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시공관련 질문

2층 벽돌조적 노후주택 올수리관련 질문입니다.

G 가오리 3 108 05.11 20:01

안녕하세요. 이번 노후주택을 구매해 올수리를 해볼려고 하는 새내기입니다.

한국패시브건축협회 덕분에 그나마 한국의 주택건설 및 리모델링에 많은분들이 덕을 보시는것 같아 저도 궁금한 부분이 있어 질문드리고 싶습니다.

 

1. 제가 사는 지역(충북) 에는 1층 단층 주택매물이 별로없어 2층 주택을 구매하려고합니다. 인터넷에 H빔 보강 관련 글이나 영상에는 1층만 보강하는모습만 보여서 1층과 2층을 H빔 보강을 할수 없는건가요?

 

2. 노후된 주택 옥상에 역전지붕을 시공하고 태양광도 설치하고 싶지만 노후된주택(39년전 준공)에는 가급적 안하시는걸 추천하시는것 같아서 혹시나 1번 질문처럼 2층 보강이 된다면 옥상에 역전지붕과 태양광 둘다 가능할까요? 

 

3. 시멘트벽돌 조적 주택이지만 외장으로 붉은 벽돌이 되어있습니다. 이 붉은벽돌 또한 전체 철거후 외단열을 시공하려고 합니다. 만약 외단열이 완벽히 된다는 가정하에 외단열 - 조적벽 - 설비층(목공으로 단열재 없이) - 석고판 - 도배 이런식으로 설비층이 공기층이 되어도 괜찮을까요? 아니면 조적벽 내부에 내단열을 해야할까요? (외단열 - 조적벽 - 내단열- 설비층(단열재 없이) - 석고판 - 도매) 내부 공간이 줄어도 상관없다보니 완벽하게 하고 싶습니다.

 

4. 설비층을 만든다면 전기, 내부수도(냉수, 온수)배관을 이중배관으로 시공하여 벽에다가 시공해도 괜찮을까요? 인터넷에서는 바닥 보일러 배관 밑에 아니면 같은 층에 까는 모습이 많이 보이더라구요. 

 

작성해주셨던 글만으로도 많은 도움이 되고있습니다.

감사합니다.

 

Comments

M 관리자 05.13 11:16
안녕하세요.

1. 가능하며, 권장되는 사항입니다. 다만 구조기술사 판단으로 필요가 없을 수도 있습니다.

2. 근본적으로는 어렵습니다. 물론 보강이 되면 가능하지만 배보다 배꼽이 커질 수 있기에 그렇습니다. 이 부분은 담당 건축사가 결정을 하도록 맡기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3. 외단열이 건전하다면 내단열은 오히려 좋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기존 조적면에 미장이 되고 외단열이 건전하다는 전제로 공기층만 두시는 것이 나은 선택입니다.

4. 벽에 시공해도 괜찮습니다만, 수도배관의 경우 물흐르는 소리가 들릴 수 있기에, 잠을 자는 공간 속으로는 지나가지 않도록 계획되어야 합니다.

추가 질문은 언제든 이 글에 댓글 주시어요. 감사합니다.
G 가오리 05.13 12:45
감사합니다. 관리자님
덕분에 진행방향을 결정했습니다.
태양광 하지 않고 그돈으로 단열, 창호에 더 투자하려고 합니다.
좋은말씀 감사합니다.
M 관리자 05.14 00:47
감사합니다.