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시공관련 질문
내력벽인지 비내력벽인지 알 수 있나요?
G 모범학생 | 댓글 1
왼쪽이 원래 평면도입니다. 오른쪽에서 빨,주,노,초,파란색 표시한 벽 중에 허물수 있는 비내력벽이 있나요?
아연도각관을 이용한 건식벽체 구성 문의
G 건축 | 댓글 8
안녕하세요, 현재 소규모 야외공중화장실을 설계중입니다. 이미지와 같이 아연도각관을 사용하여 건식공법으로 진행하려고 계획하고 있습니다. 대략적인 외벽구성은, 외장재 - 방수층?/방습층?/X - THK12 OSB합판 - 글라스울 + C-스터드 - THK12 OSB합판 - THK9.5 석고보… 더보기
바닥난방을 하는 바닥의 단열재 설치 기준에서..
G 설계새싹 | 댓글 3
안녕하세요. 바닥난방을 하는 바닥의 단열재 설치 기준에서 질문이 있습니다. 테라스가 있는 오피스텔 설계 중이며 바닥 난방을 하는 구간에서 난방열이 하부로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슬라브 상부로 단열재가 설치되어야하는데, 외기와 접하는 부분이 불규칙적으로 생기다 보니 상부 단열재의 단… 더보기
타일 부착 세면대 시공시 욕실 벽 방수 안깨지나요?
G 황카 | 댓글 3
안녕하세요 질문이 있습니다 욕실 전체에 제대로 된 방수를 한 상태에서 타일 부착용 세면대를 설치하려면 세면대를 받쳐줄 금속틀이 벽에 설치돼야하는데 금속틀을 벽에 설치하면 벽에 앵커(?)가 뚫려야 하잖아요 그럼 방수층을 뚫고 콘크리트벽이나 조적벽에 고정될텐데 방수층이 깨지지 않나요? 금속… 더보기
지붕 경사도가 약 7도정도 되는데, 지붕재를 뭘로 하면 좋을까요?
G 아싸맨 | 댓글 3
아스팔트 슁글은 불가능한 것 같고... 롤슁글은 가능 할까요? 아님 리얼징크? 비는 안 새야 하는데요...
아이소핑크 단열
G 단열 시공 | 댓글 4
단열 아이소핑크후 석고보드 마감할때 아이소핑크 부착후 다루끼를 꼭 해야하나요?? 다루끼 후에 석고보드를 할시 벽두께가 더 나오게 되는데 아이소핑크 위에 바로 석고보드를 폼본드 같은걸로 부착하면 덜 나올것 같아서요 다루끼를 한뒤 부착하는게 더 나은건지 시공방법 문의드립니다.
단열관련 질문드립니다.
G 우엉 | 댓글 2
안녕하세요, 혹시 건축비를 아끼기위해 바닥 판넬위에 각파이프를 쓰지 않고 공기층을 두지 않고 마감 샌드위치 판넬을바로 붙여 시공해도 두꺼운 판넬 하나로 시공하는 것보단 단열성능이 있을까요? 감사합니다.
누수 압력테스트
G 누수압력테스트 | 댓글 4
누수 압력테스트를 할때 압력을 4에 걸어놓았으면 누수없을시 전혀 움직이지않나요?? 10분정도에 두고봤을때 작은 눈금 하나정도 내려갈수는 있다고하셔서 여쭤봅니다 압력이 작은눈금하나정도는 누수없이도 압이빠지나요??
발수제 관련 질문있습니다.
G ㅇㅇ | 댓글 2
발수제를 한번 바르기 시작하면 계속 주기적으로 발라줘야 한다는 설명을 보았는데요. 1. 실리콘때문이라는 것만 이해했는데 정확히 어떤 이유때문인지 그 이유가 궁금합니다. 2. 그리고, 실리콘이 문제라면 실리콘이 함유된 몰탈(매지용 몰탈)역시 벽돌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 것일까요? 집이 구축… 더보기
퍼티 제품 성분 알 수 있을까요?
G 올리버 | 댓글 5
안녕하세요. 늘 많은 정보 얻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다름이 아니고, 핸디코트 퍼티 제품의 성분을 알 수 있을까요? 제가 아무리 찾아봐도 찾을수가 없네요.ㅜㅜ 아시는 분들 부탁드립니다.
옥상 난간 시공 관련해서 질문드립니다.
G jun | 댓글 3
안녕하세요. 현재 옥상에 난간을 설치하려고 하는데요. 그림과 같이 치장벽돌 위에 ㄱㄴ자 각판(3T)를 올려놓고 [난간 기둥 간격을 배치] 각판 위에 칼라강판&아연각관(2.1T)를 올려놓고 이어서 용접 옥상 둘래를 계단 쪽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칼라강판&아연각관을 이어서 용… 더보기
엘리베이트 층당 잠금이 가능한가요??
G 엘리 | 댓글 3
안녕하세요 건축주 입니다. 혹시 엘리베이트 층당 잠금이 가능한가요?? 예를들어, 3층 상주 인원이 퇴근시 임대부 내부나, 엘리베이터 내부에 열쇠나 카트키를 찍게되면 그 층에는 더이상 엘리베이터가 서지 못하도록 만드는 기능이요. 엘리베이터 본사나 여러 업체에 문의해보았으나, 카드키를 찍어… 더보기
장마철 아이소핑크+석고보드 시공
G 달려라 하니 | 댓글 1
안녕하세요. 오래된 시골집입니다. 기상예보를 보니 태풍때문에 8.9 오늘 오후부터 8.11 모레 오전까지 비가 많이 온다고 하는데 집수리를 하다보니 비가 오는 오늘 오후부터 방안에 아이소핑크+석고보드 시공을 하게 되었습니다. 1. 방안에서 하는 공사지만 석고보드가 습기에 약하다는데 비가… 더보기
옥상 노출방수 질문드립니다.
1 재호 | 댓글 2
칠만표방수제를 보면 공기가 통하는 방수제라고 하는데 문제가되는건 콘크리트안에있는 습기가 문제가 되는게 아닌가요?? 탈기반에서도 투습방수지같게 들어있는게 있던데 결국 수분은 증발이안되니 얼고녹고 하면서 우레탄방수 탈락 하자는 똑같이 나는거 아닌가요?
경사지붕 내단열 일체타설시 단열재 부착강도 문의
G 박건주 | 댓글 4
안녕하세요. RC조로 집을 짓고 있는 건축주인데요. 비용 등의 이유로 지붕의 경우만 내단열 일체타설로 시공하였습니다. 사양이 부족하긴 해도 코너 옆면에 결로방지 단열재도 부착하였고요. 궁금한 점은 위와 같이 시공시 단열재가 지붕슬라브에 영구적으로 부착될 수 있는 지입니다. 화스너 등으로… 더보기
중연창과 중중연창 장단점 질문
G 창호나이스 | 댓글 1
안녕하세요 문득 중연창과 중중연창의 장단점이 궁금합니다.. 둘다 학교 창으로 많이 사용되는걸로 알고 있는데, 어떤 장단점들이 있을까요? 1. 중중연창이 중연창보다 좋은점 2. 중연창이 중중연창보다 좋은점 궁금합니다.
VISCONN(비스콘) 가변형 도막 방습제가 욕실 방수에 사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문제
1 regmbnick | 댓글 1
주택 신축 중입니다. 욕실 방수 시, 기존 아쿠아 디펜스를 사용했었는데, 여러 문제점들이 있어 이를 프로클리마 비스콘(VISCONN)이라는 제품으로 대체하는 것으로 검토 중입니다. 문제는 가변형 방습제라는 점에서 아쿠아 디스펜스보다 방수 성능을 비슷하게 또는 그 이상으로 낼 수 있는지에… 더보기
지붕 마감 관련 질문드립니다.
G 우엉 | 댓글 2
안녕하세요, 유투브 보고 조언 구하고자 글 남깁니다. 샌드위치판넬로 미술스튜디오를 만들려고 하는데 지붕판을 샌드위치로만하면 너무 덥고, 또 그 위에 지붕 싱글은 올리기가 싫은데 간단히 하면서 할수있는 다른 방법이 없을지요? 감사드립니다. ㅠㅠ
수도설비 cd관으로 2중배관하는게 좋은게 맞나요?
1 재호 | 댓글 1
pb관이 cd관 안에서 흔들리면 괜찮을까요? cd관을 쓰면 부속을 못쓰고 꺾어올려야할텐데 완만하게 꺽는다고 안전할까요??
현재 상황에서 가장 효율적인 배수 시스템은 어떻게 될까요..
1 카폼 | 댓글 2
집 옆에 작은 산이 있어서 개당 1톤 짜리 식생블록을 5칸 쌓은 상태 입니다. 블록 쌓을때 기초 콘크리트 다지기만 하고 안에 유공관을 안 넣었더라고요;;.. 이번에 오수관을 새로 설치 할 일이 있어서 배수 시스템을 구축하려고 하려 합니다... 분류식 하수도이고, 제가 찾아 보고 이해 한… 더보기
팽창테이프의 방수기능 문의
1 리비스 | 댓글 3
무더운 날씨에 수고가 많으십니다. 항상 좋은 정보에 감사합니다. 기존 건물의 외창교체 작업에서 외장마감은 타일로 되어 있고 물끊기는 없습니다 결국 방수테이프 작업은 불가한 상태로서 창틀 교체 시에 후렘 뒷면에 팽창테이프로 방수기능을 더해볼까 합니다. 이 후 외부용 실리콘으로 두툼하게? … 더보기
오래된 한옥주택 기둥철거 관련하여 질문드립니다.
1 백산창호건설 | 댓글 3
안녕하세요 관리자님 그리고 늘 도움주시는 회원님들. 날이 매우 덥습니다. 건강 유의하십시요 ㅎ 늘 도움이 필요할때 좋은 의견주시고 고견들려주셔서 어려움이 있으면 이곳부터 생각이 나네요. 지금 제가 공사를 진행할 예정인 현장입니다. 오래된 한옥주택인데요. 집수리중에 기존 벽을 털어내고 창… 더보기
모텔 벽채 문의
1 건린이입니다 | 댓글 4
모텔 리모델링을 위해 내부 벽채구조를 고민하고 있습니다. 고강도ALC 200mm + 도장마감을 하려고 했는데 필름으로 마음이 바뀌었습니다. 필름 마감을 위해서 최종면이 mdf로 마감되어야 한다고 하는데 alc와 mdf는 습으로 인해 궁합이 좋지 않다고 하더라구요. 필름마감을 위해 벽채를… 더보기
지하층 주차장 천정단열재 적용질분
G 준이강 | 댓글 1
지하6층 지상10층 민간연구소 건물입니다. 지하층 데크슬라브 천정 단열재로 준불연을 써야한다는 법적 규정이 있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