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시공관련 질문

패시브하우스 인증가능한 건전한 지하실 시공방안 요청

1 이준노 5 187 05.18 14:18

안녕하세요.

제가 원하는 지하구조에 대한 요구사항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지하실도 1~2층 패시브하우스의 동일한 연결된 실내공간

2. 바닥난방 안함. 냉난방은 에어콘과 온수래디에이터. 

3. ERV와 제습기로 365일 온도 24도,50% 습도 유지

4. 줄기초 형태의 지하벽체, 외단열,외방수, 지하실내쪽에 프랜치드레인과 배수펌프

5. (지중보,벽체와 일체화 될 수 없는 상태에서) 바닥에서 올라오는 습기와 라돈을 차단할 수 있는 바닥 기밀방수


특히 위의 5번 내용을 만족시키기 위한 지하시공방법으로 "Closed-Cell Spray Foam for Sub-Slab Insulation" 시공방안을 선택하였고, 현재 허가도면과 시공견적까지 완료한 상태입니다.


지하실 내벽과 바닥에 시공하는 이시공방법은 북미와 캐나다에서 대략 15년 쯤 전부터 시공되어 온 것으로 보이며, crawl space를 건전화 하기 위해 흙바닥과 블록벽체를 경질우레탄폼으로 일체화하여 단열+기밀 시공하는 방법은 그보다 더 오래전부터 해 오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https://www.northernbuilt.pro/construction-design-closed-cell-spray-foam-below-a-slab/

https://www.greenbuildingadvisor.com/article/insulating-below-a-slab-with-closed-cell-spray-foam

국내의 경우엔, 냉동창고의 바닥과 벽체, 천장까지 경질우레탄폼으로 끊어지지 않게 일체화 시공하는 시공방법이 일반화 되어 있으며, 경질우레탄 폼 시공 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슬라브를 만들고 그 위에 고하중의 냉동식품 적재와 고중량의 지게차 이동도 하는 것을 볼 때 경질우레탄폼의 강도는 큰 문제가 되지 않는 것 같습니다.

첨부한 URL들의 글들을 보면, 공통적으로 

장점: 쉬운 시공, 필름 시공꼼꼼히 안하는 것에 대한 리스크 없음, 완벽한 방수,방습,라돈차단 기밀성 확보

단점: 시트기밀+EPS단열재+콘크리트슬라브 시공이 조금 더 저렴, 경질우레탄폼이 오랫동안 젖었을 때의 성질변화 리스크, 스프레이폼시공높이가 불균질하므로 콘크리트 슬라브를 좀 더 두껍게 시공해야함


정도로 보여집니다.


지난 주 협회로 부터 답변 내용에서 위와 같은 저희집 구성으로는 패시브 인증이 안된다는 답변을 받았습니다.


그렇다면, 위의 1~5번을 만족하는 대안 시공방법은 어떤 것이 있을지요?


제가 찾아본 대안은 아래의 내용: EPS SubSlab Insulation Installation 인데요, 아래와 같은 구조는(또는아래구조에서EPS대신XPS사용) 패시브하우스 인증이 가능할지요?

https://youtu.be/yXxoNt9ZVo8?si=FsWnCDwvbzrXC0v8&t=381
https://youtu.be/DzIiBeeGViY?si=_Abo3HhQm5koVVA8


Comments

7 혜성 05.18 21:19
1.현실적으로 슬래브아래에사용될수있는유일한단열재는압출법단열재입니다.
2.영구배수공법을하신다는건데 대지의지하수위에따라다르겠지만.영구배수(프렌치드레인),배수펌프둘다 주택규모에서실행하기엔가성비면에서비추천드립니다.
3.일정두께 이상의콘크리트를 강도 30Mpa,충실한 미장,2겹의 방습층, 철근비율높임 이렇게가권장되는사항같습니다.

적어도 국내에유통이되면서 구조용슬래브아래에서 보증되는방수시트는 gc pat사의 prepruef 방수시트밖에없습니다.
미국자료기준으로 방수,방습,라돈 차단 다 가능합니다.
제 기억에 m2당 15-20만원이였습니다.
M 관리자 05.20 10:46
혜성님 감사합니다.

------------
먼저 질문이 있는데요.
기초가 일종의 줄기초 형식인데, 기초판 면적이 작은 편인데 구조계산에서는 괜찮은 상태인가요?
말씀하신 개념을 적용하면서 매트 기초도 가능할텐데 줄기초 형식을 선택한 이유가 있으실까요?
1 이준노 05.20 12:46
구조계산에서는 괜찮은 상태로 확인하였습니다.
그 과정에서 푸터의 폭을 800mm로 확대하고, 벽체두께를 30cm 로 확대하였습니다.

매트기초보다는 버림콘크리트 없는 쇄석다짐 위 줄기초로 요청을 했었고, 이유는 경제성과 친환경?(매트기초는 너무 많은 콘크리트 사용), 그리고 향후 보수가 가능한(쉬운) 바닥 슬라브를 갖고 싶어서 였습니다.

처음에는 줄기초가 더 비용이 많이 들어간다는 의견들이 있었는데, 지금 받아놓은 시공 견적 상으로는 비용이 더 들어가지는 않는 것 같습니다. 아마도 최근 레미콘과 철근가격이 워낙 많이 올라서 인 듯 합니다.
M 관리자 05.20 17:54
알겠습니다.
일종의 SOG 인데, 지하층의 SOG 는 구조가 가능하더라도 하지 않으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이게 특히 우리나라 소규모건축물 시장에서 경험을 한 시공사가 전무하다고 봐도 무방하기에 더 그렇습니다.

협회의 인증 범위도 아니긴 하지만, 보이는 것을 안본 척할 수는 없기에 인증팀에서의 답변이 그렇게 나간 것 같습니다.
만약 "현재 디테일은 누수의 확률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인지하였다"라는  확인서를 제출해 주시면 인증 절차를 진행할 수 있긴 합니다.

다른 대안도 SOG 를 기본으로 하기에 본질적으로 달라 지는 것은 없을 것 같고, 그 보다는 스프레인폼이 더 건전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1 이준노 05.20 20:58
혜성님, 관리자님 답변 감사합니다.
확인서를 제출하면서 인증절차를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