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시공관련 질문

컨테이너하우스_내단열로봐야되나요?

G 임지혜 6 9,075 2013.08.02 09:18
항상협회 홈페이지를 통해서 많은 것을 배우고 있는데요.

컨테이너하우스 관련질문입니다.
첨부파일처럼 보통 컨테이너의 구조는 얇은 강판으로 되어있고 벽안에 단열재를 대고 마감을 하는데요

1.예를 들어 콘크리트벽체 200mm에 외단열 100mm EPS와 내단열 100mm EPS는 엄연히 다른 열관류율 값을 보이는데, 컨테이너 벽체에 그림과 같이 구조체안에 단열재를 대는 경우 -----> 이경우를 내단열로 봐야 하는지요.
--->제 생각엔 컨테이너 4mm 밖에 하지 않는 강판이 구조며 외부마감까지 겸하고 있어서 그냥 마감재로 보고
안에 단열재를 대고 마감을 하면 외단열 처럼 계산을 해도 될것 같은데요. 궁금해 하셔서 글을 남깁니다.

Comments

M 관리자 2013.08.02 09:47
안녕하세요..

애매하기는 한데, 투습조건은 내단열로 보아야 하고, 열적조건은 목구조와 같은 중단열로 보아야 할 것 같습니다.
또한 구조적으로는 내단열로 보아야 하구요..
확신있게 이야기할 수 있는건 외단열은 아니라는 것입니다.

어떤 목적으로의 정의를 내리는지가 관건인 듯 합니다.

답을 하면서도 제 글이 조금 어정쩡한 듯 느껴집니다.

감사합니다.
G 임지혜 2013.08.02 13:02
답변 감사합니다.
5리터 컨테이너하우스를 만들려고 하는데요. 단열재 100mm를  안에다 붙혀서 계산을 하려니 내단열이 되는데 보통 외단열처럼 계산하면 안될 것 같은데... 라는 생각에서 질문드렸습니다. 나중에 상세가 나오면 다시한번 여쭤겠습니다.
M 관리자 2013.08.02 13:19
컨테이너로 5리터를 만들기가 쉽기 않으실 터인데.. 바닥 면적에 비해 외피면적이 워낙 많아서요.

결과나오면 한번 알려주십시요.. 감사합니다.
2 홍지행 2013.08.02 19:50
1. 콘테이너 하우스의 경우 모듈러끼리의 joint도 문제이지만
    최하부 바닥의 완벽한 열교차단에 대한 detail shop를 해결하지 않는한,
    어느정도 한계가 있다고 보여집니다.
2. 콘테이너 하우스의 연결시 허용오차(시공의 정밀도)가 자칫 크게 발생할수
    있으며 이로 인한 최종 외부마감 공사비가 증가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3. 콘테이너 하우스 단일동일 경우는 큰 우려가 없으나 여러동을 조합하여
    구성할 경우는 "층간소음차단"에 많은 고민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G 박달재 2013.08.02 22:15
열전도율이 일반적인 철근콘크리트조나 조적조에 비해 무지무지 높은 강판에다가 두께가 얇팍한 4mm박판을 구체로 하여 안에다 취부하는 단열재를 두고, 철판을 외장 마감재로 가정한다면 외단열이라고도 할 수 있지 않겠느냐는 질문인 것 같습니다.
 
더울 땐 달궈져 뜨겁고 추울 땐 손이 적쩍 달라붙을 정도로다가 차거운 특성을 가진 것이 철판이죠.

애매하고 어정쩡하다고 표현하신 관리자님의 답변에 한 표 하겠습니다.

단열재 위치로 보아 내부 마감재가 당연히 설치되기 때문에 중단열 또는 내단열로 볼 수는 있겠지만 외단열은 아닌듯 한 단순한 생각에서 그렇단 말씀입니다.

그런데 가만히(조금 더 깊게...)생각해 보면 중단열 요건도 내부 마감을 뭘로 하느냐에 따라서 결정될 것 같기도 합니다.

그래서 어정쩡(?)한 답을 하신듯...
G 임지혜 2013.08.06 09:01
답변 감사합니다. 지금 여러모로 고민중입니다. 암튼 답변이 모두 다 도움이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