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시공관련 질문

단열 및 결로 걱정

G 한승종 1 7,542 2012.10.25 01:28
경기도 평택에 단독주택을 신축 중입니다. 사정상 1층 콘크리트 슬라브(옛날에 많이 짓던 방식) 구조로 지었습니다. 옥상 천정에는 단열재 비드법 1호 200mm를 넣고 그 위에 시멘트로 타설 했는데, 단열재 시공시 틈사이를 막지 않아 내부에서 천정을 올려다 보면 단열재 사이로 시멘트가 흘러 내린게 보입니다.(첫번째사진 흰색 스티로폼 사이 검은줄 부분들)

-질문 드리겠습니다

1. 평평한 옥상 슬라브 구조라 여름엔 햇빛을 많이 받아 덥고, 겨울에도 추울텐데 단열재 성능이 부족하진 않을까요?
2. 단열재 틈 사이를 막지 않고 시공해서 장마철에 비가 많이 오면 단열재 틈 사이 시멘트를 따라 습기가 차거나, 빗물이 흘러 내린다거나, 열교 현상으로 결로가 생기진 않을까요?(옥상에는 우레탄방수 5mm 시공할 예정입니다.)

3. 상기 두가지 사항을 고려하여 시공상 가능하다면 천정 마감전 단열재 한겹을(아이소핑크 30mm) 더 보강할 생각인데 괜찮을까요? 오히려 비드법 단열재와 아이소 핑크 사이에 습기가 차는등의 역효과가 생기진 않을까요?
(옆 벽체 내단열도 천정과 마찬가지로  아이소 핑크30mm로 할 예정입니다.)

4. 첫번째 사진(건물 내부)의 빨간 네모 부분과 두번째 사진(건물외부)의 빨간 네모 부분이 전형적인 결로 및 단열 취약부위 같은데 결로가 생기지 않기 위해선 어떤 방법이 좋을까요?(외벽은 비드법1호 100mm+치장벽돌  시공 예정입니다)

5. 방습층을 형성하는 방법이 있다던데 제 경우에도 해당되는건지요?

**제가 생각하는 최종 구상을 그림파일로 첨부 했습니다. 빨간 동그라미 친부분에 결로가 생기지 않을까 우려됩니다.**

Comments

M 관리자 2012.10.25 09:18
안녕하세요..

1. 평평한 옥상 슬라브 구조라 여름엔 햇빛을 많이 받아 덥고, 겨울에도 추울텐데 단열재 성능이 부족하진 않을까요?
-> 200mm 자체는 부족하지 않습니다만, 우려하신데로 열교가 문제가 될 것입니다.

2. 단열재 틈 사이를 막지 않고 시공해서 장마철에 비가 많이 오면 단열재 틈 사이 시멘트를 따라 습기가 차거나, 빗물이 흘러 내린다거나, 열교 현상으로 결로가 생기진 않을까요?(옥상에는 우레탄방수 5mm 시공할 예정입니다.)
-> 방수는 상부에서 처리되기 때문에 빗물이 들어오지는 않겠습니다만, 열교로 인한 결로는 생길 것입니다. 그리고, 이 글을 보시는 다른 분 들을 위해 첨언하자면, 해당 지붕 콘크리트 면에 바로 우레탄방수를 시공할 경우, 여름에 고열로 인해 방수 수명도 짧아지고 사진에서의 열교때문에 열대야현상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외부에 통기층을 해주셔야 하는데..거의 평지붕이라 그 것도 어려워 보입니다. 평지붕의 단열은 외단열로 해야 합니다. 공동주택의 경우 평지붕(최근에는 거의 평지붕을 하지 않습니다만,)에 똑같이 우레탄 방수를 합니다만, 단지 차원에서 관리자가 지속적으로 방수 관리를 하고 있기 때문에 단독주택처럼 문제로 이어질 확율은 낮습니다. 물론 하자관리를 하지 못하는 불량단지도 많습니다만... 그리고, 지금 상태에서 지붕에 물을 부어서 고임현상이 있다면 조치를 해주셔야 합니다. 최소한의 구배가 필요합니다.

3. 상기 두가지 사항을 고려하여 시공상 가능하다면 천정 마감전 단열재 한겹을(아이소핑크 30mm) 더 보강할 생각인데 괜찮을까요? 오히려 비드법 단열재와 아이소 핑크 사이에 습기가 차는등의 역효과가 생기진 않을까요? (옆 벽체 내단열도 천정과 마찬가지로  아이소 핑크30mm로 할 예정입니다.)
-> 그림에서 보았습니다만, 압출법단열재(아이소핑크)를 추가하는 것은 "차악"의 선택입니다. 비록 문제가 생길 것이 분명하지만, 선택할 수 밖에 없는 옵션입니다. 붙일 때 틈새없이 잘 붙혀야 합니다. 이에 관련된 글은 질문게시판에 다수의 참조할 만한 글이 많습니다.
특히, 지붕과 벽이 만나는 모서리 부위는 매우 꼼꼼히 처리해 주셔야 합니다. 나머지 벽체는 그리하지 않으셔도 괜찮습니다. 그리고, 추가하자면 외벽쪽으로 콘센트박스 등은 피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압출법단열재가 훼손되기 때문입니다.

4. 첫번째 사진(건물 내부)의 빨간 네모 부분과 두번째 사진(건물외부)의 빨간 네모 부분이 전형적인 결로 및 단열 취약부위 같은데 결로가 생기지 않기 위해선 어떤 방법이 좋을까요?(외벽은 비드법1호 100mm+치장벽돌  시공 예정입니다)
-> 위의 3번에서 말씀드렸습니다.

5. 방습층을 형성하는 방법이 있다던데 제 경우에도 해당되는건지요?
-> 해주면 물론 좋습니다만, 현재까지 시공된 품질로 미루어 볼 때 방습층도 잘 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아보입니다. 제대로 시공되지 않은 방습층은 2차하자를 유발할 수도 있습니다. 또한 위에서 언급하였습니다만, 외벽쪽으로 콘센트박스 등이 시공되어져 있다면, 결국 방습층도 훼손되기 때문에 좋지 않은 결과로 이어질 것입니다. 그러므로 방습층 시공비로 압출법단열재를 좀 더 꼼꼼히 시공하시는 것이 더 좋을 듯 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