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자관련 질문/사례

신축아파트 누수 및 결로

G 하하하 6 746 2023.11.11 22:55

안녕하세요. 10월에 신축아파트로 이사한 후 누수와 결로가 생겨 문의드립니다.

20층 높이의 아파트이며,  18층 거주중입니다.


1. 누수

비가 오면 안방 베란다에서 누수가 발생됩니다.

비의 양이 적었으나 바로 누수가 생겼습니다.

내부에 크랙이 점점 커지고 있고 외벽을 보니 크랙이 누수되는 위치와 비슷하게 있습니다.

외부크랙에 의한 누수인지 다른 원인이 있는지 문의드립니다.

하자보수 업체에서는 외부크랙으로 물이 들어온 경우 쉽게 마르지 않으나 저희집은 쉽게 말라 외부크랙으로 인한건 아니라고는 하나 원인에 대해서는 모르겠다고 하며 내부도장을  한후 지켜보자는 입장입니다. 저는 원인을 하루빨리 찾아 해결하고자 하는데 이럴경우 어디는 점검해보아야할까요?

 

누수.jpg

 

전체크랙.jpg

 

크랙1.jpg

 

2. 실외기실 누수 및 결로

1번과 같은 날 비가 오니 창문 옆으로 동그랗게 누수가 발생되었습니다.

창문, 천장과는 떨어진 위치라 외부크랙으로 인한 것으로 봐야될까요?

실외기실은 사용하지 않는데 창문위로 큰물방울이 맺혀있는 상황입니다. 의심되는 원인이 있는지 문의드립니다.

- 누수사진

누수.jpg

 

-결로사진

결로.jpg

 

누수전체.jpg

 

3. 세탁실결로

세탁실  창문아래  벽으로 물자국이 생길정도로 결로가 심합니다(물자국은 격자무늬모양). 창틀 아래 실리콘 부분이 축축하며 벽은 물자국은 있으나 축축하지는 않고 바닥바로 위 벽에만 물기가 있습니다.

어느 부분을 점검해야 할까요?

세탁실 전체.jpg

 

20231111_074826.jpg



4. 대피실 결로

3번 실외기실 결로와 마친가지 현상이보입니다. 대피실은 드레스룸(서늘한편) 옆에 위치하고 문을 여닫지도 않았는데 결로가 심하고 창문아래 벽에 물자국(격자무늬)이 생깁니다. 어느 부분을 점검해야 할까요?

20231111_074815.jpg

 

20231111_074818.jpg



매일매일 물기를 닦아야 되는 상황이라 생활하는데 불편하나, 하자보수업체에서는 잘 신경써주지 않고 있습니다.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원인이나, 의심가는 상황이 있으시면 답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Comments

9 잡자재 2023.11.14 07:57
1. 외부크랙을 통한 누수로 보입니다.
2. 원형 부분은 크랙 또는 공사과정 중에 앙카 등의 고정철물 부위의 방수작업이 완벽치 않아 생긴 누수로 보입니다.
1,2번은 외벽 보수를 통해 해결이 가능하지만 이 외의 결로문제는 단열공사가 없는 완충지대에 생기는 현상으로 전체적인 단열공사 없이는 해결이 불가능합니다.
대피실의 경우 대피실의 출입문을 기밀하게 막아 실내의 고온다습한 공기가 차가운 대피실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하는 방법이 가능할 것 같습니다. 하지만 이 역시 출입을 하지 않는다는 전제입니다.
세탁실의 경우 보일러가 있어 동파의 우려는 적지만 세탁실의 특성상 습발생이 있을 수 밖에 없어 결로를 막을 수 없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전체적인 단열공사 이외에는 방법이 없습니다.
G 하하하 2023.11.14 12:15
답변감사드립니다.
혹시 호차, 문풍지판 조정 외 시공사에 요청할 수 있는 사안이 있을까요?  창문틀 접합이 제대로 안돼 벽을 타고 내려오는 경우도 있을까요?
9 잡자재 2023.11.14 12:52
네 말씀하신데로 창문틀 모서리의 접합이 안되어서 물이 타고 내려갈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그런경우 대부분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합니다.
M 관리자 2023.11.15 00:13
답이 늦어서 죄송합니다.

거의 답변이 다 된 것 같고요.
위의 언급처럼 1,2번은 외부의 요인이고, 나머지는 습기에 의한 결로인데.. 사용자가 만든 습기보다는.. 콘크리트 건물의 초기 건조 수분이 과다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아마도 겨울에 타설된 층일 거여요.
초기 1~2년은 제습기를 열심히 돌려 주던가, 창문을 열어 두던가의 방법 밖에는 없습니다.

그리고 창틀의 누수라면.. 창틀에 물을 부어서 간접 확인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G 하하하 2023.11.15 16:37
답변감사드립니다. As센터에서는 1번 2번을 결로로 보고 안쪽 미장만 다시 한 상태입니다. 추후 외부 작업으로만 누수가 잡힐까요?  찾아보니 누수인 경우는 내부도 v커팅 후 퍼티로 메꿔야 된다는데 그작업이 생략되도 괜찮은건가요?
M 관리자 2023.11.16 01:17
외부의 작업만 건전하면 무리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