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시공관련 질문

발코니 단열 관련 질문

1 knufi 12 7,626 2016.11.14 16:52
실내,실외.png
안녕하세요. 질문게시판에서 여러 답변들을 보며 최대한 배워가며 적용중인 초년생인데 질문이 있어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다른분의 질문글중 위와 같은 사례가 있었는데 현재 상황이 비슷하여 인용하였습니다.
현 상황은 그림의 1층 실외부분이 비난방(방풍실)공간인데
따라서 실내가 되기에 우레탄 보드대신 비드법 보온판으로 슬라브 하부 끝(외벽)까지 둘렀습니다.

문제는 슬라브 상부인데 현재 여건상 상부 전체를 단열재로 감쌀 수가 없게 되어
결로가 생기지 않고 곰팡이가 생기지 않을 최소 폭, 최소 두께의 경질우레탄 보드를 두르려고 합니다.
이때 필요한 최소폭과 두께가 어느정도 일지 궁금합니다. (일반 중부지방 외단열 법규 최소치를 따르고 있습니다.)
이때 혹시 결로만을 방지하려 한다면 그냥 일반 주택처럼 그림 2층 실내측 슬라브 하단에 결로방지단열재를 450mm의 폭으로만 둘러도 상관 없을까요?

현재 상황이 꽤나 열악하여 최악을 제외한 차악을 찾아가는 중입니다... 감사합니다.

Comments

M 관리자 2016.11.14 17:08
신축이신가요? 아니면 보수 중이신가요?
1 knufi 2016.11.14 17:23
신축이고 상부 마감재가 데크라 슬라브다운 되어있고 외벽은 구조/단열/조적 으로 되어있습니다.
내부는 슬라브 상부 일반 패널 히팅으로 구조/단열재/기포콘크리트/엑셀몰탈/마감 으로 되어있습니다.
M 관리자 2016.11.14 17:26
네. 알겠습니다.
번거로우시더라도.. 해당 부위가 나와 있는 단면도가 있을꺼여요..
그 부분을 사진을 찍어서 올려 주실 수 있으신가요?
1 knufi 2016.11.14 17:37
현재 질문하는 부분이 도면으로 정리가 안되어있어 가장 비슷한 부분을 찍었습니다... 죄송합니다.
M 관리자 2016.11.14 17:42
네. 그럼 여기서 발코니 슬라브만 다운되어져 있다고 보면 유사한 것인지요?
1 knufi 2016.11.14 17:43
네 거의 흡사합니다.
M 관리자 2016.11.14 17:45
슬라브 다운은 얼마나 되어져 있나요?
1 knufi 2016.11.14 17:52
최소치라 생각하고 150 정도 되어있습니다.
M 관리자 2016.11.14 17:55
알겠습니다.
M 관리자 2016.11.14 21:30
디테일은 지식의 결과물이므로, 사실상 건축설계 하시는 분에게 디테일을 그려드리는 것은 옳지 않은 방법입니다.
원리를 알면, 수많은 경우의 수에 맞는 디테일을 스스로 창조해 낼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아래의 두가지 예는 말그대로 "예"일 뿐이라고 생각하시고, 방수의 원리와 열교차단의 원리를 고민해 보시는 것이 앞으로를 위해 좋을 것 같습니다.

모두 발코니의 방수는 역전지붕 (단열재 하부에 방수층이 형성된) 방식입니다.
기술자료실의 글을 읽어 보시면 아시겠지만.. 단열재는 XPS만 가능합니다.

모든 예는 경우에 따라서 실내측에 약간의 단열재를 보강해야 할 수도 있고, 창호 프레임을 따라서 열선으로 온도하락을 막아야 할 수도 있습니다.
M 관리자 2016.11.14 21:31
두번째 예입니다.
1 knufi 2016.11.15 11:01
세세한 디테일과 답변 정말 감사드립니다. 열심히 고민해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