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자관련 질문/사례

신축아파트 벽지 결로? 누수?

G 신축아파트 3 2,335 2022.09.02 06:06

안녕하세요.

2021년 10월에 신축아파트입주를 하였습니다.

2022. 2월경에 거실(창틀, 커튼박스), 작은방(창틀) 쪽에 벽지가 젖고, 작은방은 곰팡이까지 생겨서 결로 하자보수(폼  쏴서 메꾸기)를 하였습니다.

 

그런데, 2022.6월경에 거실 우측 창틀 일부, 좌측 모서리쪽 바닥과가까운 곳과 천장과 가까운 곳에 벽지가 또 젖어있었습니다.ㅜㅜ

 

아파트 하자보수센터에서는 원인을 제대로 못찾고 방치하고있습니다. 심한곳 벽을 뜯어봤는데 벽지 안에 곰팡이가 펴 있더라구요.

 

소장님 말씀으로는 누수같지는 않고, 겨울에 결로 하자처리할 때 제대로 다 안말리고 벽지를 발라서 생긴 결로현상인것같다는데,

천장에 시스템에어컨이 있는데 여름에 에어컨 사용중 생긴 습으로 발생한건지..  외벽에 의한 누수인지..  단열이 제대로 안되어 그런건지.. 아니면 다른 원인인지ㅜㅜ

 

알 수 있을까요? 현재 사진처럼 벽지안에 합판?일부를 도려내놓고 간이로 벽지를 덮어놓은상태로 한달이지났습니다. 

 

고견부탁드려요ㅜㅜ

 

Comments

G 작성자 2022.09.02 06:09
참고로 겨울에 결로현상때문에 폼작업 한 위치와는 다른 위치입니다. ^^
3 green건축 2022.09.02 12:03
요즘은 계절적으로 보아 결로가 발생하는 시기가 아닙니다.

위 첫 사진과 같은 현상이 벽지 제거 시 석고보드와 벽지가  젖은 상태가 아니었다면, 기 발생된 결로 또는 누수에 의해 석고보드에 발생한 곰팡이가 벽지 표면에 나타난 것으로 추정됩니다.

그리고 사진을 편집한 내용과 같이 천정 밑 구석은 결로우각부로써 취약 부위이며, 문틀 주변의 곰팡이는 창틀 고정용 브라켓의 열교 영향이 요인으로 작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현상이 젖은 상태가 아니라면 위에서 말씀드림과 같이 결로에 의한 곰팡이가 벽지 표면에 나타난 것으로 여겨집니다. 만약, 젖었다면 시간을 두고 지켜 보십시오. 비가 갠 후 일정 기간이 지난 후 해당 부위가 건조됐다면 이는 누수에 의한 것일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입주일로 보아 단열공사 하자보증기간 이내이므로 시공사에 지속적으로 하자보수 요청을 하시기 바랍니다.
M 관리자 2022.09.02 21:06
저는 지금 보다 더 뜯어 보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즉 단열재까지 뜯어서 단열재 뒷면에도 물기가 있는지를 확인해 봐야 하고, 그래야 창틀 주변으로부터의 누수인지 아닌지에 대한 확신도 가능해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