한 밀폐만 가능하면 되긴 하는데.. 문제는 벽도 같이 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아래 사이트의 그림을 보시면 좀 더 이해가 빠르실 것 같습니다.
벽은 단열방습보드  http://www.ekboard.com/sub/sub02.php?page=4
바닥은 단열배수판 http://www.ekboard.com/sub/sub02.php?page=2
을 사용하시면 그래도 비용이 가장 저렴하게 끝낼 수 있습니다.
G 김지석 2022.03.21 20:58
관리자님에 답변 감사드립니다.

혹시 벽과 바닥을 전부 밀폐하는 방식이 좋다는 말씀이시죠?

링크해주신 사이트를 통해 벽과 바닥 단열판 확인했습니다. 그런데 이 제품을 사용해 공사해주는 곳이 있나요?
보통 업체마다 비슷한 시공을 하더라도 각각 다른 재료들을 가지고 시공을 해서요
제가 위 부품을 따로 주문하고 공사해주는 사람을 찾아봐야하나요?

그리고 3번을 신박한 공사 방법이라고 생각했는데 2번에 비해 부족한 이유를 좀 여쭤봐도 될까요?
M 관리자 2022.03.21 21:19
제품을 주문 후 시공해 달라고 하시면 되세요. 시공방법이 어려운 것은 아니니..
3번은 냄새를 막을 수 없습니다. 우려하신 바와 같습니다.
M 관리자 2022.03.21 21:20
그리고 밀폐를 하면 석고보드를 사용하실 수 있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