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시공관련 질문

일반보일러로 복사냉방을 만들 수 있을까요?

G 지음 7 707 2023.06.25 09:33

안녕하세요.

 

복사냉난방에 대해서 궁금한게 있습니다.

온도 설정을 낮게 하여 보일러를 돌리면

그게 복사냉방이 되고, 

물의 온도를 뜨겁게 하여 돌리면 복사난방이 되는 게 아닌가 싶어

질문합니다. 

 

제가 사는 곳은 상수도가 안 들어와서요.

지하수를 파야 합니다.

 

땅으로부터 지열을 얻기 위해 지하수를 200미터를 팠습니다. 

물의 온도는 15도 정도 될 것으로 예상합니다.

여름에는 엄청 차갑고 겨울에는 따뜻하게 느껴집니다.

(상대적인 것이겠지만요)

 

제가 보일러 물설정 온도를 낮게 하여 보일러를 돌리면

바닥을 통한 복사냉방을 구현할 수 있을까요?

 

잡자재 복사냉난방시스템을 해야 하는지

어떻게 해야 하는지 긴급한 순간이네요.

 

<현재 상황>

- 방통 직전입니다.

- 잡자재 컴포벤트 열교환장치는 설비 시설이 되어있는 상황이고,

- 에어컨(히트펌프)도 설비는 설치가 되어있는 상황입니다.

- 보일러를 디맥스 전기보일러(+태양광 설치)로 하려고 합니다.

 


Comments

M 관리자 2023.06.25 14:58
안녕하세요.

가능한 방식이나, 하지 않으시는 것이 좋습니다. 여러 이유가 있는데...

1. 보일러를 이용한 냉수 공급은 어렵습니다. 온도설정값 이하면 작동을 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별도의 제어장치를 이용해서 지하수를 별도로 보내는 구성이 필요합니다.

2. 지하수를 배관에 보내는 방식은 닫힌 배관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 흘려 보내는 열린 배관 구성이어야 합니다. 찬물이 계속 흘러야 하기에 그렇습니다. 이럴 경우 엑셀파이프 내부에 스케일이 너무 많이 끼게 되어서 수명이 급격이 짧아 집니다.
이를 피하기 위해서는 지하수와 보일러 배관 사이에 열교환기가 들어가서 보일러 배관 속의 물의 온도를 낮추는 방식이어야 합니다.

3. 그게 다 된다고 하더라도 환기장치에 제습기능이 없으면 바닥에서 결로가 생기게 됩니다.

그러므로 좋은 생각이시긴 하나, 실현을 어렵다고 보셔야 할 것 같습니다.
G 지음 2023.06.25 18:29
감사합니다~.
안 그래도 보일러 회사에서 보일러 온도 설정이 몇 도부터 몇 도까지 되는지 언급이 없어서
그 부분을 월요일날 확인하려 했었습니다.
그리고 일반적인 보일러 난방을 하더라도 지하수가 공급되는 것이기에
필터를 장착해야 할 듯합니다.
'열린 배관 구성'이 된다면 너무 좋을 것 같습니다.

복사냉난방시스템과 그냥 일반적인 냉난방 시스템 두 가지를 모두 하고 싶은데요.
(이미 설비가 다 되어 있어서)
시기를 맞출 수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상담을 받아봐야 할 것 같습니다.
9 잡자재 2023.06.27 10:00
보일러를 폐쇄된 회로로 지하수를 연결해서 사용할 경우 관리자님 말씀대로 열린배관구성이 되어야 하는대 이 때 200m 깊이에서 물을 퍼 올리는 심정펌프의 전력소비량과 획득할 수 있는 열에너지량을 계산해보아야 합니다. 예를 들어 온도차가 몇도 이상에서 펌프 작동 같은 로직이 적용되어야하며 스케일로 인한 수명단축을 막기 위해 별도의 필터가 추가되어야 합니다.
오히려 상부에 물탱크를 두어 지하수를 보관하면서 그 열만 이용하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만 물탱크의 하중을 견디기 위해 구조체를 보강하는 비용과 물 사용량에 따라 획득할 수 있는 열에너지가 상이한 점을 고려하면 히트펌프를 적용하는게 더 합리적일 듯 싶습니다.
G 지음 2023.07.01 06:52
보일러 자체가 온수매트같이 열린 배관 구성이 아니라서
지하수로부터 지열을 얻어 냉방을 하겠다는 발상은 저의 오류라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지하수를 히트펌프에 연결해도,
물 자체가 지하수이므로
무조건 필터는 써야 되는 걸로 결론이 나는 것 같습니다.

다만 물을 끌어올리는 전기료는 직수를 쓰는 것과  물탱크를 설치한 것과  크게 차이는 없는 것 같고요.
(직수로 쓰면 펌프수명와 연관되는 부분, 교체주기가 빨라져서 들어가는 비용이 발생)
지하수를 히트펌프에 연결해서 복사냉난방하는 하는 것밖에 없는 것 같습니다.

냉방은
히트펌프로 물을 컨트롤하느냐,
히트펌프로 공기를 컨트롤하느냐의 차이인데,
물컨트롤이 효율적이라는 결론인 것 같고요.

복사난방은 이전에 하던 온돌방식이니
난방일 때
히트펌프와 전기보일러와의 성능비교가 되어야 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M 관리자 2023.07.01 16:27
히트펌프와 전기보일러의 성능 (효율)은 비교 자체가 되지 않게, 히트펌프가 우월합니다.
다만 히트펌프로 역부족인 지역(영하 한참 밑으로 온도가 떨어지는 지역)이 있을 뿐입니다.
G 땀쟁이 2023.10.18 13:36
질문과 답이 오고가는 내용 중에 궁금한 것이 있어 질문 드립니다. 하향식보일러는 대기압에 개방되어있는 형식이라고 알고 있는데, 그렇다면 보일러 액셀관에 지하수 연결하는 것도 가능한것 같은 생각이 드는데 어떨까요?
M 관리자 2023.10.19 20:00
그건 안됩니다. 보일러가 너무 빨리 망가지게 되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