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시공관련 질문

단열에 관한 질문(현재 공사중인 문제임)

1 김종학 7 5,141 2013.06.25 11:11
또다시 질문을 드려 죄송합니다.
본 협회에 들어와 배운 지식을 갖고 지방에서 주택을 공사하고 있습니다.
현 공정은 골조공사 완료 상태이며 외부 조적공사와 지붕공사 . 창호공사가
대기하고 있습니다.
제가 제일로 치는것은 단열입니다.
그러다 보니 이론만 갖고 시공을 하다보니 많은 문제점들이 노출되어
조마조마 합니다.
오늘도 질문 하고자 하는것을 도면으로 부연하여 문의하고자 합니다.
- 그림1은
   지붕의 외단열 문제와  처마의 하단부분 단열사항인데
   기와씌우기 임으로 열반사지 10m/m로 하였을시
   벽체에 결로가 우려 되는지 여부와(종전에 문의한 내용과 엇비슷함)
- 그림2는
   압출법 단열재10m/m 를 타설 부착으로 시공한바
   창호설치시 시공상 불리하다는 의견과
   패시브 주택이라고 시공한 사례가 있어
   위 2사항을 놓고 의견이 분부 합니다.
위 문제에 대한 최선의 선택에 많은 도움 요청 합니다.

Comments

M 관리자 2013.06.25 16:24
1번은 일단 열반사단열재의 해묵은 효과 논쟁을 떠나서 공동주택의 결로방지 기준인 15mm 이상의 두께가 되어야 합니다. 가급적 20mm 이상으로 권장해 드립니다.

2번은 타설부착을 하셔도 되나, 창호를 고정하기 위해 단열재를 훼손해야 합니다. 그 점이 미리 고려되셨다면 일체 타설을 하셔도 무방합니다.
즉, 창호는 골조에 고정된 스틸브라켓을 이용하여 고정하고, 단열재가 창호무게를 받도록 하지 않으시면 괜찮습니다.

감사합니다.
G 김종학 2013.06.25 17:23
빠른 답신에 감사를 드립니다.
G 홍도영 2013.06.26 01:07
지금이라도 처마의 콘크리트를 잘라내시는 것은 어떤지요?
열반사는 이 구조에서는 설치하지 마시구요.
M 관리자 2013.06.26 08:21
제가 단열재의 종류를 명기하질 않았네요..
압출법 20mm 입니다. 저 역시 열반사단열재를 교체했으면 하는 생각으로 말씀드렸습니다.
G 홍도영 2013.06.26 14:11
단열재는 한다고 다 득이 되는 것은 아닙니다.
현재 내부의 단열재는 하지 않는 걸이 좋고 열교로 인해 처마 부위를 보강을 해야 한다면 상부 일미터만 하면 됩니다. 즉, 천정부위이지요
만일 여기에 내부를 단열재로 도배하면 포르쉐를 서울시내에서만 타는 것과 같은 것이지요. 구조의 장점을 전혀 이용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습니다.
G 홍도영 2013.06.26 20:26
기차를 타고 가는중에 휴대폰으로 작성한 것이라 엉망이네요. 죄송합니다.
내부 연결부위는 열교때문에 지붕 그리고 내벽에 열교역제 단열재라는 용도로 설치를 하면 그외에는 다른 단열재를 설치할 필요가 없고 지붕 상부는 현재의 연반사 단열재를 차라리 EPS로 깔고 투습방수지를 깔면 될 것으로 보입니다. 물론 지부공사에 열교를 줄이기 위해선 2겹의 EPS를 겹치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제안입니다.
콘크리트의 장점을 사용 못하는 것이 아쉬워서요.
1 김종학 2013.06.26 23:37
얄팍한 패시브 지식을 건축30년 탁상 경력만 믿고 시공을 처음 시도한바
현장이란 의지한대로 실행이 안되고 생각치않는 문제점들이 나타남은
당연한것이라 치부해도 금전관계가 얼키다보니 혼선이 오는건 어쩔수
없는거 같습니다.
보내주신 의견 수렴하여 최선의 방안을 강구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