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시공관련 질문

열회수장치 관련해서 질문 드립니다.

G 패시브갖고싶다너 6 2,401 2017.10.01 21:18
ㅌ안녕하세요. 리자님... 친한척해봤습니다. 
국내 열회수장치 중 셀파와 ssk가 있는데 시공사에서 셀파로 하기로 정해졌습니다.
그후 협회에 글을 보니 셀파는 업체에서 정한 성능이나 소비자 대응이 부족해서 자재업체 명단에서 빠졌더라구요.
혹시 제품마다 다르겠지만 ssk와 셀파의 가격대는 동일한가요? 동일하다면 ssk로 변경을 요청하고자 해서요. 그리고 셀파의 문제는 프리필터박스로 해결이 가능한가요?
뜻밖의 질문이라 죄송합니다.^^ 추석 명절 가족들과 즐겁게 보내세요~~

Comments

G 패시갖고싶다너 2017.10.02 12:38
추가로 궁금한 점이 있어서 글 남깁니다.~~
1.  기밀층을 외부에서 시공하면 장선이나 내벽의 간섭이 없어서 편리할 것으로 판단되는데 내부에 기밀층을 형성하는 특별한 이유가 있나요?
2. 만약 외부에서도 기밀을 잡을 수 있다면 투습방수지로 가능한가요?
M 관리자 2017.10.02 14:09
^^ 네..
현재 셀파의 문제는 소비자대응이 너무 느린 것이 원인이라 필터박스와는 무과합니다.
아주 상관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SSK 가 좀 더 비싼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목구조라면 기밀층을 외부에서 만드는 것과 무관하게 실내측에 방습층이 있어야 합니다.
개념상 방습층이 우선이며,  방습층을 하는 김에 기밀층으로 만드는 거라고 이해하시면 무난할 듯 합니다.
G 패시브갖고싶다너 2017.10.03 10:26
정말정말 감사드려요. ~~ 한가지만 추가로 질문드릴게요 표준주택 지붕구성에서 가변형방습지가 빠지면 무슨문제가 있을까요? 없어도 된다는 말씀이 있어서요?? 명절음식 맛있게드시고 즐거운 시간 갖으세요~~^^
M 관리자 2017.10.03 11:00
아니어요. 없으면 안됩니다. 말씀드린 바와 같이 방습층이면서 기밀층이거든요.
표준주택은 최소한의 구성이어요.. 과한 것은 하나도 없습니다.
물론 과학이 더 발달하면 다른 구성이 있을 수는 있겠습니다만, 현재의 기술수준으로 주택이 갖추어야 할 최소한의 구성만으로 되어져 있습니다.
여기서 더 하면 더 했지 뺄 것은 없습니다.
G 패시브갖고싶다너 2017.10.03 11:28
네 그렇군요.. 전 저의 시공사 대표님을 전적으로 신뢰합니다만 필요없다고 하시고 설명도 해주셨는데 전혀 이해불가더라구요. 만약 기밀층을 형성못하더라도 스터드사이에 가변형방습지만 붙여도 될까요?질문이 애매하지요??ㅜㅜ
M 관리자 2017.10.03 11:41
그것도 안됩니다.^^
공사비도 더 올라갈 것 같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