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시공관련 질문

단독주택 내단열 문의좀

G 웃으면복이 13 5,461 2017.02.01 23:41
여기에서 정말 많은정보를 얻어갑니다

단독주택을 신축을 하고 이런저런하자로  늙어가고있네요^^

미친거같아요 인제 힘들진도모르겠네요ㅡㅡ

철콘구조로 외단열을했는데  포인트로  징크판넬부분에서 단열이안되어서  내부결로가있습니다 포인트부분만ㅠㅠ

전에 사진이랑 첨부해서 문의드렸더내용인데요 그때는 외단열을보강해야지 이생각만했는데...  그러면 비용이만만않더라구요

그래서 생각한게 내단열을해볼까 합니다ㅣ

ㅣ 글을많이 찾아보니 수성연질폼으로 내단열을 하고  비닐을씌우고 석고를 쳐서 내부 습기를차단하자그러시늣데  그럼 외부에서 들어오는 습기는 상관없나요?

2 외부에서들어오는습기를 차단하려면 벽 ㅡ 비닐ㅡ수성폼 ㅡ 비닐 ㅡ 석고ㅡ실크벽지 이렇게 쳐야하나요?

3 또 궁금한게 시중보면 그냥 뿜칠하고  석고로 마무리하던데  그러면 나중하자인가요?

4 방습층을 만드는이유가 습기를 머금고 있다가 얼어버리연 단열성능이저하된다는데 많이저하되는지 아님그럭저럭살만한지요?
아니면 경질우레탄폼을써도되는지 화재취약하다고했음에도불구하고 일층이고 바로나갈수있는구조라..화재부분을제외하구

5 또 지금결로가 심한부분은 모서리부분이거든요 모서리부분 아래서부터 위까지...그리고 바닥모서리 쪽에도 물기가있는데 벽때문에 바닥도그런지 아니면 바닥도문제가있는지요


항상감사합니다...하자가 난 후 이사이트를 알게됐늡니다!  그전에 알았으면 좋았을텐데요

Comments

M 관리자 2017.02.02 17:43
안녕하세요..

1. 콘크리트구조에서는 외부에서 들어오는 습기와 무관합니다. (물론 개구부 주변의 건정성이 확보되어져 있다면. 구조체 자체는 불투습입니다.)
2. 앞의 답변으로 갈음될 듯 합니다.
3. 네 장기적 관점에서 그렇습니다.
4. 그럭저럭은 없는 듯 합니다. 성능의 저하라기 보다는 단열 내부에서의 결로문제입니다. 즉 극단적으로 이야기해서 물이 썩을 수 있는 조건입니다. 경질이든 연질이든 잘 타기는 마찬가지 입니다. 어느 것이 우위에 있다고 말할 수는 없습니다.
5. 바닥도 문제가 있습니다. (앞서 올리신 시공사진으로 추정)
그러나, 벽의 문제가 해결되고 바닥난방을 돌리면, 그 난방열로 인해 바닥의 문제는 해결될 것입니다.

늦을 때가 가장 빠를 때라고 하더라구요...
화이팅!!! 입니다.~
1 웃으면복이온다 2017.02.05 19:10
정말 감사합니다.
4번에서 그럼 실내에 연질이든 경질이든 써도 상관이 없다는 말씀이신지요?? 이왕이면 물에 강한 경질을 쓸가 하는데요??
M 관리자 2017.02.05 19:22
네.. 저희는 주거시설 실내에 경질우레탄폼을 사용하는 것에 반대를 하고 있는 입장이라, 여기에 대한 결론은 드릴 수가 없음을 양해 부탁드립니다.
연질+방습층으로 가야 할 듯 한데.. 이건 시공이 매우 까다로운 조건이시라서요..
딱히 저희가 결정해 드리기가 어렵네요..
1 웃으면복이온다 2017.02.05 19:30
관리자님 전남광준데..혹시 관리자님이 말씀하시는 방법으로 시공하는 업체가 있는지요? 있다면 개인적인 쪽지로 부탁좀 드리겠습니다... 정말..환장하것네요..ㅠㅠ
지금 외단열을 다시 하자면..너무 많은 리스크가 있어...내단열쪽으로 방향을 잡았습니다..
내단열도 꼼꼼히만 시공이 된다면 결로는 방지가 될까 싶습니다.
거실은 환기가 잘되니 필요가없고 자는공간 방2개만 하면 될것 같은데..
솔직히 액수가 얼마가 안되서..해주시려나 몰겠네요...
M 관리자 2017.02.05 19:37
액수를 떠나서.. 보수쪽은 제대로 하시는 분이 잘 들어가지 않으려 하시는 것이 문제입니다.
아무래도 책임의 소재가 불분명하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경질은...
1. 시공하시려는 쪽에 전기선이 전혀 없고, 시공 중에 충분한 환기가 되며, 기타 연소를 유발하는 그 어떤 것도 현장에 있어서는 안됩니다.
2. 용접도 불가합니다.
3. 시공 중 담배불 절대 금지!!! (아예 라이타를 회수하는 것이 좋습니다.)
4. 마감은 9.5mm 석고보드 두겹으로 되어야 합니다.
5. 시공 후 약 48시간 동안 환기가 잘 되어야 합니다.
이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다면.. 시공 면적이 작기 때문에 경질로 하시는 것을 마지막으로 고려해 볼만 합니다.
1 웃으면복이온다 2017.02.05 20:18
책임은....모르겠습니다.. 제가 신축을 하면서 느낀겁니다..
책임을 가지고.. 일하시는분은 없는것 같습니다..저또한 이제는 책임을 묻지 않을겁니다..전문가라는 사람들이..하자에 대한 상황을 아무추어인 사람한테 증명하라는둥...어쩌구니 없는...아무튼,,
최소한... 자기가 지은 집에 대한 책음 가지는 것이 건축쟁이이라고 말할수 있는데..
그런사람은 보기드문긋합니다... 아예없는듯요...
여기까지 각설하구...

그럼. 콘센트쪽은 따로 난연스티로폼으로 작업을 하고 그외부분을 경질우레탄으로 쏘구
경질우레탄같은 경우는 방습층을 안해도 되는건지요???
비닐시공을 안해두 되는지요?
그럼 내벽 > 경질우레탄폼 > 각재 > 2석고?
그런데 천장부분은 애매합니다.
지금 천장은 4m(내단열) 그러고 천장석고는 1m내려뜨려서 석고작업(앙카)햇습니다. 그러면 천장 1미터부분은 그냥 경질 우레탄으로만 뿌리면 될까요?? 아님 천장부터 2피 석고를 치고 내려와야 하나요?
*천장석고로 부터 시작해서 벽석고가 시작됨..

마지막으로 책임은 묻지 않겠습니다..하자가 생기면..다른 업자를 불러서 제돈 들여서 다시 할 예정입니다. 다만 최선을 다하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M 관리자 2017.02.05 20:28
그런 것은 없습니다.
건축주가 책임을 묻지 않는다고, 전문가의 책임이 사라지는 것은 아니거든요..
그런 생각을 하는 사람이라면 이미 전문가가 아닌거죠.
책임을 지는 전문가를 아직 만나지 못하신 것을 두고 제가 드릴 말씀은 없습니다만.. 여기를 자주 들어오시는 분들 중에는 꽤 많은 분들이 계셔요.

내단열재 속에 파뭍혀서 들어가는 콘센트는 기본적으로 그냥 죽이는 것이 정답입니다. 그 내부에 만에 하나 결로가 생길 경우는 매우 어려운 상황에 빠질 수 있습니다.

경질폴리우레탄폼의 경우 일정 두께가 넘어가면 습기투과가 어렵습니다. 그러므로 비닐을 생략하셔도 됩니다. (위에 적어드린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경우에....!!!)

천장마감이 석고보드로 되어져 있다면, 추가적 보드 작업은 안하셔도 괜찮습니다.
1 웃으면복이온다 2017.02.05 22:04
관리자님 감사합니다 내단열제 사이로 파뭍혀가는 전선은 없고 다만 미리 타설전에 빼놓은 콘센트 박스가 있지 않습니까? 그건 괜찮은지요??
실시간 답변 너무너무 감사드립니다......
1. .2p석고를 치는이유는 다만 화재위험때문에 그런건지요??
2. 호흡중 안좋은 성분이 나오지는 않을까요?? 경질우레탄폼에서..
3. 48시간 환기는 석고치기전인지요?
4. 마지막으로 각재로 내벽(옹벽)에 고정하면 내벽에 고정하는 각재부위와 옹벽사이는 단열재가 들어가지 못하는데.. 그정도는 괜찮은지요?? 아님 각재를 띄우고 틀을 짜야 하는지? 목수님들이 알아서 해주시는지요?
너무 감사드립니다
M 관리자 2017.02.05 23:01
네...
그 콘센트박스를 죽여 놓으시던가.. 밖으로 빼서 만들어 놔야 합니다.
아래 글을 한번 참조해 보셔요.
http://blog.naver.com/chusam913/220599700867

1. 네. 화재의 위험때문에 그렇습니다.
2. 일정 시간이 지나면 괜찮습니다.
3. 네 그렇습니다.
4. 폼을 사용한다면.. 그 부분도 어느 정도 개선이 될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1 웃으면복이온다 2017.02.07 20:16
답변 너무 감사드리구요//
//4번이 잘 이해가 안가는부분인데... 그러면 내부용벽에 각재를 바로 대고 고정해도 그정도의 면적은 폼이 안들어가도 괜찮다는 말씀이시죠??
원래 각재로 틀을 만들자면  세로 각재같은 경우는 옹벽과 맞닿게 되는데 그면적은 상관이 없는지요
M 관리자 2017.02.07 20:24
상관은 있습니다.
다만 단열재를 얼마큼 두껍게 하는지, 각재의 크기는 얼마인지에 따라 달라 지므로..
공사에 들어가면 추가적 질문이 있으실 꺼라 생각하고, 스르르 넘어간 것입니다. ㅡㅡ;;;
1 웃으면복이온다 2017.02.08 08:01
대충 지금 견적을 알아보고 있습니다 올봄에 하려구요.
보니까 경질우레탄 폼 두께는 최소 5cm이상해야된다고 해서 지금 5cm~7cm하려구요.
그러면 그냥 내벽에 맞닿아도 될까요??세로각재는
죄송합니다 너무 꼬치꼬치 물어서...제가 알고 시공하시는분에게 ...말씀을 드려야 할것 같아서요.
그리고 한가지더.
석고보드 2p가 다만 화재 위험성 대비라면 천장과 옥상 바닥사이(?) 빈공간은 그냥 폼으로만 벽에 쏘면 되겠네요?
M 관리자 2017.02.08 08:49

일단 해당 부위 사진을 부탁드릴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