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충우돌 제로에너지 아파트 리모델링

좌충우돌 제로에너지 리모델링 - 11. 방통몰탈 타설편

M 정광호 11 4,470 2019.10.31 21:56

기포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을 위해 3일간 창문 한번 열지 않았더니

사우나처럼 물이 줄줄 흐르네요. ㅎㅎ

과도한 내부 습도로 생긴 결로지만 다시한번 각재의 열교를 육안으로 확인 할 수 있었습니다.

3d685357e5cc3679c9ab9660d00c642d_1572518964_9555.jpg
사진에 상부에 보시면 3M 테이프 쪽에 물방울이 맺힌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선형열교가 포커스인대... 사진이 영 시원찮네요 ㅠㅠ

3d685357e5cc3679c9ab9660d00c642d_1572519020_0743.jpg
바닥에 XPS 60T를 깔기 전에 PE필름 0.8mm 2겹을 깔았습니다.

사진은 하수배관과 보일러 메인배관 때문에  60T 단열재를 시공할 수 없는 부분입니다.

3d685357e5cc3679c9ab9660d00c642d_1572519025_5167.jpg
남은 시멘트로 PVC관 상부까지 수평을 잡아주었습니다.

당연히 몰탈을 쓰는 것이 맞습니다만...

기포치고 시멘트가 남아서 그냥 시멘트로만 채워주었습니다. ㅡㅡ;

3d685357e5cc3679c9ab9660d00c642d_1572519060_2426.jpg
시멘트로 바닥 수평을 잡고 다음날 찍은 사진입니다. 양생에 의한 발열도 있겠습니다만..

단열재의 유무에 따라 하부층에서 상당량의 열이 전달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3d685357e5cc3679c9ab9660d00c642d_1572519070_6513.jpg
수평을 잡은 뒤 20T단열재를 깔아주었습니다.

겉모습만 보면 60T와 다를 것이 없습니다만...

3d685357e5cc3679c9ab9660d00c642d_1572519150_2517.jpg
이렇게 열화상으로 찍으면 20T의 경계가 확연하게 나타납니다..

3d685357e5cc3679c9ab9660d00c642d_1572519096_0474.jpg
기포 타설전에 측면 완충재로 XPS 20T를 부착하였습니다.

벽면 20T는 XPS 1호 30kg짜리로 측면완충재로서의 역할은 부족합니다만

XPS 60T를 깔은 후에 기밀테이프를 이용하여 코너를 붙임으로 그릇처럼 만들 수 있습니다.

어디 한군대가 뚫려서 방통몰탈이 나가게되면 단열재가 뜰 수도 있고 뜨지 않더라도 평활도에 문제가 생길 수 있기에 꼼꼼하게.. 꼼꼼하게 붙여줍니다.

바닥 부분의 빈 틈은 전부 우레탄 폼으로 충진하고 알루미늄테이프로 붙였습니다.

여기서 알루미늄 테이프를 사용한 이유는 선형열교의 열을 재빠르게 방열시켜 주는

방열판의 역할을 한다기보다는..ㅡㅡ;

천정알루미늄 복합합판 때 박스로 구입한 테이프가 남아서 썼습니다 ㅡㅡ;

(박스로 구입해야 싸거든요..^^;) 일반 박스테이프로도 잘 붙습니다.

3d685357e5cc3679c9ab9660d00c642d_1572519124_9781.jpg
사진상의 배관은 PE-RT배관을 거실에 수핀으로 고정한 모습입니다.

엑셀배관과 같아보이지만 약간 더 야들야들합니다.

가격은 기존 엑셀파이프와 비슷하며 엑셀 신주부속 대신에 PB부속으로 연결이 가능한 장점이 있습니다. 각 방을 200피치 간격으로 시공하면서 60M가 채워지지 않으면 거실을 한바퀴씩 더 돌려서 55~60M의 길이를 맞추었습니다. 그러다보니 거실이 부분적으로 150피치인 곳도 불가피하게 생겼습니다.

3d685357e5cc3679c9ab9660d00c642d_1572519113_361.jpg
분배기에 이렇게 배관에 슬리브를 넣어서 꽂아주기만 하면 된답니다.

 

사진에 보시면 밸브가 없습니다.

집 전체를 난방 펑펑하면서 등 지지려고 밸브를 안단 것은 아닙니다.^^;

밸브는 에어빼기 등등에 필수적으로 필요합니다. 전체 배관이 열려있을 경우 보일러의 펌프만으로 에어를 밀어내기에는 펌프동력이 부족하니까요. 즉 있는 것이 정상입니다.

다만 저의 경우 복사냉방 배관과 함께 고마력의 펌프로 에어를 밀어낼 예정이어서 원가절감을 위해 밸브를 달지 않았습니다.

 

무엇보다....

가장 중요하고 큰 이유는 살면서 필요하면 제가 설치 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밸브가 없는 이유는 아닙니다만 

간혹 연료비를 절약하기 위해 안쓰는 방의 밸브를 잠궈두시는 분들을 위해

한가지만 더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엑셀파이프는 겨울에 외부에서 열교를 타고 들어노는 냉기를 중화시켜 주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

젤 바깥쪽의 엑셀파이프를 벽에서 10cm 안에 설치하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이를 난방비 절감을 위해 잠궈두게 되면 열이 공급되지 않는 방의 하부 쪽으로

곰팡이와 결로가 생길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마루가 검게 변하거나 혹은 눈에 보이지 않더라도 단열재와 구조체 사이에 곰팡이가 생길 수 있습니다. 쓰지 않는 방이더라도 건강을 위해서 적절히 난방을 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3d685357e5cc3679c9ab9660d00c642d_1572519132_2738.jpg

하수구로부터 90센치 안에 분배기를 설치하여 싱크볼 하부장에 들어가도록 시공하였습니다.

분배기의 상부는 본래 에어벤트를 설치하는 곳이나

6구에 배관길이 360m이면 될줄 알았던 배관이 예상과 다르게 부족하여

사진과 같이 억지로 7구로 변경하였습니다. ㅡㅡ;

에어벤트는 메인배관을 연결하면서 중간에 넣을 예정입니다.

 

이제 내일 타설하고 나면 가장 어려운 꾸미기가 남았네요..

단열과 기밀보다 더 더 더 어려운 꾸미기가 남았어요...

타일과 마루, 도배지, 싱크대...

하아... 세상에 모든 타일이 한가지였으면 좋겠네요. ㅠㅠ

생각만 해도 어렵습니다 ㅠㅠ 

Comments

M 관리자 2019.11.01 09:55
ㅎ 고생하셨어요.
남은 일도 태산이시겠지만...
2 프라즈냐 2019.11.01 10:23
아주 고생이 많으십니다.^^...
G 정광호 2019.11.01 15:57
감사합니다. 관리자님, 프라즈냐님 ^ㅡ^
이제 진짜 시작이네요 ㅎ
G 나디아 2019.11.02 10:10
힘들고 바쁜 와중에 촬영하여 정리까지 해주시고... 이런 기록이 집짓기 공부에 정말 큰 도움을 주더라구요. 건축주들에겐 정말 천사같은 분들^^
G 정광호 2019.11.02 17:55
도움이 된다니 다행입니다 ㅠㅠ
나디아님 감사합니다. ^ㅡ^
G 정광호 2019.11.04 16:39
하아 기쁘네요 ㅠㅠ
오늘 3일만에 처음 문열고 들어가보았습니다
와이어메쉬를 엑셀파이프 위에 올려놓고 타설하면서 넣어달라했는대
타설 중에 호스에 걸려 휘어진 건 그냥 빼서 던져놓았네요 ㅠㅠ 흑.. 오리발은 안살려고했는대...
코너쪽에 살짝 크랙이 있긴하지만
이정도면 만족스럽습니다 ㅎㅎㅎㅎ
G 나디아 2019.11.04 18:11
멋집니다~ 저도 덩달아 기쁘네요^^
G 정광호 2019.11.04 19:39
ㅎ 감사합니다 나디아님 ^ㅡ^
시간이 지나봐야 알겠지만 현재까지는 요정도의 크랙밖에 없습니다 ㅎ
G 김정훈 2021.03.23 17:26
너무 좋은 자료입니다. 공부에 정말 도움이 됩니다. 문자로 보는것보다 이해에 많은 도움이 됩니다. 고생과 고민이 글속에 생생하게 전달됩니다.
G 6월에 2021.05.07 12:06
아...어려운 일이네요..이런 자료는 리모델링 시공하시는 분이 필독? ㅎ
리모델링하려 했는데..포기하고 그냥 간단한 내부치장만 해야되겠다는 생각을 하게하는 과정입니다 ㅎ
G 김철수 2022.12.24 15:07
"가장 중요하고 큰 이유는 살면서 필요하면 제가 설치 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나는 할줄알거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