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시공관련 질문

신축 RC조 주택 골조공사중에 내단열 관련 문의드립니다..

1 안도공간 5 621 2022.06.13 18:29

안녕하세요, 현재 RC조로 단독주택 신축공사중인데, 두가지 여쭤보고 싶습니다.

 

1번)

건축주가 내단열을 추가로 원하셔서 고민하던중에 어떤게 나을지 여쭤보려 합니다.

 

현재 외단열 PF보드 100T는 되어 있고, 내부에 

 

1.경량 스터드 50T에 글라스울 넣고 석고보드 2P마감

2.XPS 30T 후 목공 각재(30x30) 후 석고보드 2P마감 이렇게 생각 했는데,

 

어떤걸 추천 하시는지, 장단점은 어떨지 궁금합니다. 신축에서 생기는 골조에서의 습도 같이 고민이 되구요... 외단열이 투습도 안되고 해서요.

 

 

2번)

현재 레미콘 파업으로 2층 뚜껑을 타설하지 못한채로 대기하고 있습니다.......

장기화된다고 했을때 현장에서 무언가 준비를 해야할까요? 현재 철근까지 다 되어있습니다.

 

 

항상 글,영상 잘 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Comments

M 관리자 2022.06.13 23:20
안녕하세요.

1. 외단열이 비교적 건전하다면, 내단열은 무조건 불연단열재로 하는 것이 맞습니다. 이 경우 방습층도 만들어 줄 필요가 없으므로 불연단열재를 사용하는 것이 여러 모로 낫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추천은 항상 1번입니다.

2. 그냥 두셔도 괜찮습니다. 앞으로 얼마가 걸릴지는 알 수 없으나.. 그로 인해 콘크리트에서 문제가 생길 확률은 거의 없습니다.
그저 철근에 끼는 보양 비닐 (우산꽂이 비닐처럼 생긴 빨간 봉비닐)을 끼워 두시는 것이 최선입니다.

감사합니다.
1 안도공간 2022.06.22 07:09
그럼 하나 더 여쭤보겠습니다^^ 현장에서는 글라스울 비닐을 자꾸 쓰려고 하는데, 비닐 벗기고 글라스울 고정핀?(이름이 생각 안나서요)을 사용해서 고정하는게 맞겠죠?
M 관리자 2022.06.23 13:47
어려운 부분인데요.

외단열의 두께에 따라 다릅니다만....
외단열의 성능이 실내 내단열로 사용되는 글라스울의 2배가 넘으면 비닐에 싸인 채로 사용하셔도 무방합니다.

가. 외단열의 성능이 내단열의 2배가 넘을 경우,
골조의 건조 수분이 비닐로 인해 잘 빠져 나가지 못하는 단점은 있지만, 장기적으로 실내의 수분이 구조체와 비닐 사이에서 결로를 일으킬 확률은 없기에, 비닐로 싸인 글라스울을 사용해도 무방합니다.

나. 외단열의 성능이 내단열의 2배가 안될 경우
구조체와 글라스울 사이의 온도가 결로 온도 이하가 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그 속에서 결로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

나-1. 비닐로 싸인 글라스울을 사용할 경우, 습기가 들어가는 것은 억제할 수 있으나, 본격적인 방습층은 아니므로 장기적인 문제를 야기합니다.
나-2. 비닐을 벗긴 글라스울을 사용할 경우, 습기가 들어가는 것을 전혀 억제할 수 없으므로, 빠른 시간 내에 글라스울 속에서 곰팡이를 유발합니다.

그러므로...
무엇보다 외단열이 건전한 것이 우선이며, 그렇지 못할 경우 비닐에 싸여 있든 그렇지 않든, 시간의 문제일 뿐 둘 다 건전하지 못합니다.

만약 외단열이 건전하지 못하다면, 오히려 비닐에 싸여 있는 글라스울+비닐계 벽지의 구성이 더 나을 수도 있습니다. 더 나은 것은 [누드 글라스울 + 방습층] 의 구성인데... 작금의 현장 현실과 너무 먼 이야기가 될 것 같습니다.
1 안도공간 2022.06.25 11:11
아 외단열 스펙에 따라 다를 수 있군요. 외단열은 pf보드 100t인데 이정도라면 비닐이 있어도 되지 않겠나라는 생각이 드네요.

감사합니다
M 관리자 2022.06.25 20:53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