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자관련 질문/사례

철근 콘크리트 건물 외벽 누수 관련 질문입니다

G 휴다행이야 8 127 05.24 16:12

안녕하십니까 회사에서 건물 보수 담당하고 있는 직원 입니다

패시브 건축과는 거리가 멀지만, 평소에 패시브건축협회에 올라온 글들을 보며 많은 공부를 하여 

혹시나 해서 질문 드려봅니다

 

해당 사진의 건물 외벽(빨간 표시 부)으로 누수가 많이 진행되어 보수하려고 합니다.

건물은 철근 콘크리트조 구요 사진의 회색 부분이 철근 콘크리트 기둥 입니다.

철/콘 가로줄(단층 건물이라 슬라브는 아닌거 같은데 이것도 뭐라 칭해야할지 모르겠네요)과 기둥 사이의 부분을

벽돌치장 또는 표시한 흰색 벽체로 마감을 한 건물 입니다.

 

여기서 질문인데요

 

1. 빨간색으로 표시한 부분은 뭐라 불러야 하나요? 

오른쪽 벽돌은 벽돌치장쌓기로 보여지는데 표시한 부분은 명칭을 잘 모르겠습니다.

 

2. 빨간색 표시한 상부가 노후로 콘크리트와 떨어져 나가면서 그 틈으로 물이 들어와 누수가 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더불어 해당 벽체가 낙하할 경우 안전사고도 우려되구요 벽체 낙하와 누수를 함께 해결하려면 어떠한 보수 방안이 있을까요

(벽체 낙하 방지를 위해 임시 방편으로 콘크리트에 앙카 시공 후 H빔으로 八 식으로 고정해둔 상황입니다.)

 

Comments

M 관리자 05.24 16:17
안녕하세요.

해당 벽의 실내 쪽은 어떤 상태인가요? 다른 마감재에 가려서 확인이 어려운 상태인가요?
G 휴다행이야 05.24 17:30
내부는 치장블록으로 되어 있습니다. 외벽에 비해 도드라지게 표시가 나진 않는것 같습니다
G 휴다행이야 05.24 17:33
혹시 몰라 도면도 첨부해서 올립니다!
M 관리자 05.24 18:34
독특한 구조네요..
감사합니다.

해당 표면을 두드려 봐야 겠지만, 조적벽에 타일 접착 마감을 한 것으로 보입니다.

가장 좋은 것은 조적벽과 콘크리트가 만나는 부위의 바로 위쪽에 금속 후레싱을 설치하는 것입니다.
개념은 아래와 같고, 접착실란트+칼블럭으로 고정을 하시면 되세요.
G 휴다행이야 05.27 14:06
감사합니다 본문 사진 빨간색 표시한 외벽쪽에서 옥상에서 내려다 봤을 때 상부가 벌어져 있는 상태 인데 그림과 같이 앙카 시공 후 八 자 모양 H빔 고정으로 충분할까요?
M 관리자 05.27 16:47
그러면 높은 확률로 벽이 전도되거나 하는 일은 없을거여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콘크리트 벽과의 틈새에 에폭시 주입공법으로 둘 사이를 접착하는 방식이 유효합니다. 이는 위에 언급한 누수의 문제와도 연관이 있기에 그렇습니다.
G 휴다행이야 05.27 17:15
패시브건축협회 통해서 매번 많이 배우는데
상세한 해결방법도 알려 주셔 감사드립니다!
M 관리자 05.27 17:30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