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시공관련 질문

창호 프레임 결로.답답하네요

G 찬이아빠 5 8,157 2013.12.10 19:47
적당한 질문인지 모르겠으나 답답한 마음에 도움을 요청 합니다.저는 새아파트(주상복합) 입주자 입니다

거실은
복합창인데  모두 밀폐 형이고 좌우측에 앞으로 밀어서 여는 작은창이 있습니다
프레임 내부는 알루미늄 외부는 플라스틱입니다. 그리고 플라스틱에 22미리 로이 u3 유리를 실리콘으로 접합시켰는데  입주후부터 계속 실리콘 부위에서 결로가 시작되어 유리쪽으로  올라갑니다. 환기를 시키고 제습기를 가동 시켜도 실리콘 부위부터 시작되는 결로는 변함 없습니다.

다른방은 특허가 났다고 하는 8중 모헤어 제품으로 역시 복합창인것 같은데
2중 창입니다.  2개의창 모두 22미리 로이 유리 입니디
그런데  모든 창틀이 손으로 만져도 깜짝 놀랄 만큼 차갑습니다
그러니까 창문 자체 보다는 창문레일이 닫는 프레임 하부와 좌우측 프레밈 끝부분 이 차갑습니다. 그리하여 프레임 하부와
프레임 좌우측 창문이 닫는 반대편에 결로가 생깁니다.
창문을 자세히 보니 8중 모헤어는 창틀에 닫지 않고 떠 있는 곳이 많고 풍지판이 없고 알루미늄 창 하단에는 손가락이 들어갈 만큼 하부 창틀제단이 잘 못되어ㅈ있고 창 하부드 레일과 거의ㅈ일직선으로 많이 떠 있습니다.

건축 전문가가 아니라 무엇을 여쭤바야 하는지도 모르겠습니다

거실 및 각방 결로 원인은 무었일까요?
방측 프레임이 차가운 것이 정상적 인가요?
건설사에 무었을 주장해야 하는지요?
모헤어가 밀착되지 않고 떠있고 풍지판이 없는것이 창틀이 차가운것에 영향을 줄수 있는지요? 일반창과 달라 풍지판 설치도 어렵다고 합니다
특허의 보호막은 어디까지 인가요? 가령 특허 당시 실험시와 동일하게 시공되어 있지 않다면 특허가 보호막이 되지 못하는거 아닌가요
머 이런게 궁금 합니다. 다른 조언도 부탁 드립니다
핸드폰 이라 오타가 많은점 이해해 주시고
사진도 잘 올라가지 않네요

Comments

M 관리자 2013.12.10 21:02
네. 혹시 하자보증기간은 아직 지나지 않았는지요?
G 홍도영 2013.12.12 06:45
아마 협회에서 좀 더 전문적으로 설명을 줄 것으로 기대를 합니다.

거실 및 각방 결로 원인은 무었일까요?
방측 프레임이 차가운 것이 정상적 인가요?

어떤 것을 시공했느냐가 먼저 얘기가 되어야 겠지요. 성능이 떨어지는 것을 시공하고 좋은 결과를 바랄수는 없는 이치이지요

건설사에 무었을 주장해야 하는지요?

커튼월 같은데 이게 일반적인 시공방법이 맞는지 협회에서 언급을 주시길 바랍니다. 간봉이 보이는 것으로 보아서는 100% 결로가 생기는 접합방식으로 보입니다. 알루미늄인듯 하구요. 무엇을 시공하기로 했는지 그 수치를 먼저 알아야 할 듯 합니다.

모헤어가 밀착되지 않고 떠있고 풍지판이 없는것이 창틀이 차가운것에 영향을 줄수 있는지요? 일반창과 달라 풍지판 설치도 어렵다고 합니다

바람이 들어온다는 의미이지요? 그럼 이건 하자입니다. 시스템 자료를 먼저 정확히 알아야 할듯하네요

특허의 보호막은 어디까지 인가요? 가령 특허 당시 실험시와 동일하게 시공되어 있지 않다면 특허가 보호막이 되지 못하는거 아닌가요

그렇다고 봅니다.

위의 사진으로 커튼월에 생긴 결로는 하자가 아니라 시스템 실수 입니다. 이렇게 시공하면 결로는 반드시 생기는 결과입니다. 더불어 두꺼운 프레임 때문에 내부의 따뜻한 공기가 간봉주위를 데워주지 못하기에 표면의 온도는 더 내려가구요. 제습을 해도 별 도움이 되지 않을겁니다. 간봉주위의 온도가 너무 낮으면 제습도 한계가 있지요.

주상복합이라면 그래도 이름있는 회사가 시공을 했을텐데...
또 환기부족이라 제습해라 그리 얘기를 하겠군요!
M 관리자 2013.12.13 11:01
안녕하세요..

하자보증기간에 대한 답을 기다리고 있는 사이에 홍선생님께서 적절한 답을 주셨네요..
홍선생님이 이야기하신 것을 그림으로만 옮겨 드리겠습니다.

첫번째는 프레임과 유리의 접합위치입니다.

아래 그림의 오른쪽과 같이 간봉부분이 프레임속에 들어가야하는데, 올려주신 사진을 보면 외쪽의 그림처럼 되어져 있습니다.

유리에서 가장 열적으로 취약한 부분이 이 부분이라, 올려주신 사진처럼 시공이 되면 그 주변부의 온도가 가장 많이 떨어질 수 밖에 없습니다.

사실 이 현상은 알루미늄바를 사용한 모든 주상복합의 공통적 문제이긴 합니다. 우울하죠..

아마도 이러한 알루미늄바를 사용한 국내 거의 모든 주상복합 건물이 결로로 부터 자유롭지 못할 것입니다.
M 관리자 2013.12.13 11:03
두번째는..

창호 시험성적서가 여러장으로 구성되어져 있는데.. 그 뒤쪽을 보시면 아래 그림처럼 창호 프레임의 그림이 나와 있습니다.

설치되어져 있는 창호가 시험성적서의 그림과 많이 상이하다면, 하자로 볼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모헤어 등이 떨어져 있는 길이와 틈을 시험성적서와 비교하시는 것이 가장 좋을 듯 합니다.

저희가 가지고 있는 다른 창호의 시험성적서 샘플을 올려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G 은찬아빠 2013.12.16 00:52
새 집으로  하자 보증기간 내 입니다

진짜 감동입니다...

더 여쭤볼게 많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