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시공관련 질문

논 옆 법면 보강토 기초 문의

G 대방스 11 2,492 2021.01.19 22:14

빠르면 올 여름쯤에 용인 산쪽에 있는 밭에다가 집을 지으려고 합니다. 

문제는 집 지을곳은 답이지만 전으로 사용 중입니다. 

그리고 그곳 바로 앞쪽은 논인데..약 2m 정도 아래에 있습니다. (전체 길이 40m 정도)

아무래도 산에 있다보니...논들이 다 계단식입니다. 


그래서 보강토를 쌓으려고 하고 있습니다. 

실제적으로는 토목 설계가 들어가야지 보강토 작업이 가능하지만 토목 설계는 여건상 봄 이후에나 가능할듯 합니다. 

 

구청에도 문의 했는데... 기초 작업 까지만 하고 그이외 작업을 하게 되면 경우에 따라서 원상 복구 명령이 떨어 질수 있다고도 하더라구요.

보강토 업체에게 문의 하니..미리 보강토 쌓을 자리에..논이랑 인접 해 있으니...기초 작업만 먼저 하라고 연락 받았습니다. 

측량하고.... 보다 30cm 정도 깉이 까지.... 콘크리트를 부으면 된다고 하는데..

솔직히 자료를 찾아봐도..어떤 절차로 어떤 강도의 어떤 콘크리트를 부어야 하는지 모르겠습니다. 

일딴..중장비를 불러서..땅을 파야하는데....대략 어느정도 폭에 어느정도 깊이로 파야지 안전할지 몰라서 문의 드립니다. 

 

답(논으로 된 땅)에 모내기 시작하고 나면은 작업하기가 힘들어 져서 그 이전에 측량후 기초 작업만이라도 먼저 해야 할듯 합니다. 

팔야할 깉이와.... 거기에 시공해야할 콘크리트 종류 등으로 어떻게 시공하는 방법을 권장하는지 궁급합니다. 

예를 든다면 폭 1m 정도 50cn 정도 파서 무근 콘크리트로 30cm 정도만 채우면 안전하다는등..

물론 정확한 답은 없을수도 있지만..... 어느정도...규칙은 있을듯 해서 문의 드립니다. 

 

오늘....동영상 보니 기초에 관련해서 말씀 하시던데..기초가 붕괴? 그래서 타일이야기를 들으니 왠지 보강토도 기초를 잘못 해두면 큰일 나지 아니할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감사합니다. 


Comments

M 관리자 2021.01.19 23:49
안녕하세요..
규정을 올려 드려야 하는데.. 밤이 깊었으니. 죄송합니다만. 내일 오전까지 정리해서 답변드리겠습니다.
편한 밤 되셔요..
G 대방스 2021.01.20 06:28
감사합니다 출근전에 살짝 댓글 봤습니다.
건설공사 보강토 옹벽 설계시공 및 유지관리 지침을 봤는데....논에서는 기초가 좀더 신경 써야할듯 한데 그 부분을 제가 이해를 잘 못해서 부득히 글남기게 되었습니다.
M 관리자 2021.01.20 10:36
아.. 그렇군요..
그럼.. 사실 현장의 사진이 있었으면 좋겠지만..

쌓고자 하는 보강토 옹벽의 높이가 4미터 인건가요?
그리고 그 기초를 만들고자 하는 위치에 기존 논 또랑 같은 것은 없는 상태인가요?
G 대방스 2021.01.20 21:55
현장 사진입니다.
G 대방스 2021.01.20 22:01
옆에 논이 계단식이여서 제일 높은곳은 2.3미터 정도 낮은곳은 1.7 미터 정도 입니다.

1: 보강토 높이....1.7 미터에서 2.5미터 정도 (옆 논 바닦에서)
2.기초가 생길 곳은 논 바로 옆이거나 경사면 이거나...경우에 따라서는 논 위일수도 있습니다.
3. 최악의 경우 기초가 만들어지는 곳이 논이거나 논둑 이 될 확율이 높을듯 합니다. 아래 논에서 모내기 할때마다 조금씩 조금씩 확장 하는듯 했습니다.
한쪽에는 분할 측량한다고 말뚝이 박혀 있는데..그 말뚝이 끝쪽이지만 논 안에 들어가 있었습니다.
G 대방스 2021.01.20 22:07
작년 경계 측량 할때 찍은 사진입니다.
빨간말뚝이 논 안에 있더라구요. 아마 아래쪽도 일부 침범 했을듯 합니다.
M 관리자 2021.01.20 23:19
그럼.. 귀찮게 해드리는 것 같아 죄송스럽기는 하나..
지질 조사를 먼저 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건축 기초에 대한 구조설계를 할 때, 가장 조심해야 할 땅 중에 하나가 논으로 사용되던 땅이거든요..
논은 밭과는 다르게 상시 물에 잠겨 있고, 또 농사의 특성상 그 하부가 뻘과 유사한 상태인데.. 이게 농사를 지은지 오래될 수록 꽤 깊게까지 뻘의 상태를 유지할 수도 있거든요..

기초가 들어갈 부위를 두 군데만 해보면 될 것 같고.. 조시 후, 맨 땅이 나는 깊이를 파악한 후에 그 깊이까지 파내고, (옹벽의 콘크리트 기초가 들어갈 곳의) 하부에 쇄석으로 채워 넣어야 합니다.
그래야 오랫동안 편안히 사용하실 것 같습니다.
G 대방스 2021.01.21 21:07
죄송할껀 없죠 오히려 제가 더 고마울 뿐입니다.
그 곳은....보강토만 쌓을곳이지만..그래도 확인은 필요할듯 합니다.
해빙이 되면...삽으로 땅을 파보면 될까요?
언젠가는 포크레인을 부를테니 크게 문제는 없을듯 하구요..
그다음 절차가 궁금합니다.
맨땅깊이가 나올경우...
1. 쇄석을 폭 얼마 정도에...어느정도 깊이까지 까는게 괜찮을지 궁급합니다.
2. 쇄석 깐후..바로 콘크리트 타설이 가능한지..아니면 시일이 조금 지나서 해야 하느지 궁금하고....
그때..콘크리트의 강도와 두께나..시공시 체크해야할 절차가 있는지요...모...비닐 두겹을 깐다던지..그런 절차들 말입니다. 번거롭게 해서 죄송합니다.  해당 방법을 숙지하고 있어야지...
내년 봄에.......작업이 가능할듯 해서 미리 문의 드립니다.
M 관리자 2021.01.21 22:00
삽이나 포크레인으로 하셔도 무방합니다. 건축물 처럼 정밀한 깊이가 필요로 하는 부위는 아니기 때문입니다.

1. 깊이가 깊지 않는다면.. 만드시고자 하셨던 콘크리트 기초를 그 깊이 까지 타설을 하면 됩니다.
2. 깊이가 깊다면. (이 깊이가 깊다 깊지 않다는.. 채우는 콘크리트의 비용이 상한치(주머니사정) 안에 들어와 있는가로 결정됩니다.) 어느 일정 깊이까지 쇄석을 채우고, 쇄석 위에 PE비닐을 깔고 콘크리트 기초를 만들면 됩니다.
3. 콘크리트의 두께와 너비는 보강토 옹벽을 시공하실 분들에게 받는 것이 좋습니다. 무언가 전체를 책임지게 하는 것이 좋기 때문입니다.
G 대방스 2021.01.24 07:29
답변 감사합니다. 모심기 전에는 끝내야지 모 심는 중에는 불가능하겠네요.
M 관리자 2021.01.24 17:52
네... 모심기 시작하면 어렵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