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자관련 질문/사례

단열재 흡수율

G 자정 3 526 2023.01.03 13:35
안녕하세요.

건축 자재 관련 공부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결로방지를 위한 단열재는 열전도율에 대한 기준만 있고,

흡수율에 대한 기준이 없는 것이 궁금해서 질문 남깁니다.

 

1. 단열재의 흡수율은 고려하지 않아도 될까요?

2. 흡수율이 어때야 결로방지 성능에 유리한가요? (높아야하는지, 낮아야하는지)

3. 압출법, 비드법, 경질폴리우레탄의 흡수율이 많이 차이가 나나요? (관련 자료가 있으면 알려주시면 감사합니다.)

Comments

M 관리자 2023.01.03 14:31
안녕하세요.
1. 해야 하지만 하지 않고 있습니다.
2. 어때야 할까요?
3. 우선 구글 검색을 먼저 해보시고, 이차적 질문을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G 자정 2023.01.03 15:07
1. 왜 해야하고, 왜 하지않고 있는지 관리자님의 의견을 여쭤봐도 될까요?
2. 흡수율이 낮아야할 것 같습니다. 흡수율이 높으면 콘크리트에서 발생되는 수분을 머금고 다시 뱉어낼 것 같습니다. 저의 추측입니다..ㅜㅜ 세대 내에 발생하는 결로는 실내외온도차와 실내측 습도에 의해 발생될텐데 실내측에선 방수석고보드 등을 사용하여 습기를 차단하고 외기로 인한 온도저하를 막기 위해선 흡수율이 낮은 단열재를 사용해야할 것 같습니다. 모두 저의 추측이니 틀린 부분이 있다면 알려주시면 감사합니다...!
3. 압출법 < 경질폴리우레탄 < 비드법 << PF 보드 순서로 흡수율이 높아집니다. 출처: <단열재 흡수율에 관한 연구> (김해나, 김봉주, 서은석 등) 열전도율은 같고, 흡수율이 다르다면 어떤 단열재를 사용하는게 유리한지 궁금합니다.
M 관리자 2023.01.03 23:36
1. 해야 하는 이유는 이미 적어 주신 것 같고.. 하지 않는 이유는.. 아직 우리나라의 건축 수준이 거기에 도달하지 못한 탓입니다.

2,3. 방수석고보드는 습기를 차단하지 못합니다. 이 부분은 각 재료의 습기저항계수로 검색을 해보세요.
모든 부위에 단열재의 낮은 흡수율이 요구되는 것은 아닙니다. 물과 상관이 없다면 흡수율은 큰 의미가 있지 않습니다. 다만 무기질단열재는 습기로 인한 내부 곰팡이/결로문제를 해결해야 하는데, 그렇다고 해서 무기질단열재를 사용하면 안되는 것도 아니며, 그에 맞는 적절한 디테일이 수반되어야 합니다. 무기질단열재를 사용해야만 하는 경우도 있으니까요..

-------------------
결론적으로 지금 (학생이시라 어쩔 수 없지만) 질문의 범위가 너무 넓습니다.

질문이 짧으면, 답변이 책 한권을 넘어가게 되어요.

그러므로 이 분야에 관심이 있다면, 스스로 더 깊은 공부를 하셔야 하고, 그 기초자료는 이 홈페이지의 기술자료실에 있습니다.
만약 리포트를 쓸 목적이라면 네이버 지식인 정도면 충분해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