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시공관련 질문

H빔 징크 판넬 단열 보강을 어떤식으로 해야할까요..

G 궁금한대학생 8 2,724 2020.08.28 04:33

아버지가 작업공간과 거주공간으로 조립식 집을 지었습니다. 건축에 대해 아무것도 모르고 전적으로 시공사에 모든걸 맡겨 현재 이런저런 문제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다 지어지고 생활한지 9개월 가까이 지나가는데, 아버지가 유튜브를 계속해서 보시더니 내단열 보강을 강력하게 주장하고 있습니다. 저 또한 추가적인 단열이 불가피하다고 생각했기에, 문외한인 상태에서 이런 저런 사이트를 돌아다니며 알아본 결과, 다 지어진 상태에서 내단열 보강으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극히 제한적이라는 사실만 꺠닫게 되었습니다.

 

제가 인지하고 있는 사실과 생각을 나열해보겠습니다.

징크 판넬 200T로 시공되었으며, 추가적인 단열재는 들어가지 않은 것으로 확인했습니다. 시공시 코너부분과 이음매 부분의 기밀시공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열손실이 꽤 있는 것으로 추측됩니다. 이 상태에서 계획은 철제 구조물에 맞춰 XPS를 재단하여 50T를 부착한뒤 석고보드 2p를 치는 것이 기존 계획이었습니다만, 사이트를 정독 후 내단열의 한계가 명확하다는 것을 알게되었고, 게다가 사진에 보이는 철제 구조물이 구조적으로 기밀성을 불가능하게 만든다고 생각합니다. 시공 뒤에 결로 또는 곰팡이 발생의 가능성도 충분히 있을 것 같구요.

 

1. 만약 내단열이 유효하다면, 어떤식으로 시공하는 것이 가장 괜찮을까요? 계획은 아이소핑크 50T를 부착한뒤 석고보드로 철제구조물까지 덮는 건데, 이렇게 시공하여도 단열이 유효할까요 ? 글라스울로 하여야 할까요?

 

2. 1번이 유효하지 않다면, 외벽 단열 보강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다만 제가 문외한이 이곳저곳 아무리 둘러봐도 판넬 외벽 철제에다 단열을 보강한 사례를 본 적이 없어 가능한지 조차 의문입니다. 콘크리트 외단열 마감재인 스타코 같은 것을 판넬 위에 시공할 수가 있을까요? 만약 외벽 단열 보강이 유효하다면 어떤식으로 시공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까요 ?

 

3. 1번과 2번 둘 다 유효하지 않다면 현재 상황에서 어떻게 하는것이 가장 비용대비 효과가 좋을까요. 아버지가 지붕 내단열도 언급했지만, 간헐적으로 비도 새고 있는지라 그건 안된다고 못을 박아놓은 상태입니다. 비용이 어느정도 들더라도 외벽을 보강하여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면 적극적으로 고려할 생각입니다.

 

저 또한 건축에 문외한인 대학생인지라 전문가 눈엔 이것도 질문이냐라는 생각이 드실 수 있겠지만, 넓은 아량으로 이해하여 주시고 고견을 나눠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30933759e821bf389e00dce03654af21_1598556142_7298.jpg
 

Comments

M 관리자 2020.08.28 07:36
오늘 외근이라 오후에 답변드려야 할 것 같은데요.우선 지붕과 외벽마감의 종류가 뭔가요?
G 글쓴이 2020.08.28 12:05
외벽이나 지붕모두 징크 입니다
M 관리자 2020.08.28 20:35
판단하신 것과 같이, 내단열의 보강은 끝없는 수렁에 빠지게 될꺼여요.
문제는 외단열을 할 경우 외부마감을 다시 해야 하는데.. 단열비용 보다 외부 마감 비용이 더 많이 들 가능성이 높습니다.
비용도 꽤 많이 나오게 될텐데요...

우선 부모님과 상의를 먼저 하시구요. 만약 외단열+마감을 하는 쪽으로 결론을 낼 수 있다면.. 협회에서 모든 기술지원(추후 하자가 없도록)을 무료로 해드리겠습니다.

지원을 해드리는 이유는...
흔히들 지어지는 판넬집의 현실을 직시하고자 하며, 보수공사 중의 사진을 자료로 활용하기 위함입니다. 즉 조건이 붙는 것이니, 이 역시 상의를 하실 때 같이 이야기를 하셔야 합니다.

------------
외부 단열의 두께는 그리 많지 않아도 괜찮습니다. 예측컨데 50mm 정도면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현장의 상황을 알지 못하기에, 정확한 답변이 결코 되지는 못하겠습니다.

50mm 정도의 각재를 외부 강판에 직접 고정을 하고, 그 사이를 수성연질폼으로 채웁니다.
그런 후 (가능하다면) 투습방수지를 대고, 통기층을 만든 후,
외벽은 사이딩마감, 지붕은 아스팔트싱글 마감을 하는 것으로 예측하고 있습니다.

사실 비용 예측도 해드리고는 싶으나, 도면이나 기타 추정할 만한 근거가 없어서....
G 글쓴이 2020.08.28 21:05
비용은 어느정도 나올까요? 지금 당장 하지 않더라도 나중에 정말 못견딜때, 말씀해주신 방법과 비용을 참고하겠습니다.. 정면과 측면도 올립니다.
M 관리자 2020.08.28 22:34
아.. 이건 용도가 공장인가요?
G 글쓴이 2020.08.29 00:47
근생으로 지어놓고 작업실과 주거 공간으로 할용하고 있습니다. 무언가를 제조하는 곳은 아니에요..
M 관리자 2020.08.29 10:02
아.. 질문의 의도는 주거건물의 모양이 아니고, 외벽의 면적이 주택이기에는 너무 넓어서 그랬습니다.
이 면적을 다 하기에는 비용상 무리스러워 보입니다만... 주초까지 대강의 비용을 말씀드리겠습니다.
G 글쓴이 2020.08.29 21:07
넵 알겠습니다. 답변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