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시공관련 질문

열교환기 질문입니다.

2 권희범 14 7,836 2012.11.09 14:53
안녕하세요.
얼마 전에 지은 집에 국산 로타리형 열교환기를 설치했는데요, 밤새 틀어놓으면 실내 공기가 많이 차가워진다고 합니다. 자다가 깨서 끄고 잘 정도라고 하네요.
업체에서 제시한 효율보다 떨어질 거라고는 생각했지만 생각한 것 보다 실내 온도가 많이 떨어지는 것 같습니다.
열교환기를 끄고 잔 날은 실내온도가 잘 유지된다고 하니 열교환기의 문제가 맞는 것 같구요.
해서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좀 데워볼까하는데요, 인입 파이프 안에 작은 전등을 설치해보려고 합니다.
인터넷을 뒤지다가 독일 어느 집에서 쓰고있는 방법이라고 배웠습니다.
파이프 안에 전등을 설치한다면 어느 위치에 달아야 할까요?
1. 외부 공기가 열교환기로 들어가기 전의 위치.
2. 외부 공기가 열교환기를 거친 후 집으로 들어가기 전의 위치.
3. 두 곳 다.

그리고 인터넷에서 봤던 독일 집은 백열등을 설치했던데요,
저는 전기세 때문에 삼파장 램프를 달아보려고 합니다. 백열등보다야 못하겠지만 삼파장 램프도 계속 켜놓으면 발열량이 만만치 않던데 어느정도 공기를 데워줄 수 있을까요?

답변 부탁드립니다. 고맙습니다.

Comments

M 관리자 2012.11.09 18:49
대안적 답변은 계산 후 알려드리도록하고, 저희가 샘플로 가지고 있는 제품 중 프리히터가 달려있는 제품으로 무상교환해드리는 것은 어떨까요.
풍량등은 문제가 없도록 계산해서 드리고, 설치는 직접하시구요. 덕트는 그대로 사용하셔도 되니 교체는 어렵지 않으실 것입니다.
이전 제품은 저희에게 반납하시는 조건입니다.
권선생님께서 워낙 열심히 하시는데에 대한 성의 표시라고 생각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2 권희범 2012.11.09 21:49
저야 돈받고 하는 제 일을 하고있을 뿐인데 협회에서 이런 어마어마한 성의 표시를 하시니 정말로 몸둘 바를 모르겠습니다. 제가 이런 큰 선물을 받아도 되는 건지는 잘 모르겠지만, 그래도 감사히 받겠습니다!
겨울도 오기 전에 춥다는 말을 듣고는 크게 걱정했는데 이런 대반전이 생기다니..
정말로 고맙습니다.
언제 어디로 가야되는지 알려주시면 바로 뜯어서 달려가겠습니다.
고맙습니다!
M 관리자 2012.11.10 10:02
협회사무실로 언제든 오시면 전달해 드리겠습니다
2 권희범 2012.11.10 18:57
고맙습니다!
다음주 중에 연락드리고 찾아뵙겠습니다.
2 권희범 2012.11.11 22:37
비밀글입니다.
M 관리자 2012.11.12 10:40
비밀글입니다.
2 권희범 2012.11.12 22:00
비밀글입니다.
2 권희범 2012.11.15 21:24
오늘 열교환기 철거해왔습니다. 내일 오후에 찾아뵐게요.
가는길에 전화드리겠습니다.
내일뵐게요.
M 관리자 2012.11.15 21:35
1 유정연 2012.11.27 02:03
안녕하세요. 관리자님.

프리히터가 달린 전열교환기 제품. 저에게도 소개 부탁드립니다.
M 관리자 2012.11.27 10:49
네... 함 돌려보고.. 추천할 만한 제품이라고 판단될 경우 바로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 권희범 2012.12.25 15:19
결국 다시 처음의 로타리형 열교환기로 돌아왔습니다.
다시 돌아온 이유는 효율과 전력 소비량 그리고 일반환기 기능의 유무. 이렇게 세가지입니다.

효율은. 난방시 효율로 비교하자면, 로타리형 90%, 판형 70% 였습니다.
로타리형의 효율이 높은 이유는,  내외부 공기가 서로 섞이면서 온도차가 줄어 효율이 높아진다는 의견이 있고 섞이지 않는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공기가 섞이는지 아닌지는 모르겠지만 어쨋든 업체에서 제시하는 90%의 효율은 사실이라고 합니다.
같은 조건이라면 판형보다 로타리형이 더 따뜻한 공기가 실내로 들어오는 거죠.

전력소비량은, 판형이 로타리형의 절반정도 밖에 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하지만 겨울에 프리히터가 돌아갈때의 전력소비량은 600w로 판형이 로타리형보다 훨씬 높습니다. 한겨울 밤동안 프리히터가 계속 작동한다고만 쳐도 꽤 많은 전기세가 나올 수 있습니다. 연평균으로 따진다면 비슷할 수 있지만, 이집은 겨울이 아닌 때는 자연환기를 선호하기에 로타리형이 전기세 면에서 유리할 것으로 판단했습니다.

일반환기 기능은 말 그대로 열교환 없는 일반환기 기능인데 실내에 더운 공기가 고여있고 바깥 온도는 내려간 여름밤에 효과가 좋습니다. 열대야가 적은 시골이라서 그런지는 모르겠지만 지난 여름에 꽤 유용하게 썼다고 합니다.
이 일반환기 기능이 판형 열교환기에는 없었습니다.

이런 이유로 처음의 로타리형 열교환기로 되돌아 왔습니다.
두 제품을 모두 써보고 선택할 수 있게 해주신 협회에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판형으로 바꾼 후에 좀더 자세한 사용기를 알려드렸어야 하는데 그러지 못해서 죄송합니다.
로타리형 풍량도 다시 정확시 맞춰주섰으니 이번에는 꼼꼼히 체크해서 사용기 이곳에 댓글로 다시 남기겠습니다. 고맙습니다.
M 관리자 2012.12.25 16:32
네.. 설계풍량이 잘못되어 있었다는 것을 알았으니. 늦게나마 다행입니다.
사용해 보시고, 다시 좋은 의견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2 권희범 2013.01.21 23:02
한달 간의 사용기를 말씀드리자면 일단 대만족입니다.
조민구 이사님께서 풍량을 정확히 맞춰주신 덕분입니다. 고맙습니다.
결국 문제는 집의 크기와 식구 수에 비해 과도하게 설정된 풍량이었던 것 같습니다.
재실자가 있을 때만 열교환기를 돌렸을 때, 최저기온 영하 10도 날씨에서 난방 없이 실내온도가 21도 밑으로 내려가지 않았다고하네요.
저녁 7~8시 쯤 집에 돌아오면 일사량에 따라 실내온도 21~23도 정도를 유지했고 설정 온도를 24도로 보일러를 켜면 밤사이 30분에서 1시간 정도 돌아간다고 합니다.
건축주도 만족스러워하고 있습니다.

디퓨져에서 나오는 공기의 온도는 아직 측정을 못해봤습니다.
추운 날을 하루 골라 측정해보고 다시 글 올리겠습니다.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