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시공관련 질문

외단열 석재+단열 일체형 제품 질문드립니다.

1 원종혁 4 9,572 2017.10.17 10:34

안녕하십니까 외단열 석재+우레탄폼 일체제작 판넬 관련해서 열교관련 질문이 있어
이렇게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근래 유니월이라는 석재일제제작 판넬을 소개받았는데,
구성은 THK12 화강석+THK48.5 경질폴리우레탄폼+THK7.5 CRC보드로 되어있습니다.

문제는 일체제작이다보니 단열재가 구조체에 기밀하게 붙는 것이 아니라 철물로 인해 판넬과 구조체 사이에 중공층이 생기게 되는데 이에 대해 문제가 생기진 않을지 궁금하여 이렇게 질문 드리게 되었습니다.

 

단면에서 창호와 파라펫 꺾이는 부분은 기존의 우레탄보드와 우레탄 폼으로 시공한다고 하는데 이부분에서 가장 문제가 생길 것 같은데 협회 및 선생님들의 고견이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Comments

2 TBBlock 2017.10.17 17:01
해당 제품을 개발하신 회사에서도 상당한 노력을 기울여서 제작하셨을 텐데요..
열교라는 것이 그리 쉽게 해결할 수 있는 성질이 아닙니다.

도면처럼 시공하기도 쉽지 않을 뿐더러..

만약 시공시 처음 시작과 끝부분의 단열재 시공이 완벽하게 시공되지 않는다면
석재에 붙은 단열재는 없는 것과 마찬가지 입니다.

벽체에 기밀하게 시공이 된다고 하더라도
상하부에 위치한 연결철물에 의한 열교로 인해 단열성능은 수준이하로 예상됩니다.

물론 전열해석 프로그램으로 해석을 해보면 더 정확하게 성능을 평가할 수 있겠지만
평가하지 않아도 될 수준입니다...
1 원종혁 2017.10.17 17:35
TBBlock님 고견에 감사드립니다.
M 관리자 2017.10.17 19:34
TBBlock 님 감사합니다.

적으신 내용 그대로입니다. 다만 조금 첨언하자면...
건축에서 "완전밀폐"는 없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또는 어느 정도의 밀폐가 되었다고 하더라도 지속가능한 밀폐인가? 라고 할 수도 없습니다.
또한 문제는 열교 측면도 있지만, 78mm 의 공간에서 이른바 "대류"현상이 있습니다. 이는 하절기 표면온도가 매우 높게 올라가게 되는데, 이 공간 속에서 공기가 대류하면서 이 역시 높은 온도를 따라가게 됩니다.
즉, 겨울은 완전밀폐가 되지 않는 것으로 인한 냉기의 침투, 여름은 내부 대류로 인한 온도상승을 추론해 볼 수 있는 구조입니다.

그러므로, "단열재는 구조체에 밀착"되어야 합니다. 단열의 첫번째 원칙입니다.
1 원종혁 2017.10.17 22:09
감사드립니다. 원칙을 다시한번 상기하게 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