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시공관련 질문

아파트 인테리어 리모델링 공사 전 초보의 질문글 1 - 난방배관 및 단열재

안녕하세요? 이사를 앞두고 인테리어 리모델링을 셀프(공정 별 직발주)로 진행을 예정 중입니다.

 

현재 살고있는 아파트에서는 베란다 곰팡이와 결로, 그리고 틈새바람으로 너무 고생을하여 이번에 이사갈 때는 이를 되도록이면 모두 해결하고자 하는 바람으로 부족하지만 열심히 이것저것 알아보고 공부를 했습니다. 그리고 공부를 하면 할수록 필요한 정보의 질과 절대량을 이곳 한국패시브건축협회 웹사이트를 통해 얻는 중입니다. 질문에 앞서 꼭 감사하다고 인사드리고 싶어 이 자리를 빌어 말씀드립니다. 진심으로 고맙습니다.

 

앞서 말씀드린대로 혼자 공부를 하고 이곳 피코넷을 통해 정보를 얻고는 있습니다만 워낙에 건축/인테리어와 관련해서 문외한이다 보니, 간단한 것들도 꼭 결정을 하기 전에 확인하고 싶은 마음으로 앞으로 궁금한 점들을 여쭤보려고 합니다. 너무나 기본적이라 바보스러운 글들일 수도 있는 점 미리 양해 부탁드려요. 나무라시더라도 달게 받겠습니다. ㅠ


협회의 "좌충우돌 제로에너지 아파트 리모델링" 글을 정독하고도 제가 워낙에 부족해 이해하지 못하는 부분이나 궁금한 점들을 여쭤보고자 합니다.

 

이사를 예정 중인 아파트는 서울에 있는, 약 20년된 구축아파트(32py형)으로 인테리어 공사는 셀프(공정 별 직발주)로 진행을 예정 중입니다.


 

---

이사를 예정 중인 아파트에 대한 기본설명

이사를 예정 중인 아파트는 서울에 있는, 약 20년된 구축아파트(32py형)이며 끝라인 세대의 아파트로 안방과 안방화자실, 그리고 작은방이 외벽을 마주하고 있습니다. (노란색 벽 부분)

또한 거실과 안방이 남서향의 2베이 아파트이나 저층으로 해가 잘 들지 않습니다. 

거실과 작은방은 확장공사가 현재 되어 있으나 난방배관을 따로 연결하지 않은 상태입니다.

다용도실과 안방베란다, 그리고 화장실 역시 난방배관이 따로 연결되어 있지 않습니다.

창호는 모두 교체 예정이며 하늘색 부분은 완창, 파란색 부분은 반창입니다.

안방과 안방베란다 사이의 반창은 같은 사이즈의 터닝도어로 교체 예정이고요. (창호 관련된 부분은 추후 따로 질문글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난방배관을 설치하고자 하는 부분

베란다 확장된 부분 2군데와 안방 베란다, 세탁기 위치 제외한 다용도실, 샤워부스 제외한 화장실 부분에 난방배관을 놓고 싶습니다. (회색으로 칠해진 부분 모두)

그리고 공용화장실 앞 빨간 색 X 표시한 부분은 누수로 부분공사를 진행했던 곳입니다. (어떻게 누수공사를 했는지에 대한 정보는 없습니다.)

 

A. 난방배관 및 방통 공사 (홈파기 등) 관련 질문

A1. 회색으로 칠해진 부분 무두에 난방배관을 놓고 싶습니다만 확장한 부분이나 다용도실, 그리고 베란다에 난방배관을 시공해서 결로 등의 문제가 생길까 걱정입니다.

이와 관련 보통 공사를 안하는게 맞을까요 아니면 "좌충우돌 제로에너지 아파트 리모델링"의 아파트와 같이 단열공사 및 창호교체를 통하면 이 부분들에 난방배관을 시공해도 문제 없을까요? (작은방의 확장공사한 부분은 난방배관 공사를 따로 안하면 아이방이라 추울까 특히 걱정이고요.)

 

A2. 또 해당 부분 난방배관 공사시 그냥 연결만 해도 특별히 문제 없을까요? 문제가 반드시 생긴다면 아예 다 들어내고 방통을 하는게 맞겠습니다만, 공사기관과 소음을 생각하면 이웃집에 정말 못할 짓인 것 같아 홈파기(?) 공법을 통해 전체 난방배관을 공사하는게 대안이 될 것 같은데 이 경우에는 전체 방통공사 대비 문제 없을까요? 혹시 추천해주실만한 방법이 있으면 말씀 부탁드려요. ㅠ (링크 #1 참조)

 

A3. 만약 홈파기 공법을 통해 난방배관 시공이나 아예 방통을 진행한다면, 온수분배기를 현재 설치된 주방 (초록색 A) 에서 다용도실 (초록색 B) 로 위치를 옮기는 것도 생각 중인데요. 이 경우 동파나 다른 문제가 발생할 소지가 있을까요?

 

A4. 회색으로 된 부분에 난방배관 공사 때는 해당 부분 기포층까지 걷어 바닥에 단열재 시공하는게 맞는건가요? 맞다면 XPS 30T 면 될까요?

 

B. 단열재 시공 관련 질문

B1. "좌충우돌 제로에너지 리모델링 - 6. 단열편" 글을 참조 아래와 같이 XPS 단열재 시공을 하면 문제 없을까요?

천정 30T  + 각재사이 30T + 석고보드 1장

외벽 60T + 각재사이 60T + 삭고보드 1장 (2장말고 1장으로 해도 괜찮을까요?)

창호주면 60T + 각재사이 30T + 석고보드 1장

 

B2. 그 외 내벽쪽 (검은색 벽)에도 단열재 + 석고보드 해야할까요? 해야한다면 각제사이 30T + 석고보드 1장이면 적당할까요?

("좌충우돌 제로에너지 리모델링 - 6. 단열편" 글에서 결로방지단열재 20T 가 무엇이고 어디에 설치하는 걸까요? 이게 내벽쪽 단열재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ㅠ)

 

B3. 공간낭비를 최소하하기 위해 XPS 대신 PE보드나 단열우레탄폼으로 공사하는 것에 대해 의견 여쭤볼 수 있을까요?

 

--

 

마음 같아서는 "좌충우돌 제로에너지 아파트 리모델링" 글을 그대로 따라하고 싶습니다만, 제가 너무 부족하네요. 그래도 절충해가면서 최대한 기밀한 집을 만들고 싶어 이렇게 질문글을 올려봅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Comments

M 관리자 2021.02.05 12:36
안녕하세요..

발코니 확장은.. 위 아래 집에서 같은 곳을 확장했는가, 하지 않았는가에 따라서 다릅니다.
만약 했다면, 난방배관연장은 선택이 될 도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난방배관을 신설하겠다는 의미는 해당 공간이 난방공간으로 변하기에.. 모두 "확장"을 전제로 해야 합니다. 즉 외벽에 "외기직접"에 해당하는 단열이 되어야 한다는 뜻입니다.
이 부분은 외벽 뿐만이 아니라, 천장에도 결로방지단열재가 설치되어야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것을 전제로 말씀드리면..

-----------------------
A. 난방배관 및 방통 공사 (홈파기 등) 관련 질문
A1. ▶ 난방배관으로 인한 결로의 증가 가능성은 없습니다. 오히려 그 반대입니다. 하지만 위아래집이 같은 곳을 확장했다면, 난방배관까지 연장을 하지 않으셔도 아주 춥지는 않습니다. (그 분들의 열을 같이 사용하는 거라 미안하긴 합니다만....)
 
A2. ▶ 배관의 연결이 문제가 되는 것은... 대개의 경우, 창호하시는 분 또는 타일하시는 분들이 배관을 연결하기 때문입니다.  엑셀배관의 이음부속(신주)와 배관이 맞물리는 깊이가 겨우 5mm 정도라서요. 비전문가가 선을 잘라서 이을 경우.. 얼마 안가서 누수로 이어지게 됩니다.
하지만 사업을 하는 공급자 입장에서 그 거 한두개 이을려고, 설비전문가를 부를 수도 없으니.. 거기서 서로 이해관계가 충돌을 하게 됩니다.
비전문가가 배관을 자를 때, 톱으로 자른다거나 그라인더로 자르면서 사단이 나는 것인데요..
이 것만 유의(비용이 추가되더라도 전문가가 잇도록)를 하면 문제가 생길 확율은 극히 낮습니다.
다만, 마루 아래에.. 이 이음작업을 한 곳을 매직으로 표시를 해 두면, 혹시라도 나중에 문제가 생겼을 때 수리가 훨씬 쉬워 집니다.
 

A3. ▶ 방통을 다 철거하고 새로 설치를 하더라도 분배기를 옮기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해당 아파트가 어디까지 건전하게 설계가 된 것인지는 알 수가 없으나... 분배기의 위치에 따라서 배관의 최대 길이가 결정되므로, 분배기가 옮겨지면.. 배관의 길이가 변하면서.. 어떤 방은 더 추워질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A4. ▶ 습기가 직접 닿는 곳이 아니므로, EPS로 하시는 것이 더 낫습니다. 최소 두께는 30mm 입니다. 다만 발코니는 기포층이 없습니다. 그러므로 단열재+난방몰탈 최소두께 30mm 가 가능한지를 보셔야 합니다.


B. 단열재 시공 관련 질문

B1. "좌충우돌 제로에너지 리모델링 - 6. 단열편" 글을 참조 아래와 같이 XPS 단열재 시공을 하면 문제 없을까요?
▶ 네 당연히 괜찮습니다. 다만 석고보드 한 장은 안됩니다. 불가피하더라도 최대한 두장이 시공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 해야 합니다.
 
B2. ▶ 결로방지 단열재는 아래 글을 보시면 더 도움이 되실 것 같습니다.
http://www.phiko.kr/bbs/board.php?bo_table=z3_01&wr_id=2462

B3. ▶ 이 역시 위의 링크의 글로 갈음이 될 것 같습니다. 폴리우레판 폼을 실내측에 사용하는 것은 협회가 극열히 반대를 하고 있는 입장입니다. 연소가스가 다른 석유화학기반의 단열재에 비해 너무나 위독한 가스이기 때문입니다.

--------------
추가 질문은 언제든 다시 올려 주세요.
그리고, 이 모든 것을 떠나서 가장 중요한 것은 "계약"입니다.
공사의 내용, 스펙과 하자 시의 처리가 꼼꼼히 들어가 있는지를 확인하시어요.
1 san6 2021.02.05 23:35
관리자님, 친절한 답변과 조언 감사드려요. 말씀해주신데 용기를 얻어 나중에 다른 궁금한 점들과 이해가 가지 않는 부분들 또 모아서 다른 질문 글을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다시 한번 진심으로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