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시공관련 질문
지하1층과 지상1층으로 패시브하우스를 지을시.....
1 이은선 | 댓글 2
수년안에 패시브하우스를 짓고싶고, 계획을 가지고 있습니다. 지하1층은 철근콘크리트로, 지상1층은 경량목구조로 지을수있을까요? 가능하다면 지하층은 완전매립 형태로 창문과,외부출입구는 없이 지상1층에서 출입할수있는 구조로 지하층 면적은 지상1층과 거의 같은 면적 혹은 좁은 면적으로도 시공이… 더보기
석재마감 외단열 보강법 문의
1 이윤근 | 댓글 10
항상 유익한 정보에 감사드리고 지난번 답변과 조언에 감사드립니다. 저희는 석재제조 판매 회사입니다. 당사는 석재에 단열성을 부가하는 석재복합 판넬을 곧 시판하려 합니다. 단열재 시장에 대하여 잘 알지 못하여 다시한번 조언을 구합니다. 저희가 개발완료한 제품에 간단히 설명드리자면 다음과 … 더보기
경량목조주택 고벽돌 치장
G 이준규 | 댓글 4
목구조 주택의 외벽단열 및 고벽돌 치장을 계획하고 있습니다.그런데 일부 전문가들의 의견에 따르면 벽돌공법상 사용되는 연결철물로 인한 열교와 창호주변의 열교때문에 패시브하우스에는 고벽돌마감이 어렵다고 합니다. 고장벽돌을 사용한 마감에 조언을 요청합니다
외단열 규격 미달
1 민수 | 댓글 10
수고가 많으십니다. 궁금한게 있어서 문의 드립니다. 현재 지인이 4층 다가구 주택을 진행중입니다. 우연히 도면을 보았는데 외단열이 압출법 1호 90mm로 설계되어있는데 시공을 비드법 1종 90mm로 시공을 해놓았습니다. 단독주택같은것은 단열이 매우 중요하다 생각하여 재시공을 하도록 조치… 더보기
지하 기초 단열에 대한 질문드립니다.
1 강남규 | 댓글 6
짧은 지식으로 늘 질문만 드리게되어 송구합니다. 중목 구조이며, 목구조 2개층에(1층 37평, 2층 30평), RC 지하1층 ( 지하 20평, 1층면적의 55 %정도가 지하1층) 으로 확정되었습니다. 지하 기초 및 줄기초 아래 XPS 300 mm 를 계획중입니다. 지하1층 기초 바닥에 … 더보기
외부 투습방수지 위치에 대한 질문드립니다.
1 강남규 | 댓글 6
늘 많이 정보 감사드립니다. 중목구조에 중단열 (글라스울) + 외단열 (PF 보드 )로 계획중입니다. 내부에 기밀막 (투습방습지) 설치 예정이며 외부에 투습방수지를 계획중인데 외단열 PF보드는 투습이 잘 안되는 재질로 알고 있습니다. 이런 경우 투습방수지를 PF보드 외측에 설치해야 되는… 더보기
창호의 결로에 관한 문의 드립니다
1 이윤희 | 댓글 4
항상 좋은 자료들, 좋은 정보에 감사드립니다 창호의 결롸와 관련하여 문의 드리고자 합니다 신축 주택에 시스템창을 설치한 후 결로와 관련하여 고객불만이 있어 방문하여 확인결과 벽체에서 돌출된 부분에 시공된 창호에서 창들 및 창짝, 유리 및 창호에서 돌출된 부분의 내부마감재등에서 결로가 발… 더보기
수성연질폼 및 외단열 시공 관련
1 정동화 | 댓글 4
경량목구조 2*6외벽에 수성연질폼으로 충전하고 100mm 비드법1종 3호판으로 외단열 시공할 경우 osb합판 외벽에 하지대 시공 없이 단열판을 밀착 시공해도 문제가 없는지 질의드립니다.
외벽 단열과 내벽 단열에 관해 질문드립니다.
G 이동근 | 댓글 9
집이 옛날집이라 겨울이나 여름에는 춥고 덥습니다. 그래서 외벽에 단열시공을 할려고합니다. 이것 저것 알아보고 관련정보도 읽어보고 하니,, 알면 알 수록 더 하기 힘들어지네요,, 각각의 장단점들이 발견되고 시공하는 사람들 말과 전문 자료의 내용과 서로 다른게 많아서요,, 그래서 몇가지 질… 더보기
목조주택 스터드 시공 및 EPS부착방법
1 윤규훈 | 댓글 4
. 안녕하세요 정말로 많은것을 배우고있는 한사람입니다두가지궁굼한게있어질문드립니다. 목조주택시공시 스터드를 2*12나 2*10 할경우 스터드에 문제가없나요 스터드가 휜다는이야기가있던데요 박람회 에가보니2*6두게를 나란이세우고 양옆에 OSB합판을 대는것을 보았읍니다이유를 물으니 큰부재를 할… 더보기
단열석재 시장성 문의
1 이윤근 | 댓글 6
안녕하세요. 가입인사 드립니다. 요즘 단열재의 두께를 강화하며 "에너지 절약계획서" 등의 말이 많은데 제가 이 부분의 문외한이라 궁금하여 글을 올립니다. 만일 석재(자연석) 10mm + 무기질단열재 20mm의 복합 석재판넬의 열전도율(석재포함)이 0.045일 경우 판매 시장성이 있는지요… 더보기
폐열회수 환기장치 관련 질문
1 이경환 | 댓글 12
폐열회수 환기장치 관련 질문 드립니다. 저에너지 사용 주택에서는 폐열회수 환기장치가 필수적으로 있어야 하는 것 같은데요 아래 님께서 국산 로타리형 폐열회수 환기장치 소개 요청의 글을 주셨는데 저도 같은 내용으로 소개 자료를 받고 싶습니다 ( khlee23@paran.com ) 그리고 같… 더보기
기초 시공시 궁금점입니다.
1 김종영 | 댓글 1
기존 무근 콘크리드 바닥이 있는데 약1m 정도 도아올려야합니다. 무근콘크리트 위에다 바로 올려도 상관이 없는가요 아님 철거를 하고 해야 할까요 지금은 비가오고 습할때는 콘크리트 위에 습기 가 많이 올라오는 상태입니다.
폐열회수 전열교환기 문의
1 서재형 | 댓글 11
안녕하세요, 요즘 패시브하우스에 빠져 살고 있는 1인 입니다. 기초적으로 환기시스템이 가장 고민이 되는군요. 전문가분들의 조언 좀 부탁드리겠습니다. 우선, 환기 시스템으로 판형과 로터리형이 있는걸로 알고 있는데요. 현재 판형의 경우 무수한 업체들이 있긴 합니다만, 실제 우리나라 기후에 … 더보기
아무것도 모르는 건축주입니다.
1 김종영 | 댓글 3
올해 신축예정인 건축주입니다. 건축에대해서는 정말 아무것도 모르고있습니다.건축을 할려니 아무것도 모르고 있었어 공부를 할려고 찾다보니 여기를 발견하여 가입을 하고 처음으로 질문을드립니다. 첨부파일과 같이 단순 직사각형 구조입니다. 평수는 30평 이며 2~3년후 애기들이 크면 약 8평 정… 더보기
패시브하우스(에너지 제로 하우스) 교육 센터를 한국 기술교육대에 설치 하여 귀 협회와 교육을 연계 하고자 합…
1 김중호 | 댓글 1
반갑습니다, 한국 기술교육대학교 제 2캠퍼스에서 기존의 공조 냉동 교육센터를 패스브 하우스(에너지 제로 하우스) 교육센터로 변경 및 그 교육설비를 금년 상반기 중에 마무리하고 하반기부터 전국의 건축관련 공고, 전문대 교사/교수님들, 건축분야 엔지니어 분들을 대상으로 정기적인 교육을 계획… 더보기
경량 철골조 구조의 설비층
1 김준엽 | 댓글 1
경량 철골조 주택의 경우 패시브 주택 구현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고 들었습니다 그중 큰 부분을 차지하는 것이 열교와 기밀로 알고있는데 역시 많은 이음새가 발생하기 때문으로 생각됩니다 혹시 경량 철골조 주택 중 설비층이 있는 단면 구조 샘플을 구할 수 있을지요? 꼭 패시브 수준이 아니어도 … 더보기
시멘트 벽돌조 주택에서 단열재 시공
1 김연옥 | 댓글 1
시멘트 벽돌조 주택에서단열재 시공시단열재연결을 어떤 방법으로 해야최대한 기밀하게 할 수 있을까요?그냥 벽돌사이에 끼워 넣기만 하면 틈새를 막을 도리가 없는데...좋은 방법이 있으면 부탁드립니다.
창호 기밀 시험 방법 추가 문의
1 김준엽 | 댓글 2
이전 질문의 빠른 답변에 감사드립니다 이와 관련하여 추가 궁금한 점이 있어 문의 드립니다 나름 정리해 보면 KS 2292는 실험실에서의 창호의 기밀 성능 규격인 듯하구요 KS L ISO 9972는 현장에서의 건물의 기밀 성능 및 건물 부재의 기밀 성능 인듯합니다 이는 실험실에서의 제품 … 더보기
지하층 Sunken 에 대한 질문입니다.
1 강남규 | 댓글 3
안녕하십니까? 중목구조에 지하층은 RC 구조로 계획중인 건축주입니다. 지하층에 Dry Area ( Sunken ) 가 있습니다. (첨부파일 참조) 지하층 벽체 외단열은 XPS 200 mm, 지하 바닥하부 외단열은 XPS 300 mm 로 계획되어 있는데 Dry area 쪽은 어떻게 처리 … 더보기
창호의 기밀 성능 측정 방법 의문점
1 김준엽 | 댓글 1
창호의 기밀 성능 측정 방법은 자료실에 있는 KS F 2292이 있고 KSL ISO 9972에도 측정 방법이 정의 되어 있는 걸로 압니다 이때 같은 창호의 경우에도 사용 용도나 목적에 따라 측정 방법을 달리 하야 하는지요? 두 규격의 명확한 차이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내+외단열 복합시공에 대한 문의
G 류근의 | 댓글 2
외단열이 내단열에 비해 에너지측면에서 더 좋다는것은 이미기정사실인데요.. 만일 단열재 100mm를 설치할경우 외단열에다 100mm을 다설치하는것이 좋은지요 아니면 외단열80mm+내단열20mm 더 이로운지요..(외단열 비율을 높게) 현장에서는 복합하는것이 실제로는 더 이롭다고들하는데 맞는… 더보기
경량목구조 주택의 단열재 선택
1 이수경 | 댓글 1
경량목구조 주택 신축을 준비중입니다. 단열재를 어떤것으로 선택해야 하는가? 고민중인데 전문가의 고견을 요청합니다. 단열재 비용은 다른 비용을 일부 희생해서라도 투자할 생각이며, 설계하는 분께 단열은 확실히 해달라고 부탁 하였고, 창호는 독일식3중 시스템 창호로 계획하고 있습니다. 저는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