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시공관련 질문

옥상바닥단열재혼합 비드법+압축법

G 김수철 8 10,083 2013.04.29 13:10
안녕하세요.
옥상바닥을 외단열만으로 단열재 300T 평지붕으로 할려고 합니다.
압축법의 단열 수명이 줄어 든다는 자료를 보고

150T 는 비드법 2종 1호+ 150 T 는 압축법특호  붙여 사용 해도 괜찮나요?

재질이 달라 접한 부분의 온도차로 결로가 생길까 걱정도 되어 질문 드립니다.

혹시 이렇게 사용 해 보신분 있으시면 답변 부탁드립니다.

Comments

M 관리자 2013.04.29 16:06
옥상 외단열일 경우 방수방법에 따라 사용방법이 조금 다릅니다만, 일단 큰 틀에서 말씀드리면, 압출법이 경시변화(시간경과에 따른 단열성능의 저하)가 있긴 합니다만, 단열재 위에 무근콘크리트를 조성하는 옥상에서는 그 변화량이 거의 없을 것이라고 예측되고 있으며, 비드법은 흡수율 때문에 단열재상하부 모두 방수처리를 하지 않는 이상 옥상외단열재로는 부적합합니다.
그러므로 압출법 1호정도로 200~250mm를 하시는 것이 더 나은 선택입니다.

또한 이종단열재를 같이 혼용하실 경우에도 그 밀도차이 등 성상의 차이가 아주 크지 않은 이상 단열재 내부에서의 결로현상은 일어나지 않습니다.

감사합니다.
2 졸탁동시 2013.04.29 20:58
패시브하우스의 평지붕은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됨을 먼저
인지하시지 바랍니다.
물론 질의하신분의 내용을 보니 많은 내용을 숙지하고 계신다고 믿습니다..
문제는 압출법과 비드법의 혼용상의 문제점도 궁금하실수 있으나..
압출법이든 비드법이든 단열재를 어떡해 하면 습기에 노출시키지
않고 관리할수 디테일을 가지고 시공하는가에 있다고 봅니다..
협회에 질의하시는 대부분의 예비건축주분들이나 현재 직접 시공관리
하시면서 질의하시는 대부분의 건축주분들은 너무 단편적인 것만 질의
하고 계시는데..
주택은 그리 단순한 건물이 아닙니다..
단열재를 T500으로 시공하면 뭘합니까?
추후 아니한만 못하면 뒷감당은 과연 누구의 몫일까요...
상기 질의자께서는 단열재의 혼용상의 문제점을 궁금해 하시기 전에..
단열재 시공을 위한 전,후마감이 어떻게 되어 있는지를 먼저 협회에 오픈하시고 적절한
답을 구하시는게 순서가 아닐까 합니다....
평지붕이면 분명 옥상공간을 활용코자 하실텐데..
배수구 및 파라펫 난간의 시공은 간단한 디테일로 완벽하게 할수 없음을 빨리 인지 하시길 부탁드립니다..
단열재 사이로 배수구를 만들지 못하고 옥상바닥에 직접 배수구를 형성한 후 겨울철 점형열교의
전형적 사례를 올립니다.
참조하세요....
G 홍지행 2013.04.29 21:38
물론 디테일상 부분적인 점형,선형열교을 예상하고 비용을 절감코자 시공하는것이
협의되었다면 어쩔수 없겠지요..
허나..
상기 배수구 하부는 드레스룸입니다..
드레스룸 천정은 콘크리트에 수지미장과 수성페인트 마감이 전부입니다..
다행이 현재 결로는 없습니다..

1.CON'C  T 230MM(당초 설계보다 두껍게 시공됨.- CON'C속에 공조 디퓨져시공으로 )
2. 바닥에 비노출우레탄 전면도포 시공.(방수쉬트 시공이 좋으나 국내 방수업체의 시공능력
    이 믿덥지 못했고 비용문제도 고려됨)
3. 단열재 240MM시공
4. 상부 비닐시공후 W/M(와이어메쉬) 시공후 누름콘크리트 시공(배수구로의 구배형성)
5. 상기 작업후 파라펫난간과 바닥과의 JOINT 방수 처리
6. 액체방수후 바닥 석재타일 시공.
    상기공법이 그당시 최선의 선택이었으며 현시점에도 크게 후회는 없으나..
    현시점에서 볼때 결코 바람직한 시공방법은 아니었다고 봅니다..
    모든것은 건축가의 바른 공법제시와 시공사의 패시브하우스 기술요소의 충분한 경험들이
    녹여질때 비로소 건축주분들이 원하는 최상의 품질이 도래하리라 의심치 않습니다...
G 이세웅 2013.12.29 21:21
다세대 평지붕을 외단열로 시공해보려는 1인입니다.
평지붕외단열 공사에 경험이 있는 시공사와 작업했으면 하는데
당시 시공했던 회사를 알 수 있을까요?
M 관리자 2013.12.30 17:25
비밀글로 연락처를 올려주시면 홍지행 선생님께 연락드려 놓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M 관리자 2013.04.30 08:31
지금 시점으로 볼 때도 무척 잘 하신 방법 중 하나일 것 같습니다.
저희가 하는 현장도 표준과 현실의 괴리가 무척 큼을 느낍니다. (이상과 현실의 괴리면 차라리 마음이라도 편할텐데요..)
좋은 글과 사진 감사드립니다.
1 아파랏체 2014.01.01 12:34
비밀글입니다.
M 관리자 2014.01.01 19:38
아라랏체님//

네.. 아주 많지만 않으면 가능하리라 생각합니다. 홍지행선생님께 연락을 드릴까요.. 아니면 협회를 한번 방문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