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시공관련 질문

철콘 외단열 2층 외벽 징크 내 거터 하부 결로 문의

1 도장방 15 35,117 2017.09.26 23:34

안녕하세요.

작년에 분양 받은 단독형 공동주택(46세대 타운하우스)에 입주를 하면서

정말 많은 하자가 있었는데, 그중 본 건도 하자가 될수 있는지,

아니면 다른 간단한 방안이 있는지 고견을 여쭙고자 글을 올립니다.

 

당 건물 2층은 RC조 + 스타코 + 일부 외벽 징크 + 지붕 징크  로 되어있는 주택이고,

결로 발생 부분은 그림에 보시다시피,

우측벽 RC벽체 / 단열재 / 외부에 징크철판 공간부분 거터 하부 입니다.

외벽 단열재와 징크벽 사이의 공간에 내벽측 따듯한 공기가 거터하부부분에 모이게되면서 결로가 맻혀

이로 인해, 물떨어짐, 얼음 떨어짐, 하지철물 녹 등이 발생 하였습니다.

 

제가 생각하는 대안은

Option1 : 징크 하부 및 상부 (거터 저면 부근) 통기구 설치

Option2 : 거터를 지붕 바깥으로 이동 설치하고, 기존 거터부분 단열재 채움.

등이 있을듯 한데, 해결방법도 방법이지만,

설계오류 또는 시공상 하자로 볼수 있는지도 궁금합니다.

 

봐주셔서 대단히 감사합니다.

 

c9042ca755399b758e94e4a8dd4d17d9_1506436341_0471.png
c9042ca755399b758e94e4a8dd4d17d9_1506436341_8488.png
c9042ca755399b758e94e4a8dd4d17d9_1506436449_4078.png 

Comments

M 관리자 2017.09.27 19:41
안녕하세요..
답을 늦게 드리면서, 요청사항을 말씀드려 죄송합니다만..
그 문제가 있다고 말씀하신 부분의 사진을 한 장 부탁드려도 될까요?
결과에 따라서 하자인지 아닌지가 판단될 수 있을 것 같아서요..
G 토니 2017.09.28 09:10
궁금한 점이 있어 다른 질문을 드립니다.
좌측 베란다 부위의 경우, 적절한 단열을 위해 슬라브 다운하면 아래 층 방 천정 혹은 층고가 단이 질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이런 경우 무언가 다른 최선의 단열 방법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M 관리자 2017.09.28 09:55
네.. 아래 단열재 두께만큼 슬라브를 다운한 후, 단열재를 위로 올리는 것이 최선입니다.
그러면 아래 층 천장의 단차가 생기지 않아도 되구요..
G 도장방 2017.09.28 12:00
실제 좌측 베란다 하부 침실1에도 외벽천정부위부터 결로가 생겼었습니다. 올린 도면상에는 없지만 침실창호가 있고요 창호상부 커튼박스를 만드느라 단열재도  일부 손실이 생겨 베란다 파라펫으로부터 냉기가 내려온거 같아요.  이 경우 보완할 방법이 있을까요? 감사합니다.
M 관리자 2017.09.28 12:24
네.. 방법은 있겠지만, 경우의 수가 많구요.. 또한 확실하게 하기 위해.. 해당 부위 사진을 부탁드리겠습니다.
G 도장방 2017.09.28 22:02
관리자님 감사합니다.
먼저 베란다 아래층 침실 창호 상부 결로 관련 사진입니다.
혹시 결로 원인이 창호 프레임 주변 폼 충진 부족일 수도 있어서
프레임 주변 사춤 철거 후 사진입니다.
참고하실 사항으로는
커튼박스는 도면상 H=30mm이나, 실제 80mm 가량 설치된걸로 보아
천정 내 단열재를 ㅋ튼박스부분만 일부 철거하고 설치한것으로 생각됩니다.
아직 커튼박스를 도려내어 확인하진 못했습니다.
지난 겨울 결로 발생 당시 비접촉식 온도계로 창호 윗부분 벽면 온도를 재어보니
위로 갈수록-베란다에 가까워질수록 벽면 온도가 낮아지는것을 확인하였습니다.
다시한번 감사드립니다.
G 도장방 2017.09.28 22:53
거터부위 상세도 입니다.
G 도장방 2017.09.28 23:15
사진은 거터 하부 결로 부위를 내시경을 이용하여
동영상으로 찍은것을 캡쳐한것입니다.
아래에서 위를 올려보고 찍은것으로
우측은 건물측 단열재, 좌측은 외벽 징크쪽 입니다.
단열재와 단열재 사이틈은 어느정도 폼으로 쏴 놓긴 했습니다.
감사합니다.
1 홍도영 2017.09.29 00:43
1. 벽체별도의 통기구가 없다는 점과 또 지붕의 통기층과 연결이 된다는 점에서 결로발생 위험이 높기는 합니다. 시공중에 사용된 물이 외부로 EPS를 통해서 증발하다가 정체가 되는 것이 있을수 있고 더불어 역결로 같은 현상이 충분히 발생 가능합니다. 즉, 닫혀진 공기층에 온도가 올라간 상태에서 외부의 온도가 냐려간 경우에도 결로가 가능합니다.
2. 인방보에 생기는 결로나 곰팡이는 도면에 보이는 것처럼 열교에 기인합니다.
3. 가장 좋은 것은 통풍을 위한 환기구 입니다. 다만, 지붕의 통기구와 연결이 되지 않게 해야 합니다.
4. 도면의 작업정도를 보면 실수한 것이 있기는 하지만 이는 시공사에서 수정을 했어야 하는데 두군데 모두에서 놓칱듯 합니다.
5. 여러 도면을 봤지만 그래도 신경을 쓴 도면에 들어갑니다.
G 도장방 2017.09.29 09:57
홍도영님, 고견 정말 감사드립니다.
제가 잘 모르겠는 부분이 외벽 내공간(270mm 부분)과 지붕의 통기층과 연결되면 어떤 문제가 생기는지요? 습기가 지붕 용마루 부분으로 갈 수 있기 때문인가요?
다시한번 도움주시는 분들께 감사인사 올립니다.
M 관리자 2017.09.29 11:36
통기층과 연결되면, 기류의 이동 자체가 제한적이기 때문입니다.
크게는 세가지 이유인데요..
1. 통로가 너무 길어져서 마찰저항이 기류압력을 넘어서는 확율이 높음
2. 중간에 한번 꺽이게 됨에 따라, 벽상부 기류의 정체
3. 그럼으로 해서.. 중간에서 많은 수분이 응축되는 문제
입니다.

하자는 설계하자와 시공하자로 나눌 수 있는데.. 도면의 질에 대해서는 홍선생님이 말씀하신 것 처럼 비교적 수준이 높은 도면입니다. (이런 분이 협회 실무자교육을 받으시면 취약점을 명확히 해소할 수 있는데..)
몇몇 도면과 다른 부분이 있으나, 현장시공에서 변경될 수 있는 부분인지라 하자로 볼 수는 없겠습니다. 다만... 마지막 올려 주신 창틀 주변의 단열재 충진에 대해서... 도면에 명확히 적혀져 있으나, 충진이 되지 않은 부분에 대해서는 시공의 하자라고 보아도 무방합니다. 이 부분은 수정을 요청하셔도 됩니다.

벽체에 통기구를 마련하지 않은 것과 지붕과 연결할 것 등등은 현재 우리나라의 보편적 설계수준을 볼 때, 하자로 판단하기는 어렵습니다. (법정에 섰을 때의 판단기준입니다.)

커터 하부의 응축수에 대한 해결방법은 외벽의 최상단과 최하단에 일정한 간격으로 통기구를 마련하는 것이 가장 최선으로 보여지며 (상부 통기구가 더 커야 합니다.) 통기구의 크기는 1미터 간격으로 30mm x 50mm 이상이면 됩니다. (상부 통기구는 같거나 1.2배 이상이면 좋구요.)
다량의 빗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그릴로 처리되면 좋겠습니다.
그릴은 아래 링크를 참조하셔요..
https://www.alibaba.com/product-detail/wall-ceiling-0-degree-30-degree_60095158983.html

그리고, 한가지 더 확인이 필요한 부위가 아래 그림의 붉은 점선 부위입니다.
여러 철물이 한 곳에 집중되어져 있기도 하거니와, 단열재 시공이 만만치 않은 부위라서 그렇습니다.
1 도장방 2017.09.29 13:32
관리자님, 답변 감사드립니다.
전문가들께서 이렇게 도움을 주시니 정말 든든합니다.

거터 결로 부분은 말씀 해주신 내용으로 시공사 등과 협의해 보겠습니다.
지적해주신 붉은 점선부분은 확인이 될지 모르겠습니다만,
단열재 시공이 밀실하도록 협상해보겠습니다.
또 지붕과 이어지는 부분을 막을수 있도록 해보구요...

베란다 및 창호 부위는 올 여름에 단열재 (폼) 충진 후 사춤 몰탈 완료했습니다만,
아직 겨울 전이라 결로여부를 확인 하지 못했습니다만, 결로 생길걸로 예상이 됩니다.
파라펫 RC벽체 열교를 어떻게 피할 방법을 잘 모르겠습니다.
베란다 바닥은 현재 단열재를 붙이기 불가하니 파라펫 안쪽 수직벽에 라도 단열재를 붙이면 도움이 될까요..?
다시한번 감사합니다.
M 관리자 2017.09.29 14:53
네.. 도움이 되려면.. 두께보다는 길이로 승부, 밀착 부착이 되어야 합니다.
G Аристова 2019.07.18 21:01
비밀글입니다.
G 조동제 2020.04.21 11:20
위 결로 원인은 크게 단열재의 건식 부착과 거트 구조를 지탱하기 위한 화스너를 통한 열교, 단열재의 파손에 기인된 것으로 판단됩니다. 해결방법은 거트 구조와 화스너간 열교차단이 필요합니다. 또한, 단열재 파손구간을 통한 열교부위가 큰것이 원인입니다.
외단열에서 단열재는 습식으로 시공하거나 뿜칠형태로 완전한 기밀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스틸, 징크를 통하여 내외부 열교가 빈번히 발생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