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시공관련 질문

도와주세요 목제사이딩 ,하지틀 표준품셈 적용 문의드립니다

G 김동윤 6 812 2023.06.21 08:01
실정보고 때문에 하즈틀과 목제 사이딩 일위대가가 필요합니다

하지 레인스크린 걸고 규화목 사이딩 설치 해야 하는데

하지틀 과 사이딩 일위대가 제작시 표준품셈 어느걸 적용해야 하는지

조언부탁드리겠습니다

현재 받은 설계내역에는 품셈적용이 하지틀이 벽체틀로 적용시켜있고

목재사이딩은 목수 한명이 167헤베를 붙여야 하루 일당이 가능

0.006 품 적용 수준이라 금액이 말도 안됩니다

 


Comments

8 신범석 2023.06.21 15:18
2023년도 건설공사표준품셈 을 검색해서 받아보시어요.

사이딩 시공시, 수장목공사 중에
 벽체틀을 적용시킨이유는 ”벽체틀 설치“정의가 벽체 바탕면이 합판 또는 석고보드 등을 붙이기 위한 목재벽체틀 설치하는 기준입니다. (틀간격은 450~600mm 기준입니다.)
벽체틀설치의 일위대가 기준 : 건축목공 0.033인.  보통인부 0.003인 (제곱미터 당)

일위대가목록 중 목재사이딩 부착에 해당하는 목록은 벽체틀위에 목재합판을 설치하는 기준을 적용한 것으로 보입니다. (목재합판 설치에 대해서는 합판절단 및 설치 작업 포함입니다.)
벽체합판설치의 일위대가 기준 : 건축목공 0.060인. 보통인부 0.006인. (제곱미터 당)

만약, 내수합판을 레인스크린으로 적용하기위해, 별도로 일정폭으로 재단작업하는 일이 포함되어 있다면, 일위대가에 추가로 반영요청하시면 되실것으로 보입니다.
(건축목공 자격이 되신다면, 건축목공으로 조절요청하셔요.)

저같은 경우는 표준품셈으로 불가한 공사부분은 별도로 동일공사에 대한 3개업체의 견적서를 첨부하여, 금액을 반영했던 기억이 있습니다. 현장의 인건비가 너무 올라있는 것도 문제겠지만, 품셈에 대한 조정도 필요한 문제이지요.
M 관리자 2023.06.21 20:56
신소장님 감사합니다.

-----------
위의 댓글에서 덧붙일 것은 없고.. 저희와 거래를 하는 내역회사에 문의를 해보니...
"사이딩은 품셈이 따로 없으니... 도면을 가지고 견적을 받거나 수장합판 품을 조정하거나 하여 일위대가를 만들어야 할 것임" 이라는 답변을 받았다는 것을 알려 드립니다.
G 김동윤 2023.06.21 21:33
답변 감사합니다 담당구청에서 설겨변경시 일위대가만을 고집하는데 저희 현장이 좁고
지게차도 못올라가는데  단층인데 높이는 10미터 입니다 바닥은 30평 이경우 할증 적용할만할게 있을까요
일위대가품셈으로는 적자를 벗어나지를 못하네요
M 관리자 2023.06.21 22:03
에구.. 어째요..

2023 건설공사표준품셈의 할증항목을 보시면, 아래의 경우를 차용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1. 물량 할증 : 수장용합판의 할증률 : 5%
2. 품의 할증
유해 위험작업인 경우 산업안전보건법 제139조에 따라.. 같은 법 시행령 99조 8항 (인력(人力)으로 중량물을 취급하는 작업)에 의해 할증을 할 수 있음

1. 품의 할증은 필요한 경우 다음의 기준 이내에서 적정공사비 산정을 위하여 공사규모, 현장조건
등을 감안하여 적용한다.
2. 할증의 적용은 품셈 각 항목에서 발생하는 보편적인 작업환경에서 벗어나는 경우에 고려되어야
하며, 항목별로 별도의 할증이 명시된 경우에는 각 항목별 할증을 우선 적용한다.
3. 품의 할증은 생산성에 영향을 받는 품 요소(인력 및 건설기계)에 적용함을 원칙으로 한다.
4. 품의 할증은 각각의 할증 요소에서 제시하고 있는 기준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시공조건에서
적용할 수 있으며, 할증의 적용에 판단이 필요한 경우는 발주기관의 장 또는 계약 당사자간 협의하여 적용함을 원칙으로 한다.
5. 할증율(%)은 요소별 일반적인 작업조건을 기준으로 제시하였으며, 일부의 작업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 할증율의 범위내에서 보완하여 적용할 수 있다.

라고 되어 있고,

비탈면 등 경사지로써 작업에 지장이 있는 경우 20%
도심지로써, 교행불가지역은 30%, 나머지는 불편지역은 20%
작업공간이 협소하여 작업간에 간섭이 있는 경우 50%
까지 품의 할증이 가능하다고 나와 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당 문서를 검색해 보시면 되실 것 같습니다.
M 관리자 2023.06.22 09:59
저희 역시 내역 전문가는 아니기에,  이건 별도의 내역작업을 의뢰 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시간이 걸리겠지만, 그래도 놓칠 만한 부분을 최대한 찾아 주거든요..
공사는 진짜 어렵게 설계를 했네요. 이 형태를 하자없게 하려면 공사비가 상상을 초월할텐데...
8 신범석 2023.06.22 10:33
이런 건축물을 표준품셈으로 처리한다는게,, 무리가 있어 보이네요.  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